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 펙

덤프버전 :

그레고리 펙의 주요 수훈 및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가 예술 훈장.png
미국 국가 예술 훈장 수훈자
20세기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85년엘리엇 카터, 랄프 엘리슨, 호세 페레, 마사 그레이엄, 루이스 네벨슨, 조지아 오키프, 레온타인 프라이스
1986년매리언 앤더슨, 프랭크 카프라, 에런 코플런드, 빌럼 데 쿠닝, 아그네스 드 밀, 에바 르 갈리엔, 앨런 로맥스, 루이스 멈퍼드, 유도라 웰티
1987년로메어 비어든, 엘라 피츠제럴드, 하워드 네메롭, 알윈 니콜라이, 이사무 노구치, 윌리엄 슈먼, 로버트 펜 워런
1988년솔 벨로, 헬렌 헤이스, 고던 파크스, 이오밍 페이, 제롬 로빈스, 루돌프 제르킨, 버질 톰슨, 시드니 프리드버그,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레오폴드 아들러, 캐서린 던햄, 알프레드 아이젠슈테트, 마틴 프리드먼, 디지 길레스피, 워커 핸콕,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체스와프 미워시, 로버트 마더웰, 존 업다이크
1990년조지 애보트, 험 크로닌, 제시카 탠디, 메세 커닝햄, 재스퍼 존스, 제이콥 로렌스, 비비 킹, 이안 맥하그, 비벌리 실즈
1991년모리스 아브라바넬, 로이 에이커프, 피에트로 벨루스치, J. 카터 브라운, 찰스 콜스, 존 O. 크로스비, 리처드 디벤콘, 키티 칼리슬, 펄 프리머스, 아이작 스턴
1992년마릴린 혼, 제임스 얼 존스, 알란 하우저, 미니 펄, 로버트 소득, 얼 스크럭스, 로버트 쇼, 빌리 테일러, 로버트 벤츄리 & 데니스 스콧 브라운, 로버트 와이즈
1993년캡 캘러웨이, 레이 찰스, 베스 로막스 하웨스, 스탠리 쿠니츠 , 로버트 메릴, 아서 밀러,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이드 리차드, 윌리엄 스타이런, 폴 테일러, 빌리 와일더
1994년해리 벨라폰테, 데이브 브루벡, 셀리아 크루즈, 도로시 딜레이, 줄리 해리스, 에릭 호킨스, 진 켈리, 피트 시거 , 웨인 티보, 리차드 윌버
1995년리차 알바네세, 그웬돌린 브룩스,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디, 데이빗 다이아몬드, 제임스 잉고 프리드, 밥 호프, 로이 리히텐슈타인, 아서 미첼, 빌 먼로
1996년에드워드 올비, 사라 콜드웰, 해리 칼라한, 젤다 피챈들러, 랄로 게레로, 라이어널 햄프턴, 벨라 루이츠키, 로버트 레드포드, 모리스 센댁, 스티븐 손드하임
1997년루이즈 부르주아, 베티 카터, 댄 킬리, 안젤라 랜스버리, 제임스 리바인, 티토 푸엔테, 제이슨 로바즈, 에드워드 빌렐라, 독 왓슨
1998년자크 드엠보, 패츠 도미노, 잭 엘리엇, 프랭크 게리, 아그네스 마틴, 그레고리 펙, 로베르타 피터스, 필립 로스, 그웬 버든
1999년아레사 프랭클린, 마이클 그레이브스, 오데타, 노만 레어, 로제타 르누아르, 하비 리히텐스타인, 리디아 멘도자, 조지 시걸, 마리아 톨치프
2000년마야 안젤루, 에디 아놀드,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베니 카터, 척 클로즈, 호톤 푸트, 클래스 올덴버그, 이작 펄만, 해롤드 프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21세기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루톨포 아나야, 조니 캐시, 커크 더글러스, 헬렌 프랑켄탈러, 주디스 제이미슨, 요요마, 마이크 니콜스
2002년플로렌스 놀, 트리샤 브라운, 필립 드 몬테벨로, 우타 하겐, 로렌스 핼프린, 알 허쉬펠드, 조지 존스, 밍 조 리, 스모키 로빈슨
2003년비버리 클리어리, 라프 에스퀴스, 수잔 파렐, 버디 가이, 론 하워드, 레너드 슬래트킨, 조지 스트레이트, 토미 튠
2004년레이 브래드버리, 칼리슬 플로이드, 프레데릭 하트, 안소니 헥트, 존 루스번, 빈센트 스컬리, 트와일라 사프
2005년루이스 오킨클로스, 제임스 데프라이스트, 파키토 드 리베라, 로버트 듀발, 올리 존스톤, 윈튼 마살리스, 티나 라미레즈, 돌리 파튼
2006년윌리엄 볼컴, 시드 챠리시, 로이 데카라바, 에릭 쿤젤, 그레고리 라바사, 빅토르 슈레켄고스트, 랄프 스탠리
2007년모르텐 로리젠, 스콧 모마데이, 크레이그 노엘, 레스 폴, 조지 투커, 앤드루 와이어스
2008년스탠 리, 리처드 M. 셔먼, 로버트 B. 셔먼,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행크 존스, 헤수스 모르폴스
2009년밥 딜런, 클린트 이스트우드, 밀튼 글레이저, 마야 린, 리타 모레노, 제시 노먼, 프랭크 스텔라, 마이클 틸슨 토머스, 존 윌리엄스
2010년로버트 브러스타인, 밴 클라이번, 마크 디 수베로, 도날드 홀, 퀸시 존스, 하퍼 리,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제임스 테일러
2011년윌 바넷, 리타 도브, 알 파치노, 마틴 퍼이어, 멜 틸리스, 안드레 왓츠
2012년허브 앨퍼트, 조안 마이어스 브라운, 르네 플레밍, 어니스트 J. 게인즈, 엘스워스 켈리, 토니 쿠슈너, 조지 루카스, 일레인 메이, 로리 올린 , 알렌 투생
