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역

덤프버전 :


班城驛Banseong Station

반성역
부전·동대구 방면
군 북
← 13.5 ㎞
목포 방면
진 주
13.3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Banseong
한자班城
간체자
가나班城(パンソン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일사로 787
(舊 운천리 893)
관리역 등급
보통역(3급)
(마산역 관리/코레일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전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전선1925년 6월 15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경전선
반 성

파일:attachment/Banseong.jpg
신 역사
파일:external/cphoto.asiae.co.kr/2012101823373991692_6.jpg
구 역사
파일:옛 반성역.jpg
2002년 이전 구 역사

1. 개요
2. 역사
3. 승강장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5.1. 시간표
5.1.1. 상행
5.1.2. 하행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반성역 스탬프.jpg
반성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진주수목원을 형상화했으며, 특이하게 현재 폐역인 진주수목원역의 역명까지 함께 적혀 있다. 날인하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상태가 안좋으니 주의할것. 평촌역 스탬프도 함께 비치중이다.

1925년 경전선의 보통역으로 출발

옛 역사는 주민 친화형 카페로 변신

반성역은 1925년 6월 10일 경전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역으로 1997년 인근 평촌역이 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신호 취급과 여객 관리를 맡게 되었다. 157.69㎡ 규모의 소박한 목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에서 2002년 새 역사를 준공하면서 깔끔하고 아기자기한 모습으로 단장을 하였다. 하지만 2012년 경전선 복선전철사업으로 인해 기존 장촌리에서 운천리로 약 2㎞ 정도 서쪽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고 옛 역사는 당시의 역명판과 디자인을 활용한 카페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옛 진주역과 이어지는 자전거길이 개통되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현재의 역사는 현대식 외관에 ㄷ자 모양의 붉은색 건축 조형물이 특히 인상적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전선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일사로 787 (운천리) 소재.

구 역사는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동부로1960번길 9 (창촌리)에 위치해 있었다. 하루 14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있다.


2. 역사[편집]


경전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2012년 10월 23일에 구 역사에서 2㎞ 정도 서쪽으로 떨어진 곳으로 이설하였다.

읍내에서도 수목원에서도 멀어지는 위치라서 수요가 떨어지지 않을까 염려하고 있다. 당장 일반성면 사무소와 붙어있던 구 역사 중심으로 돌아가던 버스 노선을 전면적으로 갈아엎지는 않았었지만 2017년 3월 15일에 진주버스 노선이 전면적으로 개편되는 탓에 기존 읍면노선이 사라지고 기존 시내버스를 연장 운행하기 때문에 기존 1일 18회 반성역을 경유하는 버스 운행이었지만 1일 16회로 줄어들었다. 반성역이 갈 일이 있다면 281번을 탔어야 다.

하지만 2020년 7월 30일에 기존의 동부 순환버스가 부활하면서 281번 대신 002번002-1번이 다시 운행하게 되었다.

덕분에 마산역 ~ 진주역 간의 소요시간은 대폭 줄어들었지만 본래 기차역 주변의 상권 악화는 물론이거니와 연계되는 교통편도 여의치 않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6년 기준 하루 평균 100명 이상의 승객이 이 역에서 타고 내린다.

구 역사는 2002년 7월 28일에 완공한 것이다. 기껏 지어놓고 불과 10년만 사용한 상태에서 폐지되어 지역 사회에서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인근에 경상남도수목원이 있어서 진주수목원역이 개업할 때까지는 사람들이 많이 찾았다. 지금은 약간 줄어든 상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다.[1] 진주수목원역 이름이 반성역 스탬프에 딸려 나온다.

2021년에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역에서 열차를 타려면 코레일톡이나 열차 내 여객전무에게 표를 구입해야 한다.

3. 승강장[편집]


군북
4321
진주

1·2경전선[[무궁화호|

무궁화호
]]
진주·순천·목포 방면
3·4마산·동대구·부전 방면

4. 역 주변 정보[편집]


역 바로 주변에는 아무 것도 없다. 일반성면 면소재지가 반성천 건너편에 있기 때문이다. 경전선 철길은 일반성면 면소재지를 뻔히 지나는데, 정작 면소재지에 역이 들어선게 아니라 다른 데 들어선 것이다.

반성역 바로 옆에 1037번 지방도가 있어서 남쪽으로는 고성군 가천저수지 방면, 북쪽으로는 남해고속도로 지수IC 방면으로 갈 수 있다. 반성역에 오가는 것은 철도나 대중교통이 아니라 자가용 자동차로 오는 것이 훨씬 좋다는 말이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무궁화호|

무궁화호
]]
비고
2004년134명
2005년164명
2006년167명
2007년168명
2008년138명
2009년113명
2010년116명
2011년119명
2012년118명
2013년181명
2014년150명
2015년131명
2016년103명
2017년89명
2018년79명
2019년80명
2020년51명
2021년51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반성역·진주수목원역, 평촌역 등도 스탬프가 있다.


5.1. 시간표[편집]



5.1.1. 상행[편집]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48무궁화1902동대구
07:31무궁화1942부전
10:26무궁화1944부전
14:03무궁화1952부전
18:49무궁화1946부전
21:32무궁화1912동대구

5.1.2. 하행[편집]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8:27무궁화1951목포
12:21무궁화1941순천
15:07무궁화1943순천
19:51무궁화1907진주
20:57무궁화1945순천
21:37무궁화1909진주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0:42:08에 나무위키 반성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