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덤프버전 :


An Apple Original
파일: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한글로고.webp
파일: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시즌2 포스터.png
▼ 시즌 1 포스터
파일: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포스터.jpg
장르다큐멘터리, 공룡
방영 기간시즌 1: 2022년 5월 23일 ~ 2022년 5월 27일
시즌 2: 2023년 5월 22일 ~ 2023년 5월 26일
방영 횟수시즌 1: 5부
시즌 2: 5부
제작BBC Studios
VFXMPC[1]


제작존 패브로제작총괄
마이크 건튼[2]제작총괄
앤드류 존스[3]
음악한스 짐머[4]
카라 타브
안제 로즈만
해설데이비드 애튼버러
자문대런 내이쉬[5]
스콧 하르트만[6]
스티브 브루사테[7]
마크 위튼[8][9]
스트리밍
파일:Apple TV+ 로고.svg[[파일:Apple TV+ 로고 화이트.svg
지원 파일:4K logo Backup.svg | 파일:Dolby Atmos Light Logo Backup.svg | 파일:Dolby Vision Light Logo Backup.svg | 파일:CC Light Logo Backup.svg | 파일:SDH Light Logo Backup.svg | 파일:AD Light Logo Backup.svg
시청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MetadataBadge TV-PG OnDark-72b292b401192ca9c7fe514ecd2b8b4b.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
2. 시놉시스
3. 예고편
3.1. 시즌 1
3.2. 시즌 2
4. 미리보기
4.1. 시즌 1
4.2. 시즌 2
5. 에피소드 목록
5.1. 시즌 1
5.2. 시즌 2
7. 사운드트랙
7.1. 시즌 1
7.2. 시즌 2
8. 오류
8.1. 고생물 복원도 관련
8.2. 생존 시기·지역 관련
8.3. 기타
9. 평가
10. 기타



1. 개요[편집]


Apple TV+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시리즈로, 다큐멘터리로 유명한 BBC 다큐멘터리 팀과 함께 제작하였다. 백악기 말에 살았던 공룡들의 삶을 재현하기 위해 CG로 제작했다. 공룡시대를 마무리짓는 마스트리히트절 시기의 지구를 배경으로 삼았으며, 설정상 K-Pg 멸종이 일어나기 전이다.

2. 시놉시스[편집]


존 패브로와 '살아있는 지구' 제작자들이 만든 이 장대한 다큐멘터리에서는 전례 없는 경이로움을 경험할 수 있다. 웅장한 공룡과 특별한 생물들이 땅과 바다, 하늘을 누볐던 6,6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3. 예고편[편집]



3.1. 시즌 1[편집]


티저 예고편

공식 예고편

공식 예고편 2

해당 예고편에 나온 고생물들의 디자인이 근래의 고생물 다큐멘터리 중에서도 재현성이 좋아 많은 공룡덕후 및 고생물 덕후들의 큰 기대를 받았다.


3.2. 시즌 2[편집]


티저 예고편

공식 예고편


4. 미리보기[편집]



4.1. 시즌 1[편집]


티라노사우루스[10]모노니쿠스
투아랑기사우루스트리케라톱스
데이노케이루스파키리노사우루스 VS 나누크사우루스


4.2. 시즌 2[편집]




5. 에피소드 목록[편집]



5.1. 시즌 1[편집]


파일: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한글로고.webp 에피소드 목록
회차제목내용공개일러닝 타임
1해안투아랑기사우루스 새끼는 바다에서 가장 치명적인 포식자가 사는 바다를 통과할 때 임신한 어미가 곤경에 처했음을 알아차린다.2022.05.23.42분
2사막북아프리카 사막의 상공에서 수컷 바르바리닥틸루스들이 암컷의 관심을 얻기 위해 공중전을 벌인다.2022.05.24.40분
3담수깃털 달린 몸과 오리 부리를 가진 8t짜리 데이노케이루스는 성가신 흡혈 파리로부터 벗어날 방법을 찾아 아시아의 습지를 거닌다.2022.05.25.39분
4얼음세상눈 덮인 숲에서 고대의 라이벌 파키리노사우루스와 나누크사우루스가 팽팽하게 대치한다.2022.05.26.41분
5북아메리카의 지하 동굴을 탐험하는 새끼 트리케라톱스가 어미와 떨어져 위기에 처한다.2022.05.27.41분