2013년줄리아 알바레즈, 빌 T. 존스, 존 캔더, 제프리 카첸버그, 맥신 홍 킹스턴, 앨버트 메이즐스, 린다 론스태드, 빌리 첸 & 토드 윌리엄스, 제임스 터렐
2014년존 발데사리, 핑 총, 미리암 콜론, 샐리 필드, 앤 해밀턴, 스티븐 킹, 메레디스 몽크, 조지 셜리, 토비아스 울프
2015년멜 브룩스, 산드라 시스네로스, 모건 프리먼, 필립 글래스, 베리 골디, 산티아고 지메네즈, 랄프 레몬, 오드라 맥도널드, 루이스 발데스, 잭 위튼
2016년없음
2017년없음
2018년없음
2019년앨리슨 크라우스, 샤론 퍼시 록펠러, 미군 군악대, 존 보이트
2020년토비 키스, 리키 스캑스, 메리 코스타, 닉 우트, 얼 A. 파웰 3세
2021년브루스 스프링스틴, 글래디스 나이트, 민디 케일링,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호세 펠리시아노, 베라 왕, 조안 시게카와, 주디 바카, 프레드 아이커너, 안토니오 마르토렐, 빌리 홀리데이 극장, 국제흑인댄스협회
출처: National Medal of Arts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진 허숄트 박애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아카데미상 수상의 하나로, 오랜 기간 영화 산업 전체의 발전에 현저한 공적이있는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보통 아카데미상과는 달리,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이사 회원이 후보 선정과 투표를 한다.
1957년1958년1960년1961년1962년
Y. 프랭크 프리먼새뮤얼 골드윈밥 호프솔 레서조지 시튼
1963년1966년1967년1968년1969년
스티브 브로이디에드몬드 드페티조지 베그넬그레고리 펙마샤 레이
1970년1971년1973년1974년1975년
조지 제셀프랭크 시나트라로절린드 러셀류 와서만아서 B. 크림
1976년1978년1979년1980년1982년
줄스 C. 스테인찰턴 헤스턴레오 자페로버트 벤자민대니 케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90년
월터 미리쉬M. J. 프랭코비치데이비드 L. 월퍼버디 로저스하워드 W. 코치
1993년1994년1995년2002년2005년
오드리 헵번
엘리자베스 테일러
폴 뉴먼퀸시 존스아서 밀러로저 메이어
2007년2009년2012년2013년2014년
섀리 랜싱제리 루이스오프라 윈프리제프리 카첸버그안젤리나 졸리
2015년2016년2020년2021년2022년
해리 벨라폰테데비 레이놀즈지나 데이비스대니 글로버마이클 J. 폭스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8년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포이티어, 닐 사이먼
1996년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제임스 브라운, 캐럴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만 레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파일:sezar-trophy.png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6년1977년1978년
잉그리드 버그만다이애나 로스앙리 랑글루아자크 타티로버트 도프만
1978년1979년1980년
르네 고시니마르셀 카르네샤를 바넬월트 디즈니피에르 브롱베르제
1980년1981년1982년
루이스 드 푸네스커크 더글러스마르셀 파뇰알랭 레네조르주 댄시거즈
1982년1983년1984년
알렉산드르 노우츠킨장 네니안제이 바이다Raimu르네 클레망
1984년1985년
조르주 드 보르가르에드위지 푸이에르크리스티앙 자크다니엘 다리외크리스틴 구즈레날
1985년1986년
알렝 프와레모리스 자르베티 데이비스장 들라누아René Ferracci
1986년1987년1988년1989년
클로드 란츠만장뤽 고다르세르지 실버만베르나르 블리에폴 그리모
1990년1991년1992년
제라르 필리프장 피에르 오몽소피아 로렌미셸 모르강실베스터 스탤론
1993년1994년1995년
장 마레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제라드 우리장 카르메잔느 모로
1995년1997년1997년
그레고리 펙스티븐 스필버그로렌 바콜앙리 베르누이샤를 아즈나부르
1997년1998년1999년
앤디 맥도웰마이클 더글러스클린트 이스트우드장뤽 고다르페드로 알모도바르
1999년2000년
조니 뎁장 로슈포르조지안 발라스코조르주 크라벤느장피에르 레오
2000년2001년2002년
마틴 스코세이지데리 코울샬럿 램플링아녜스 바르다아누크 에메
2002년2003년
제러미 아이언스찰리 리치베르나데트 라퐁스파이크 리메릴 스트립
2004년2005년2006년
미셸린 프레슬자크 뒤트롱윌 스미스휴 그랜트피에르 리차르
2007년2008년
마를렌 조베르주드 로잔느 모로로베르토 베니니로미 슈나이더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더스틴 호프먼해리슨 포드쿠엔틴 타란티노케이트 윈슬렛케빈 코스트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스칼렛 요한슨숀 펜마이클 더글러스조지 클루니페넬로페 크루스
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로버트 레드포드없음*
* 내정자(브래드 피트)의 수상 거부로 당해의 수상자를 공석 처리.



