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목현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태조 후혜종 후정종(定宗광종 후
경종 후성종 후목종 후현종 후
덕종 후정종(靖宗문종 후순종 후
선종 후숙종 후예종 후인종 후
의종 후명종 후신종 후희종 후
강종 후고종 후원종 후충렬왕 비
충선왕 비충숙왕 비충혜왕 비공민왕 비
우왕 비공양왕 비



고려 덕종의 제2비
경목현비 | 敬穆賢妃
출생연대 미상
왕가도의 사가
사망연대 미상
능묘미상
재위기간고려 현비
1031년 10월 20일 ~ 1034년 10월 31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부계 청주 이씨사성 개성 왕씨
모계 김씨
부모부친 영숙공 왕가도
(英肅公 王可道)
모친 개성군부인 김씨
(開城郡夫人 金氏)
형재자매
1남 3녀 중 차녀 [ 펼치기 · 접기 ]
왕하(추정)
원질귀비[1]
경목현비
상당현군(上黨縣君)[2]
[1] 현종의 제8비 - 후궁[2] 이자연의 장남 이정의 부인
배우자덕종
자녀
1녀 [ 펼치기 · 접기 ]
종교미상
거처미상
작호현비(賢妃)
시호경목현비(敬穆賢妃)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1. 개요[편집]


고려 덕종의 제2비. 고려의 공신 왕가도의 딸이다.


2. 생애[편집]


사실 경목현비는 덕종의 제1비였지만 서열에서 밀렸다.[1] 심지어 제3비인 효사왕후보다도 서열이 높으나 품계는 그보다 낮은데 여기엔 조금 복잡한 이유가 있다. 왕족인 경성왕후, 효사왕후와 달리 아버지인 왕가도가 문벌귀족이었기 때문이다.

같은 왕씨라 혼동하기 쉬우나 왕가도는 원래 청주 이씨 사람으로 본명은 '이자림'이었으나, 김훈·최질의 난을 진압하는 공을 세워 현종으로부터 국성인 왕씨를 사성[2]받았다. 후에 왕가도가 정계에서 은퇴하면서 입지가 흔들렸기 때문에 품계가 더 올라가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3. 가족관계[편집]


덕종과의 사이에서 상회공주를 두었지만 요절했다. 이후 덕종에게 다른 후사는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1:34:04에 나무위키 경목현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031년 10월 7일 왕가도의 딸을 비로 맞아들였다고 《고려사》 세가 덕종 편에 기록되어 있다.[2] 사성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