5.2. 시즌 2[편집]


파일: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한글로고.webp 에피소드 목록
회차제목내용공개일러닝 타임
1작은 섬에서, 거대한 하체곱테릭스가 짝에게 구애하기 위해 온화한 모습을 드러내며 기념적인 전시가 열린다.2023.5.22.41분[11]
2불모지타오르는 사막에서 걸어가는 두마리의 타르키아는 오아시스를 찾아 안도감을 얻지만 자신들보다 두배나 큰 성체를 마주한다.2023.5.23.46분
3습지많은 개체가 가뭄으로 죽은 분지에서 늙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어린 도전자로부터 자신의 지도력을 지킨다.2023.5.24.38분
4바다수면 아래 깊은 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포식자인 모사사우루스가 아무것도 모르는 먹잇감을 사냥하기 위해 매복하고 있다.2023.5.25.37분
5북아메리카거대한 날개가 달린 적을 제외하고는 크기와 치명적인 악력을 가진 북아메리카 최고의 포식자 티렉스를 위협할 수 있는 동물은 많지 않다.2023.5.2638분


6. 등장 생물[편집]


파일:prehistoricplanet2022.pn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등장 생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사운드트랙[편집]



7.1. 시즌 1[편집]


파일:FWBJmCKWAAE70od.jpg
트랙곡명듣기
1Prehistoric Planet The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Dromaeosau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Elasm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Alciones & Phosphatodraco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Carnot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Bioluminescent Ammonit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Pter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Velocirapto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Deinochei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Ankylosaur Brothe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Mosasaur Sp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Mosasaur Battl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T-Rex and Turtle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Hadrosaur Nurse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Nanuq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Tuarangisaurus & Kaikaifilu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Plesi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Quetzalcoatl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Triceratop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Barbaridactyl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Hatzegopteryx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Dreadnought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Waterhole & Tarb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Mononyk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Lizard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Secern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pple Music, Spotify 등 메이저 플랫폼에서 들을 수 있다.


7.2. 시즌 2[편집]


파일:프플2 앨범사진.png
트랙곡명듣기
1Prehistoric Planet Suit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Isi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Tarbosaurus & Velocirapto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Tarchia Retrea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Corythorapto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Raja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Alam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Troodontida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T-Rex vs Quetzalcoatl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Globidens & Mosa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Pectinod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Triceratops Gatheri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Ornithomimus & Nanuq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Azhdarchid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Beelzebufo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Pachycephal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Tyrannosaurus Brothe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World of Ammonite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Phosphorosaur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Hesperorni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Baby Ammonite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Morturner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Tethyshadr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Adalatherium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Simosuch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Imperobato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Hatzegopteryx Courtship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오류[편집]


제작 당시 최신의 연구 결과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공룡 다큐멘터리이지만, 제작 도중 새로 밝혀진 사실로 인한 오류와[12] 몇 가지 자잘한 오류가 에피소드마다 보인다. 그래도 고생물학자들이 자문위원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해 다른 공룡 다큐멘터리들과는 다르게 오류가 큰 영향을 줄만큼 심하지 않고 적은 편이다.


8.1. 고생물 복원도 관련[편집]


  • 카르노타우루스 등에 뾰족한 비늘이 악어처럼 줄로 나열되었는데, 이 비늘은 실제로는 일정한 규칙 없이 몸 곳곳에 다양한 크기로 나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안타륵토펠타의 형태를 일반적인 노도사우루스류의 외형으로 묘사했지만 노도사우루스류에 더 이상 속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고, 무엇보다 실제 외형도 꼬리 끝이 스테고우로스의 것과 닮았을 것이라고 한다.