파일:screen_actors_guild_logo.png
영화배우조합 평생 공로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goldenglobe_cecildemil.png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2년1953년1954년1955년1956년
세실 B. 드밀월트 디즈니대릴 F. 재넉진 허숄트잭 L. 워너
1957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
머빈 르로이버디 아들러모리스 슈발리에빙 크로스비프레드 아스테어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주디 갈랜드밥 호프조셉 E. 레빈제임스 스튜어트존 웨인
1967년1968년1969년1970년1971년
찰턴 헤스턴커크 더글러스그레고리 펙조안 크로포드프랭크 시나트라
1972년1973년1974년1975년1977년
앨프리드 히치콕새뮤얼 골드윈베티 데이비스핼 B. 월리스월터 미리쉬
1978년1979년1980년1981년1982년
레드 스켈톤루실 볼헨리 폰다진 켈리시드니 포이티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
로런스 올리비에폴 뉴먼엘리자베스 테일러바버라 스탠윅안소니 퀸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클린트 이스트우드도리스 데이오드리 헵번잭 레먼로버트 미첨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로렌 바콜로버트 레드포드소피아 로렌숀 코너리더스틴 호프먼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셜리 맥클레인잭 니콜슨바브라 스트라이샌드알 파치노해리슨 포드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진 해크먼마이클 더글러스로빈 윌리엄스안소니 홉킨스워렌 비티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스티븐 스필버그마틴 스코세이지로버트 드 니로모건 프리먼조디 포스터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우디 앨런조지 클루니덴젤 워싱턴메릴 스트립오프라 윈프리
2019년2020년2021년2023년
제프 브리지스톰 행크스제인 폰다에디 머피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드라마(영화)
제3회
(1948년)
제4회
(1949년)
제5회
(1950년)
레이 멀랜드
(잃어버린 주말)
그레고리 펙
(애정)
로널드 콜먼
(이중 생활)
제19회
(1962년)
제20회
(1963년)
제21회
(1964년)
막시밀리안 셸
(뉘른베르크의 재판)
그레고리 펙
(앵무새 죽이기)
시드니 푸아티에이
(들백합)

[ 펼치기 · 접기 ]
이름그레고리 펙
GREGORY PECK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1960년 2월 8일
위치6100 Hollywood Blvd.



그레고리 펙
Gregory Peck
파일:Gregory-peck.jpg
본명엘드리드 그레거리 펙
Eldred Gregory Peck
출생1916년 4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러호이어
사망2003년 6월 12일 (향년 87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신체189cm
직업배우
학력샌디에이고 주립대학교
UC 버클리 영문과
활동1941년 - 2000년
종교가톨릭
가족아버지: 그레거리 펄 펙(1886~1962)
어머니: 버니스 메이 에어즈(1894~1992)
배우자 그레터 쿠커넌(1942 결혼-1955 이혼)
배우자 베로닉 파사니(1955 결혼-2012 사망)
자녀 4남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조너선 펙(1944~1975)
차남: 스티븐 펙(1946~)
삼남: 캐어리 폴 팩(1949~)
사남: 앤서니 "토니" 펙(1956~)
장녀: 시실리어 펙(1958~)
손주 5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손자: 이선 펙(1986~)
손자: 재커리 펙(1991~)
손자: 하퍼 대니얼 펙 볼(1999~)
손녀: 언딘 앨릭잰드러 펙 볼(2002~)
손녀: 머리서 펙(출생 미상)
손자: 하퍼 펙(출생 미상)
손자: 크리스터퍼 펙(출생 미상)

1. 개요
2. 생애 및 활동
3. 주요 출연 작품
4. 개인사
5. 여담



1. 개요[편집]


모든 배우들의 위엄있는 아버지.

