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00 (r8판)

편집일시 :

과거 다모아차동차에서 운행했던 구 700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파일:서울700-7288.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0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한국일보)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57
막차
00:00
막차
01:27
평일배차
8~20분
주말배차
토요일 11~20분 / 공휴일 13~20분
운수사명
동해운수
인가대수
25대(예비 2대)[1]
노선
대화동종점 - 장성중학교.대진고등학교 - 성저공원.대화동행정복지센터 - 후곡마을 - 일산3동행정복지센터 - 국립암센터 - 마두1동행정복지센터 - 금계초등학교.이마트 - 백석역 - 대곡역 - 행신초등학교 - 서정마을 - 화전역 - 덕은교.은평차고지앞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 → 이대후문 → 금화터널 → 서울경찰청.경복궁역세종문화회관숭례문.한국일보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충정로역아현역이대역 → 신촌아트레온 → 연세로 → 연세대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61.9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915-1번 심야좌석버스(일산신도시 - 서울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광역버스 9706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0년 3월 16일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으며, 노선번호도 700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2년 9월 8일에 화전역(항공대) 구간이 화랑로 옛길에서 중앙로 직통으로 변경됐다.

  • 2019년 7월 5일부터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의 상세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8월 28일을 기해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1분에서 13분으로 늘어났다. 단, 운행횟수 자체는 변동 없다.관련 공문

  • 2020년 5월 18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3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5월 1일을 기해 기점 막차시각이 00:20에서 00:00로 20분 앞당겨졌으며,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어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 3회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배차간격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8~13분/11~13분/12~15분에서 8~14분/11~14분/13~15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18일을 기해 평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95분에서 200분으로 늘어났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109회/95회/85회에서 105회/90회/80회로 4회/5회/5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평일/토요일 14분, 공휴일 15분이던 최대 배차간격 역시 전 요일 20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2년 6월 27일에 1대가 감차되어 같은 날 노선이 변경되는 760번(현 707번)으로 이동된다. 다만 비투입 예비차 감차로 배차간격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4. 특징[편집]


  • 중앙로 연선 행신동과 화정동주민들의 서울 셔틀 역할에 충실한 노선이다. 정류소별 승하차량 데이터에 따르면, 행신초등학교(행신), 고양경찰서(화정) 2개 정류소의 승하차량이 고양시 구간 중 가장 많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특히 디지털미디어시티, 연세대학교, 광화문, 서울역까지 고양 BRT를 이용하여 정시성을 어느 정도 보장으로 실제로 중앙로에 위치한 샘터마을, 햇빛마을, 별빛마을의 경우 행신역, 화정역까지 도보로 이동하여 전철을 이용하는 것과 해당 노선을 집 앞에서 이용하는 것과의 유의미한 시간적 차이가 없다. 또한 66번디지털미디어시티까지는 정확히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경쟁하고 있지만, 250원 더 비싼 경기도 시내버스 특성상 요금 경쟁력 면에서는 이 노선이 우세하다. 다만 66번이 더 자주 오는 편.

  • 주력 노선 외에 일산 청소년들의 간판 노선으로, 대진고등학교~마두1동주민센터까지 88번과, 백석고등학교까지 870번과 겹친다. 이 때 기본요금이 88번은 1,450원, 870번은 2,450원이므로 웬만하면 이 노선을 타자. 특히 아침과 오후의 수요의 상당 부분이 성저마을, 후곡마을~신일중-저동중/저동고-정발고-백석고 라인이거나 마두동, 정발산동, 후곡마을~대진고 가는 길에서 형성되므로 학생들에게 인기가 높다. 이 점은 루트가 다소 유사한 88도 마찬가지다.[2]

  • 참고로 일산신도시 내에서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도 간접적으로 환승 연계가 가능한데, 각각 후곡롯데한양아파트, 초가집-저동고교, 마두1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내린 뒤 걸어가면 일산역, 풍산역, 백마역과 환승 연계가 된다. (위의 정류장들을 경유하는 모든 버스가 각각의 역에서 환승이 된다.)

  • 연세로 차없는 거리 통제시에는 웨딩타운 이후 중앙차로에서 이탈하여 이대역부터 가변차로로 정차하다가, 경의중앙선 신촌역 경로로 진입하여 운행한다.

  • 숭례문.한국일보에서 경찰청으로 우회전하기 때문에 서울역으로 가고 싶다면 숭례문.한국일보에서 도보 이동하면 되며, 광화문빌딩에 정차하는 대신 서울시청은 무정차 통과하므로 광화문빌딩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0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0,171명
-
2014년
10,320명
△ 149
2015년
10,258명
▽ 62
2016년
10,112명
▽ 146
2017년
10,110명
▽ 2
2018년
10,040명
▽ 70
2019년
10,298명
△ 258
2020년
8,606명
▽ 1,692
2021년
8,424명
▽ 182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충정로역, 아현역, 이대역, 신촌역[3]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 대곡역, 경복궁역[4]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5], 서대문역,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탄현역, 일산역, 풍산역, 백마역[6], 대곡역, 화전역,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신촌역[7],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1] 토요일 18대 / 공휴일 16대 운행[2] 특히 백석고의 경우 울며 겨자먹기로 1,000원이 넘어가는 좌석버스에 몸을 실어야 했을 정도.[3] 연세로.문학의거리 하차 후 도보[4] 서울경찰청.경복궁역 정차[5] 광화문.광화문빌딩 하차[6] 탄현역~백마역까지의 역들은 도보로 환승연계 가능[7] 숭례문에서 회차 후 대화동 방면만 연세로 차 없는 거리 통제시에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