  • 토머스 홀츠(Thomas Holtz)나 멜리사 파디(Melissa Pardi) 등 몇몇 고생물학자들이 드레드노투스의 앞발에 나있는 엄지 발톱에 대해 의문을 표한 적이 있다. 본래 이러한 특징은 후대의 분류학적으로 분화된 티타노사우리아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기 때문이다. 대런 내이쉬는 이에 대해 제작 당시 비교적 분화된 티타노사우리아였던 디아만티나사우루스를 바탕으로 복원한 것이라고 답했지만, 현재 그 분류는 잘못되었다고 판단된다. 그와는 별개로 실제로 드레드노투스의 발이 발견된 적이 없다는 것과 드레드노투스와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용각류들에게는 그러한 구조가 없다. 정확한 사실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밝혀지겠지만 대런 내이쉬 본인도 만약 더 빨리 그 사실을 알았다면 바꿨을 것이라고 한다.[13]

  • 중생대 해양파충류 전문 고생물학자 아멜리아 지엣트로(Amelia Zietlow)는 모사사우루스의 모델링이 실제 골격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녀가 모니터링해본 결과 이빨 개수가 실제 모사사우루스의 것과 완전히 틀리고 그 크기가 너무 작으며 머리 구조에선 모사사우루스아과 특유의 가느다란 주둥이와 이마의 돌출 구조가 묘사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지느러미의 두께가 너무 얇다고 지적했다. 마찬가지로 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카이카이필루 역시 체형이 실제 골격과 다르다고 한다.[14] 물론 해부학적 고증은 잘못되었어도 실제 동물의 몸을 덮는 연조직도 고려해야 정확한 복원도가 나올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 한국의 고생물학자 박진영[15]타르키아 두상의 복원도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했다. 실제 화석과 달리 머리 윗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매끈하며, 머리 뒤쪽에 가시 4개가 너무 작고 뾰족하다.


8.2. 생존 시기·지역 관련[편집]


본작에 나온 생물들의 생존 시기 및 지역이 어긋나는 경우는 테티스하드로스처럼 제작 도중에 나온 연구로 인해 생긴 오류를 제외하면, 여기에 언급한 예시들은 자문위원 대런 내이쉬에 의하면 어떤 생물이 특정 지층에서 발견되었다고 해서 그곳에서만 살았다고 볼 수는 없고, 지리적으로 멀지 않거나 특정 방식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다른 지역까지 얼마든지 갈 수 있었을 것이며 시대적으로도 알려진 것보다 더 이전/이후에도 살았을지도 모른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 묘사라고 한다. #

  • 시즌 1
    • 카이카이필루가 투아랑기사우루스와 같이 살았다는 증거는 없으며, 서식지도 각각 남극 및 뉴질랜드로 서로 다른 장소다. 물론 해양 파충류인데다 당시에나 지금이나 지리적으로 비교적 가까운 지역이었기에 만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러한 관점을 그대로 적용해 시즌 2에서도 거의 전세계에서 화석이 발견된 모사사우루스가 투아랑기사우루스를 사냥한다.
    • 케찰코아틀루스아프리카 남부와 남아메리카에 출현하는데, 2022년 기준으로 남반구에서 케찰코아틀루스의 화석 발견 기록이 없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현실의 조류처럼 비행 생물은 이동 방식상 지리적 장벽을 쉽게 뛰어넘기 때문에 그러한 요소를 보여주고자 의도적으로 연출한 것에 가깝다. 이에 미국과 요르단 그리고 모로코에서도 살았을 가능성이 있는 아람보우르기아니아가 출현하는 것이 더 적합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 시즌 2
    • 알키오네가 유럽에 출연하는데, 이는 닉토사우루스과 화석이 유럽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넣은 것이지만, 2022년 기준으로 알키오네는 닉토사우루스과 그 자체로 분류되진 않는다.[16]
    • 테티스하드로스가 다큐의 배경인 마스트리히트절에 살았다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는 제작 도중 2021년에 공개된 논문을 통해 테티스하드로스의 추정 생존 시기가 8150~8050만년 전에 해당되는 캄파니아절로 바뀌어 생긴 불가피한 오류다.
    • 코리토랍토르와 쿠루(Kuru)가 서로 공존하는 모습으로 나오는데 코리토랍토르는 남중국의 숲 환경이었던 난슝층, 쿠루는 몽골의 사막 환경이었던 바룬고욧층에서 발견되었기에 본작에 나온 것과는 달리 서로 공존하지는 않았다.
    • 샤모수쿠스(Shamosuchus)가 나오는데, 분류에 논란이 있는 종이긴 하지만 현재로썬 캄파니아절의 기록만 발견되었다. 다만 샤모수쿠스가 발견된 작독하층의 시기가 다른 몽골의 마스트리히트절 지층인 네메겟층이나 바룬고욧층과 크게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에 대해 대런 내이쉬는 본래 두개골 형태 등을 바탕으로 파랄리가토르(Paralligator)를 염두에 둔 것인데 다큐에선 모종의 이유로 샤모수쿠스로 나오게 되었다고 밝혔다.[17]