- 스티븐 스필버그


펙은 배우들에게 있어서 성실과 정직의 아이콘이다.

- 커크 더글러스

미국영화 배우.

열정적인 태도로 단호한 행동을 실천하는 남성성 넘치는 권위나 사회 도덕과 전통적 가치의 대변인을 주로 연기해 전후 세대에게 울림을 주었다. 미국과 미국인이 도달할 수 있는 최상의 모습을 구현했던 하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많은 출연작들이 인간의 가능성과 사회 현실 사이의 복잡성과 모순, 가족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배우 본인과 거의 구분 할 수 없을 정도로 밀착된 인물들이 많았다. 거친 사내성을 강조한 커크 더글러스, 버트 랜캐스터와 같은 세대지만, 좀 더 나이대가 있는 게리 쿠퍼, 제임스 스튜어트와 함께 신사 부류로 묶인다.

아카데미상 수상 1회/후보 지명 4회, 골든 글로브 수상 3회/후보 지명 3회, 에미상 후보 지명 1회를 기록했다. AFI 선정 가장 위대한 남성 배우 12위에 등극했다.

활처럼 분명한 호를 그리는 눈썹이 특징이다. 라이프지는 "링컨처럼 사나이답고 윤곽이 뚜렷한 얼굴 생김새로 여성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고 표현했다.

<로마의 휴일> 덕분에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상당히 높다.


2. 생애 및 활동[편집]


어린 시절을 캘리포니아 러호이어에서 보낸 펙은 6살 때 부모님이 이혼한 뒤 어머니는 재혼한 방문판매원 새남편을 따라 여기저기 옮겨다니고 약사인 친부는 야근이 잦았던 탓에 한동안 친할머니 손에 컸다. 10살 때 로스앤젤레스의 세인트 잔 육군사관학교[1]로 보내져 4년을 보내며 자기수련법을 익혔으며 권위 있는 인물 존재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게 됐다. 이후엔 아버지 밑에서 공립 고등학교를 다녔다.

주립 샌디에이고 교육대학[2]에 입학했지만 아버지의 열렬한 염원을 이뤄드리기 위해 의사가 되고 싶었기 때문에 1학년을 마치고 UC 버클리 영문학과와 의과준비과정[3]으로 편입했다. 그러나 학교를 다니던 중 연극 무대에 설 기회를 얻었는데 연극 특유의 가족이나 다름없는 공동체 분위기에 끌려 연기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의과준비과정은 그만두었다.

1939년 대학을 졸업하고 이름을 엘드리드에서 그레거리(Gregory)로 바꾸고 뉴욕시로 향했다. 일 년 만에 순회공연에서 작은 역할들을 따내게 되었고 1942년 "The Morning Star"로 브로드웨이 데뷔를 해냈다.

펙이 출연했던 연극 대다수는 인기가 없어 금방 막을 내리곤 했지만 펙은 1944년 <영광의 나날>에서 블래디미어 역을 따내며 영화판에 데뷔할 수 있었다. 이 영화는 평단으로부터 차가운 반응을 받았지만 두 번째 주연작인 <천국의 열쇠>(1944)에서 과묵한 스코틀랜드 출신 선교사 연기로 아카데미상에 처음 후보 지명이 되었다.

곧 펙은 조셉 코튼보다 출연료가 낮다는 이유로 발탁된 앨프리드 히치콕의 <망각의 여로>(1945)로 당대의 섹스심벌이 되었다. <로마의 휴일>(1953)처럼 로맨틱한 역도 잘 어울렸다.

