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장공주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태조 후
혜종 후
정종(定宗
광종 후
1
신혜왕후 류씨
2
장화왕후 오씨
3
신명왕후 유씨
4
신정왕후 황보씨
5
신성왕후 김씨
6
정덕왕후 류씨
1
의화왕후 임씨
1
문공왕후 박씨
2
문성왕후 박씨
1
대목왕후 황보씨
경종 후
성종 후
목종 후
현종 후
1
헌숙왕후 김씨
2
헌의왕후 류씨
3
헌애왕후 황보씨
4
헌정왕후 황보씨
1
문덕왕후 유씨
2
문화왕후 김씨
1
선정왕후 유씨

1
원정왕후 김씨
2
원화왕후 최씨
3
원성왕후 김씨
4
원혜왕후 김씨
5
원용왕후 류씨
6
원목왕후 서씨
7
원평왕후 김씨
덕종 후
정종(靖宗
문종 후
순종 후
1
경성왕후 김씨
2
경목현비 왕씨
3
효사왕후 김씨
1
용신왕후 한씨
2
용의왕후 한씨
3
용목왕후 이씨
1
인평왕후 김씨
2
인예왕후 이씨

1
정의왕후 왕씨
2
선희왕후 김씨
선종 후
숙종 후
예종 후
인종 후
1
정신현비 이씨
2
사숙왕후 이씨
1
명의왕후 류씨

1
경화왕후 이씨
2
순덕왕후 이씨
3
문정왕후 왕씨

연덕궁주 이씨
복창원주 이씨
1
공예왕후 임씨
2
선평왕후 김씨
의종 후
명종 후
신종 후
희종 후
1
장경왕후 김씨
2
장선왕후 최씨
1
의정왕후 김씨
1
선정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임씨
강종 후
고종 후
원종 후
충렬왕 비
1
사평왕후 이씨
2
원덕태후 류씨
1
안혜왕후 유씨

1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1
제국대장공주
충선왕 비
충숙왕 비
충혜왕 비
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홍씨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우왕 비
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고려 충숙왕의 제2비
조국장공주| 曹國長公主

출생
1308년(충렬왕 34년)
사망
1325년(충숙왕 12년)
(향년 18세)
재위기간
고려 왕비
1324년 ~ 1325년

[ 펼치기 · 접기 ]
성씨
보르지긴

금동(金童)
부모
부왕 - 위왕(魏王) 아무케(阿木哥)
형제자매
형제 - 위왕 베이르테무르
배우자
충숙왕
자녀
슬하 1남
아들 - 용산원자
시호
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

1. 개요
2. 결혼
3. 출산과 사망
4. 가계
4.1. 친정( 황실)
4.1.1. 조상
4.1.2. 부모
4.2. 배우자 및 자녀


1. 개요[편집]


고려 제27대 국왕 충숙왕의 제2비.

추존 황제 순종 다르마발라의 손녀이며 고려 제 31대 국왕 공민왕의 비 노국대장공주의 고모다.


2. 결혼[편집]


충숙왕은 첫 왕비인 복국장공주와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자주 부부싸움을 했다고 하고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때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결국 복국장공주는 자녀를 두지 못하고 죽었으며 충숙왕은 새로 조국장공주와 결혼한다.


3. 출산과 사망[편집]


1325년 조국장공주는 충숙왕의 아들을 낳았는데 용산(龍山)[1] 인근을 지나다가 낳았기 때문에 왕자는 용산원자라고 불리게 되었다. 조국장공주는 용산원자를 낳은 지 얼마 안 되어 17세의 나이로 요절했고, 용산원자 또한 1341년에 16세의 나이로 요절했다.[2]

이후 충숙왕은 또 다시 원나라 공주인 경화공주와 새로 결혼하지만 경화공주와의 사이에서도 자녀를 두지 못하고 죽었다. 그래서 고려인덕비 홍씨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인 왕정이 대를 잇게 된다.

4. 가계[편집]



4.1. 친정( 황실)[편집]



4.1.1. 조상[편집]


  • 5대조 : 태조(太祖) 칭기즈 칸
  • 5대조모 : 보르테 우진
    • 4대조 : 예종(睿宗) 툴루이
    • 4대조모 : 헌의장성황후(顯懿莊聖皇后)
      • 고조부 : 세조(世祖) 쿠빌라이 칸
      • 고조모 : 소예순성황후(昭睿順聖皇后)
        • 증조부 : 유종(裕宗) 칭김
        • 증조모 : 휘인유성황후(徽仁裕聖皇后)
          • 조부 : 순종(順宗) 다르마발라
          • 조모 : 답랄마팔라 황후 곽씨(答剌麻八剌 皇后 郭氏)

4.1.2. 부모[편집]



4.2. 배우자 및 자녀[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0:35:43에 나무위키 조국장공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늘날 서울특별시 용산구.[2] 만약 용산원자가 더 오래 살아서 충혜왕 왕정과 공민왕 왕전을 제치고 왕위에 올랐다면, 말 그대로 혈통이나 정체성이나 모두 몽골인인 고려국왕이 탄생하는 것이었다. 아버지 충선왕도 몽골계의 피가 더 많이 흘렀는데 충선왕과 몽골 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용산원자는 말할 것도 없다. 공민왕이 반원개혁을 할 수 있었던 것 중에 하나가 어머니가 고려인이라는 것이었는데, 만약 용산원자가 보위를 이었으면 고려는 몽골의 일부가 되어 국가 정체성을 상실하고 종속되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