M109/운용국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M109



1. 개요[편집]


M109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2. 아메리카[편집]



2.1. 북아메리카[편집]



2.1.1. 미국[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7
M109A6M109A7을 도합 660문 이상 운용하고 있으며, M109A7을 추가로 도입하고 있다.

또한 현역 물자가 아닌 M109A6을 850문 가량 비축하고 있다.


2.1.2. 캐나다[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4+
M109를 도입하여 M109A4+ 사양으로 개량하여 운용했다. 현재는 전량 퇴역했으며, 후속 포병 전력으론 M777 155mm 곡사포를 운용하고 있다.


2.2. 남아메리카[편집]



2.2.1. 브라질[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3과 M109A5를 도합 136문 운용하고 있다. 보유 중인 M109의 현대화 사업을 진행 중이다.


2.2.2. 칠레[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5와 M109 카웨스트를 각각 24문씩 보유하여, 총 48문의 M109를 운용하고 있다.


2.2.3. 페루[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2
M109A2 12문을 운용하고 있다.


3. 유럽[편집]



3.1. 중부유럽[편집]



3.1.1. 독일[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3GE
M109G/A3GE를 도합 500문 이상 도입했었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고 후속 자주곡사포로 PzH2000을 운용하고 있다.


3.1.2. 스위스[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 KAWEST
M109 카웨스트 133문을 운용하고 있다.


3.1.3. 오스트리아[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Ö
M109A5Ö 48문을 운용하고 있다.


3.2. 동유럽[편집]



3.2.1. 우크라이나[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각국으로부터 지원받아 다양한 형식의 M109를 150문 이상 운용하고 있다.


3.3. 서유럽[편집]



3.3.1. 벨기에[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4BE
M109A2를 도입하여 일부는 M109A4BE 사양으로 개량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고, 후속 자주곡사포로 CAESAR를 도입 중이다.


3.4. 남유럽[편집]



3.4.1. 이탈리아[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L
200문 이상의 M109L을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고, 후속 자주곡사포로 PzH2000을 도입하였다.

퇴역한 M109L은 비축 중이었는데,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이 중 상당수가 우크라이나로 지원되었다.


3.4.2. 스페인[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5 95문을 운용하고 있다.


3.4.3. 포르투갈[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5 18문을 운용하고 있다.


3.5. 북유럽[편집]



3.5.1. 노르웨이[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3GN
M109A3GN을 50문 이상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후속 자주곡사포로 선정된 K-9 자주곡사포로 대체되어 비축물자로 전환되고 있다.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비축 중인 M109의 일부가 우크라이나로 지원되었다.


3.5.2. 덴마크[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3-DK
M109A3-DK를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전량 퇴역했으며, 후속 자주곡사포로 ATMOS 2000을 도입하고 있다.[1]


3.5.3. 라트비아[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Ö
M109A5Ö 48문을 운용하고 있다.


4. 아시아[편집]



4.1. 동아시아[편집]



4.1.1. 대한민국[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K55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55 자주곡사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2. 대만[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2 197문과 M109A5 28문을 운용하고 있다.

M109A6의 도입도 추진하였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취소되어 도입이 불발되었다.


4.2. 동남아시아[편집]



4.2.1. 인도네시아[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4BE
M109A4BE 36문을 운용하고 있다.


4.2.2. 태국[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5 20문을 운용하고 있다.


4.3. 남아시아[편집]



4.3.1. 파키스탄[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2와 M109A5를 도합 785문 운용하고 있다.


4.4. 서아시아[편집]



4.4.1. 레바논[편집]




4.4.2. 사우디아라비아[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1B 87문, M109A2 24문, M109A5 48문을 운용하고 있다.

추가로 M109A6을 도입할 예정이다.


4.4.3. 이스라엘[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Doher
M109A5+ 도허를 운용하고 있다.


4.4.4. 이란[편집]


수량 불명의 M109를 운용하고 있다.


4.4.5. 이라크[편집]




4.4.6. 요르단[편집]




4.4.7. 쿠웨이트[편집]




5. 아프리카[편집]



5.1. 북아프리카[편집]



5.1.1. 이집트[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5
M109A2 420문과 M109A5 200문을 운용하고 있다.


5.1.2. 리비아[편집]




5.1.3. 모로코[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M109A2
M109A1과 M109A2를 도합 350문 운용하고 있다.


5.2. 동아프리카[편집]



5.2.1. 에티오피아[편집]




5.2.2. 지부티[편집]



[1] 본래는 덴마크 자주포 사업에선 CAESAR가 선정되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덴마크는 도입 예정이던 CAESAR를 그대로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그 대체품으로 ATMOS 2000을 긴급도입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M109 문서의 r2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M109 문서의 r2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1-11 18:25:33에 나무위키 M109/운용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