존 웨인의 배역을 이어받은 킹 비더 연출의 <백주의 결투>(1946)에서의 부도덕하고 차가운 인물, <황색 하늘>(1948)의 착한 무법자도 잘 소화해냈다. <권총왕>(1950) 역시 존 웨인을 위해 기획된 영화였지만 펙이 대신 받았다. <권총왕>(1950)에서 시대 고증에 걸맞는 풍성한 콧수염을 달았는데, 20세기 폭스 수장 스피어로스 P. 스쿠러스[4]는 그로 인해 펙이 제작사에 백만 달러의 손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
파일:spellbound-1945-ingrid-bergman-gregory-peck-in-hats-in-each-others-arms.jpg
파일:the-gunfighter-1950-gregory-peck-breakfast-cowboy.jpg
<망각의 여로>(1945)<권총왕>(1950)

그러나 무엇보다도 일리어 커잰이 연출한 <신사협정>(1947)의 필 그린처럼 도덕 신념이 확고한 인물상이 펙의 상징이었다. 완고한 한편 잘 보살피기도 하는 가부장상은 <정오의 출격>(1949), <모비 딕>(1956)이나 <나바론의 요새>(1961)같은 강인한 남성성으로도 이어졌다.

특히 <앵무새 죽이기>(1962) 이후 역할이 고착화 됐다. 작은 서부 시골마을 변호사가 겪는 개인 갈등과 비인간적 조건에 처한 타인을 향한 인류애를 통해 인종차별, 도덕, 정의의 문제를 강렬하게 풀어낸 작품이었다. 펙은 출연작 중 이 영화를 가장 좋아했는데, 아이들의 삶을 묘사하고 가족의 중요성에 방점을 찍기 때문이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연기에 다변화를 주려고 노력한 결과 스릴러, 전쟁물, 서부극 출연이 많아졌다. 그 예가 <맥아더>(1977)와 나치 전범을 연기한 <브라질에서 온 소년>(1978)이다.

80년대엔 TV와 영화를 병행했다.

1991년 <케이프 피어>를 끝으로 연기 일선에서 거의 물러났으나 85세 때 소극장과 대학을 돌며 배우, 아버지, 유명인사로서의 삶에 대해 관객들과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2003년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주요 출연 작품[편집]


  • 영광의 나날(Days of Glory), 1944 - 블래디미어(Vladimir) 역

너널리 잔슨, 조저프 L. 맹커위츠 대본.

  • 망각의 여로(Spellbound), 1945 - 의사 앤서니 에드워즈(Dr. Anthony Edwardes)/잔 밸런타인(John Ballantyne) 역
앨프리드 히치콕 연출. 심리 스릴러. 잉그리드 버그먼 출연.

  • 사랑의 결단(The Valley of Decision), 1945
테이 가넷 연출. 소니어 러빈 대본. 그리어 가슨, 도널드 크리스프, 라이어널 배리모어, 레저널드 오우언 출연.

  • 가장 특별한 선물(The Yearling), 1946

  • 백주의 결투(Duel in the Sun), 1946 - 류튼 "루트" 머캔레스(Lewton "Lewt" McCanles) 역
킹 비더 연출. 데이비드 O. 셀즈닉 제작/대본. 제니퍼 존스, 조셉 코튼, 릴리언 기쉬, 월터 휴스턴, 라이어널 배리모어, 찰스 빅포드 출연.
아버지가 불륜을 저지른 원주민 어머니를 쏴죽이고 교수형을 당해 졸지에 고아가 되어 텍사스의 먼 친척집에 맡겨지게 되는 메스티자 여성의 얘기다. 12월 31일 개봉.

  • The Macomber Affair, 1947 -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 역
조운 베닛, 라버트 프레스턴 출연. 조울탠 코더 연출.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배급. 영국령 동아프리카의 케냐 배경.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1936) 원작. 4월 20일 개봉.

  • 신사협정(Gentlemen's Agreement), 1947 - 필 그린(Phil Green) 역
11월에 개봉했는데, 1947년 폭스의 최고 흥행작 중 하나였고, 1948년에도 전체 흥행 8위를 차지했다. 아카데미상 7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작품상, 감독상, 여우조연상을 타냈다. 일리어 커잰 연출. 11월 11일 개봉.

  • The Paradine Case, 1947 - 앤터니 킨(Anthony Keane) 역
필름 누아르. 앨프리드 히치콕 연출. 데이비드 O. 셀즈닉이 제작하고 벤 헥트와 함께 대본을 썼다. 런던 배경. 알리다 발리, 앤 토드, 찰스 코번, 찰스 로튼, 에설 배리모어, 루이 주르당 출연. 12월 29일 개봉.

