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611 (r2판)

편집일시 :

>
서울특별시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70117013701670177018
70197021702270247025
72117212761176127613
77117713771577197720
77227723[a]772677277728
77307734773777387739
87018762877187728773
87748777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


파일:IMG_5605(7611_7276).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6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611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은평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유진투자증권.파이낸셜뉴스신문)
종점
첫차04:10기점
첫차05:11
막차22:40막차23:43
평일배차8~14분주말배차토요일 10~15분/공휴일 10~18분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18대(예비 1대)[1]
노선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증산교 →) -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 - 새절역 - 응암오거리 - 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 명지대학교 - DMC파크뷰자이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 - 연남동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이대역 - 아현역 - 서울마포경찰서 - 공덕역 - 마포역 - 마포대교 → 유진투자증권.파이낸셜뉴스신문 → 여의동주민센터 → 63빌딩.여의도성모병원 → 여의나루역마포대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현대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9.04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노선 자체는 범일운수 70번(소하동 - 신촌역)의 '연남동 - 신촌역 - 여의도' 구간을 계승한 것이다.

  • 2013년 9월 26일에 7716번을 흡수해 '명지대삼거리 - 새절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은평차고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대신 홍연2교종점과 여의도공원(19-138), 공작아파트(19-160)로는 가지 않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또한 노선이 길어지면서 기점이 홍연2교일 당시 23:10이던 기점 막차시각이 은평차고지 기준 22:40으로 빨라졌다. 그리고 이번 연장과 함께 가스충전 문제도 해결되었다.

  • 파일:20170702_214629.gif
주말에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이 배달을 시킨 사람들과 배달부들이 뒤엉켜 버스들이 정차하기 어려워 부득이하게 도로 한가운데에 정차하는데, 이 탓에 주변 교통이 더 혼잡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2017년 7월 1일부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서 정차하게 되었다. 관련 기사 (관련 사진)

  • 2021년 4월 1일을 기해 평일 한정으로 1대 존재하는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되면서, 평일에 한해 1일 총 운행횟수가 1회 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 불가능한 노선이다.

  • '남가좌동 ~ 충암고’' 구간을 오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나머지 노선들은 전부 충정로로, 북가좌동으로 간다.


  • 마포,공덕동 ~ 이대역, 신촌 및 명지대 ~ 신촌, 이대 수요가 많다. 7612번이 홍대이면, 7611번은 신촌, 이대 수요가 대부분이다.


  • 서울 시내 일반버스 중에서 신촌로 굴레방다리 정류소에 유일하게 정차한다.

  • 봄이 시작되는 3월부터 겨울이 시작되는 11월까지는 여의나루역에서 평일과 주말의 정차 위치가 다르니 주의. 평일에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에,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 정차한다. 해당 정류장 사진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61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6,467명-
2014년8,696명△ 2,229
2015년9,117명△ 421
2016년9,422명△ 305
2017년9,668명△ 246
2018년9,967명△ 299
2019년10,149명△ 182
2020년7,362명▽ 2,787
2021년7,790명△ 428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611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63빌딩.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19144
여의동주민센터
19148
여의도중학교
19142
하나은행여의도지점
19287
여의나루역
19140
종점유진투자증권.파이낸셜뉴스신문
19283
이상 회차 구간
마포역
14001
마포역
14002
공덕역
14003
공덕역
14004
아현동주민센터
14005
아현동주민센터
14006
마포경찰서
14007
마포경찰서
14008
아현초등학교
14009
아현초등학교
14010
아현역
13044
아현역
14215
웨딩타운
13042
웨딩타운
14067
이대역
13025
이대역
14064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13023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14063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3021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4062
동교동삼거리
13019
동교동삼거리
14061
연희동대우아파트
13147
연남동
14226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13111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13110
사천교
13109
사천교
13007
모래내시장.가좌역
13107
모래내시장.가좌역
13005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13181
모래내삼거리
13182
DMC.파크뷰자이
13339
DMC.파크뷰자이
13180
남가좌동새마을금고
13335
래미안루센티아아파트
13190
명지대사거리
13191
DMC에코자이아파트
13192
-DMC센트럴아이파크아파트
13193
명지대
13194
명지대
13195
명지대삼거리
13196
명지대삼거리
13197
명지중고등학교
13219
명지중고등학교
13218
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13221
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13220
응암초등학교
12155
응암초등학교
12164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12156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12163
응암오거리
12157
응암오거리
12163
새절역
12169
새절역.숭실고입구
12176
와산교
12170
와산교
12175
연서중학교입구
12423
연서중학교입구
12422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
12364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
12174
증산종합시장.증산중학교입구
12172
증산종합시장.증산중학교입구
12173
-증산교앞
13212
디지털미디어시티역
12310
디지털미디어시티역
12007
수색역앞
12006
수색역앞
12005
수색교
12004
수색교
12003
덕은교.은평차고지앞
12002
덕은교.은평차고지앞
12001
은평공영차고지
35331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1] 토요일 14대 / 공휴일 13대 운행[2] 은평공영차고지 한정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