  • 황색 하늘(Yellow Sky), 1948 - 제임스 "스트레치" 도슨(James "Stretch" Dawson) 역
서부극. 윌리엄 A. 웰먼 연출. 윌리엄 셰익스피어템페스트를 재해석했다.
1867년, 스트레치가 이끄는 갱단이 은행을 털고 데스밸리의 소금 사막[5]을 거쳐 유령 도시 옐로우 스카이("Yellow Sky")에 당도해 마이크(Mike, 앤 백스터 분), 금광 채굴자인 마이크의 할아버지를 만난다. 스트레치는 할아버지와 금광의 금을 반씩 나누기로 하나 도박사 두드(Dude, 리처드 위드마크 분)는 나머지 멤버들에게 전부 가로채자고 꼬드긴다.[6]

  • 정오의 출격(Twelve O'Clock High), 1949 - 프랭크 새비지 준장(Brigadier General Frank Savage) 역
전쟁영화. 헨리 킹과의 협업 1/6. 딘 재거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탔다. 1998년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로 등재되었다. 12월 21일 개봉.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아치버리(Archbury) 공군기지. 제918폭파단 지휘관 키스 대븐포트 대령(Colonel Keith Davenport, 게리 메럴 분)의 패배주의는 상급 지도자들 사이에서 전염되고 벤 게이틀리 중령(Lieutenant Colonel Ben Gately)도 예외는 아니다. 제8폭파부대 작전참모인 프랭크 새비지 준장이 이를 파악하고 부대 사령관인 소장에게 보고하면서 벤은 편대장(aircraft commander)으로 강등되고 프랭크가 후임으로 오게 된다. 한없이 풀어주던 벤과 달리 엄격하게 기강을 잡는 프랭크에게 모두가 불만을 품게 되는데...

  • 권총왕(The Gunfighter), 1950 - 지미 링고(Jimmy Ringo) 역
서부극. 헨리 킹 2/6. 너널리 잔슨 제작/대본 참여. 아카데미 원작상 후보에 올랐다.
서부에서 총 뽑는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명사수 지미 링고는 자신을 죽여 명성을 얻으려는 총잡이들에게 매일 쫓기고 있다. 지미는 가상마을 케이엔(Cayenne)에 들려 8년만에 아내와 만나 예전엔 자신처럼 청부 살인업자였으나 보안관으로 지내는 친구 마크처럼 사람들이 자신을 모르는 캘리포니아나 아예 남아메리카로 가서 새 삶을 살고 싶다고 말한다. 아내는 성까지 바꿔가며 지미의 아내라는 사실을 감추며 살고 있으나 그가 1년간 바르게 산다면 생각해보겠다고 말하고 아들과 만나게 해준다. 하지만 아내의 부탁대로 아들에게 자신이 아버지라는 건 밝힐 수가 없는데...[7] 칼 몰든이 바텐더 역으로 출연했다.

  • 다윗과 밧세바(David and Bathsheba), 1951
헨리 킹 3/6.

  • Only the Valiant, 1951 - 리처드 랜스 대위(Captain Richard Lance) 역
기그 영, 란 체이니 주니어, 마이클 앤새라 출연. 윌리엄 캐그니 제작. 고든 더글러스 연출.

  • 킬리만자로의 눈(The Snows of Kilimanjaro), 1952
헨리 킹 4/6.


  • 나이트 피플(Night People), 1954 - 스티브 밴 다이크 중령(Lt. Col. Steve Van Dyke) 역
너널리 잔슨 제작/연출/공동대본. 도러시 스펜서 편집. 아카데미 원작상 후보에 올랐을 정도로 촘촘한 첩보 스릴러 구조가 호평 받는다. 20세기 폭스 제작/배급. 3월 12일 개봉.
연합군 점령하 독일이 배경이다. 서독에 주둔 중인 미국 CIA 소속 중령 스티브는 미국 지구의 헌병 사령관. 19살 상등병 잔 레더비(Cpl. John Leatherby)가 동독으로 납치를 당하자 잔의 아버지이며 아이젠하워 정부와 연줄이 있는 기업가 찰스 레더비(Charles Leatherby)가 미국 국방부와 헌병 사령관을 압박한다. 소련은 자기네 짓이 아니라고 부인하지만 스티브의 옛 연인인 동독 정보원 허피 호퍼마이어("Hoffy" Hoffmeir)는 소련측이 특정 서독인과의 교환을 원하는 것 같다고 귀띔하는데...

  •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The Man in the Gray Flannel Suit), 1956 - 탐 래스(Tom Rath) 역
너널리 잔슨 연출/대본, 대럴 F. 재넉 제작, 도러시 스펜서 편집. 제9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프레드릭 마치의 아내 역으로 앤 하딩이 나온다. 4월 12일 개봉.
제2차 세계 대전 때 유럽 및 태평양 전장에서 육군 대위였던 탐은 현재 코네티컷 교외에서 아내 벳시(Betsy, 제니퍼 존스 분)와 살면서 맨해튼 비영리단체에서 글을 쓰며 생계를 꾸리고 있다. 탐은 이탈리아에 두고 온 연인 마리아(Maria, 마리사 파반 분)에 대한 기억과 PTSD로 고통 받는 중이다. TV 방송국 홍보부로 자리를 옮긴 탐은 자신에게서 죽은 아들을 떠올리는 방송국 창립자 랠프 합킨즈(Ralph Hopkins, 프레드릭 마치 분)와 교감하게 된다. 랠프의 아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때 장교 임관을 거부하고 사병으로 싸우다 사망했다. 곧 탐은 옛 전우로부터 마리아가 자신의 아들을 낳아 홀로 키우는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


  • 아름다운 질투(Designing Woman), 1957 - 마이크 헤이건(Mike Hagen) 역
로맨틱 코미디. 빈신트 머넬리 연출. 덜로리스 그레이[8]의 마지막 영화 출연작이며, 조지 웰즈는 아카데미 각본상을 받았다.
포커를 좋아하며 노동자 계층과 어울리는 스포츠 전문 기자 마이크와 예술명사들을 대상으로 옷을 디자인하는 상류층 여성 머릴러 브라운(Marilla Brown, 로런 버콜 분)이 만난지 일주일 만에 결혼을 결심하지만 사는 세계가 너무 달라 충돌한다. 여기에 부패한 권투 프로모터 마튼 데일러(Martin Daylor)의 협박이 얽히면서 일이 더 꼬인다.


  • 브라바도스(The Bravados), 1958
헨리 킹 5/6.

  • 비수(Beloved Infidel), 1959
헨리 킹 6/6. 데버러 카 출연.



"The Plains(1851)" 챕터에서 프로 도박사로 나와 데비 레널즈와 엮인다.


  • 캡틴 뉴먼, M.D.(Captain Newman, M.D.), 1963

  • 비루먹은 말을 봐라(Behold a Pale Horse), 1964


  • 맥아더(MacArthur), 1977

프랭클린 J. 샤프너 연출. "악마의 씨", "스텝포드 부인들"로 유명한 아이러 러빈의 SF 스릴러 소설이 원작이다. 로런스 얼리비에이, 제임스 메이슨, 우다 하겐[9] 등 출연.



4. 개인사[편집]


알코올 의존증, 몇 차례의 불륜 등 문제가 없던 것은 아니지만, 인간성 좋기로 평판이 자자했다.

1942년 첫 번째 부인 그레터 쿠커넌과 결혼했다.

1945년 <망각의 여로>를 찍으며 역시 가정이 있던 잉그리드 버그먼과 불륜했다. 이를 1987년 피플지와의 인터뷰에서 직접 고백했다.

1952년 신문기자 베로닉 파사니를 만나 불륜 관계에 접어들었다. 파사니와의 첫 데이트 일화가 꽤 재미있다. 펙이 점심 식사 초대를 하자, 파사니는 굉장히 망설인 끝에 겨우 승낙했단다. 재혼 후 첫 데이트 신청을 왜 주저했었냐고 묻자 파사니는 그날 기자로서 매우 중요한 일이 있었다고 답했다. 바로 장폴 사르트르의 집에서 진행되는 알베르트 슈바이처와의 인터뷰였다. 이 말을 들은 펙의 대답은 "선택 잘 했네"였다.#

1955년 첫 번째 아내와의 이혼이 완료된 다음날 바로 파사니와 재혼했다.

1975년 장남 조너선 펙이 자살했다.

1986년에 태어난 손자 이선 펙도 할아버지처럼 185cm의 장신에 얼굴도 쏙 빼닮아 미남에 중저음의 목소리를 소유하고 있는데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드라마 "스타트렉: 디스커버리"에서 주인공 마이클 버넘의 의붓동생 스팍 역으로 출연해서 호평을 받았다.

1990년대에 넷째 아들 앤서니 "토니" 펙이 슈퍼모델 쉐럴 티그즈[10]의 세 번째 남편이었다.


5. 여담[편집]


  • 유명한 진보 성향이었다. 데뷔 5년차 때 매카시즘을 반대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했다. 동시에 전장의 복잡성과 어려움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쟁통 속에서 싸우고 있던 아들에게 지지를 표했다.
핵무기와 총기 무장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때문에 리처드 닉슨의 블랙리스트에도 올라갔던 적이 있다. 그러나 리버테리안찰턴 헤스턴과도 친하게 지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음에도 그 어떤 사정도 용인하지 않는 전면 낙태 금지나 여성의 사제 서품이 원천 봉쇄 돼있는 점 등을 직설로 비판하곤 했다.

  •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을 역임했다.

  • 연기란 배우 개인의 인간성과 경험, 그리고 감정을 관객과 공유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배우가 닮은 점을 발견할 수 있는 인물이 좋은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 다양한 역할 연기보다는 자신이 해왔듯이 일정 영역 내의 배역들을 계속 자의식 없이 효과적으로 선보여서 관객들이 그 연기를 진실로 믿게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험프리 보가트게리 쿠퍼를 그 예시로 들었다.

  • 가장 좋아하는 여배우로는 그레타 가르보, 그리고 함께 세 편을 작업한 에바 가드너를 꼽았다. 가르보는 메소드 연기를 초창기에 실현한 배우로 자신의 진실된 감정을 카메라, 그리고 관객과 공유하며 영화를 진짜라고 믿게 만드는 지성을 갖췄다고 평했다. 에바 가드너는 펙이 가장 친밀하게 지낸 여배우로, 같은 시골 출신이라 마음이 잘 맞았다고 한다. 가드너가 말년에 반신불수가 된 후 자살 충동에 시달릴 때도 얘기를 잘 들어주었다.

  • 가장 좋아한 남배우는 로런스 얼리비에이스펜서 트레이시였다. 펙은 셰익스피어를 섭렵하고 영국 국립 극장 감독일을 하면서 무수한 영화까지 찍는 다재다능한 얼리비에이를 동경했고, 트레이시의 집중력과 연기를 하려고 애쓰지 않는 점을 좋아했다.

  • 2류 영화를 1류처럼 보이게 만드는 게 스타의 자질인데, 그게 바로 험프리 보가트였다고 말했다.

  • 코미디 연기에 욕심이 있었다. <로마의 휴일>(1953)과 <아름다운 질투>(1957) 이후로 코미디 제의가 쏟아질 것을 기대했는데 전혀 아니라 낙심했다고.

  • <로마의 휴일>(1953) 촬영 도중 신인 오드리 헵번의 잠재성을 알아보고, 자신과 마찬가지로 스타로 대접해 이름이 똑같이 영화 제목 위에 올라가게 만들어 달라고 에이전트[11]에게 요청했다. 에이전트는 당신 이름이 영화 제목 위로 올라가기까지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 아냐며 만류했지만, 펙은 "헵번이 아카데미상을 탈 게 분명한 마당에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난 스스로를 바보로 만드는 셈이 되는 거"라고 반박했다. 펙의 고집대로 헵번의 이름은 펙과 마찬가지로 영화 제목 위에 올라갔고, 헵번은 정말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펙은 헵번이 작고한 직후 1993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헵번의 진 허숄트 박애상 시상자로 서기도 했다.


  • 아내 베로닉 펙도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절친한 사이라 함께 테일러의 집에 자주 놀러가곤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1EGGZuyn1pwbXGuDfdZjA.jpg}}} ||

  • 소피아 로렌은 자서전에서 두 사람이 둘 다 각자 결혼생활 중일 때 잠시 관계를 가졌던 적이 있는 것으로 암시했지만 다른 증인들이 아직 나타나지 않아 진위 여부는 알 수 없다. 소피아 로렌 항목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로렌은 같은 사안을 두고 말을 여러 번 바꾸는 경향이 있다.

  • 국내 원로 영화배우 남궁원이 펙을 닮았다는 평이 많았다. 야구선수 구자욱도 눈매가 비슷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22:55:37에 나무위키 그레고리 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St. John's Military Academy.[2] 지금의 샌디에이고 주립대학교.[3] pre-med. 당시에도 미국은 의학 전공이 대학원에 있었기 때문에, 학부에서 의과준비과정을 들었다고 해도 의대생이었던 것은 아니다. 게다가 UC 버클리에는 의학 전공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버클리에서 의과준비과정을 끝까지 이수했어도 의사가 되려면 다른 학교의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해야했다.[4] Spyros P. Skouras.[5] salt flat.[6] 스포일러 두드는 자기 편마저도 다 죽여 독차지하려한다. 일부가 마음을 바꿔 스트레치를 돕고, 스트레치는 두드를 죽인다. 은행에 돈을 돌려준 일행은 마이크, 마이크의 할아버지와 새롭게 길을 떠난다.[7] 스포일러 결국 명성을 노리는 폭력배가 지미를 등뒤에서 쏜다. 지미는 죽어가며 보안관 마크에게 자신을 살해한 청년을 죽이지 말라고 부탁한다. 어차피 악명이 저주처럼 그를 따라다니고 외톨이의 삶을 살게 될 것이니. 지미의 과오들을 용서하게 된 아내는 장례식에서 자신이 아내임을 당당하게 밝힌다.[8] Dolores Gray.[9] Uta Hagen. 1919 - 2004. 연극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의 1962년 브로드웨이 초연에서 영화판 엘리자베스 테일러 배역을 연기한 걸로 유명하다.[10] Cheryl Rae Tiegs. 1947-.[11] George Cha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