8.3. 기타[편집]


본작의 많은 고생물들이 본래 크기보다 최대 추정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중 몇몇은 제대로 된 근거 없이 가능성만 가지고 최대 개체들의 크기가 마치 평균적이라는 듯이 묘사한다. 대표적으로 티라노사우루스가 몸길이 13m에 몸무게 10t에 달한다는 설명이 있는데, 이는 최대 개체들 중 하나인 스코티의 추정치보다도 약간 더 큰 편이다. 물론 스코티가 어린 개체여서 이보다 큰 티렉스는 충분히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아무래도 기본적으로 TV 프로그램이기에 자문위원의 말이 모두 반영되는 것은 아니어서 이들의 개입과 상관 없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시즌 2의 '습지'에서 이런 부류의 오류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전술한 샤모수쿠스/파랄리가토르 문제 외에 에드몬토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보다 2배 더 빠르다는 서술은 엄연히 잘못된 것이 맞으며, 자문위원들은 둘 다 속도가 비슷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고 밝혔다. 또한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무리가 사는 환경이 굉장히 건조하게 묘사되었는데, 비록 해당 장면의 배경이 가뭄이기는 하였지만 에피소드 자체의 제목인 '습지'와도 맞지 않으며 이들이 살았던 헬크릭층의 환경과도 차이가 나는 편이다.[18]


9.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선사시대 동물들을 마주치기만 하면 무조건 서로 죽일 듯이 공격하거나 싸우고, 꼭 누군가를 잡아먹기만 하는 괴물이 아닌 벌레 때문에 간지러워 몸을 긁고, 숲속에서 만나 구애의 춤을 추는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하나의 현실적인 동물로 묘사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는다. BBC 사이언스 유닛에서 제작된 공룡대탐험 등의 Walking with... 시리즈 및 많은 고생물 다큐멘터리와는 달리 본작은 BBC 자연사 유닛에서 제작되었기에 더 실제 자연사 다큐에 가깝다는 평이 많다.

CG 부분에서도 호평이 많은데, 훌륭한 공룡의 외형 묘사는 물론 CG 퀄리티도 제작자 존 패브로답게 높은 편이라 이에 대해서도 호평이 많은 편이다.


10. 기타[편집]


  • 공룡 다큐멘터리 중 오랜만에 생태 재현물 형식으로 제작했다. 공룡대탐험으로 유명한 BBC 스튜디오가 제작을 맡았으며, 존 패브로, 데이비드 애튼버러, 한스 짐머 등 제작진이 화려한 편. Dinosaur Revolution의 감독 데이비드 크렌츠도 참여하였다.

  • All Yesterdays의 저자 대런 내이쉬가 자문 총괄을 맡았으며 그와 비슷한 성향의 고생물학자들이 자문에 참여한 만큼, 여러모로 해당 도서의 관점[19]을 계승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작중 공룡들은 우렁찬 소리 대신 울리는 소리를 내는데 공룡은 성대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도 저런 소리를 냈을 가능성이 높다.

  • 한국어 자막 한정의 문제로 번역자가 "~사우루스류"로 끝나는 부분도 "~사우루스"로 그대로 번역해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해설의 발음이 "소어(saur)"로 들리면 "~사우루스류", "소러스(saurus)"로 들리면 "~사우루스" 그 자체라고 봐야 한다.

  • 동일하게 공룡을 주요 소재로 다룬 영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이 다큐멘터리 공개 시기와 비슷한 시기인 2022년 6월에 개봉했다.[20] 공개와 동시에 압도적인 호평을 받은 본작과는 달리,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은 개봉 이후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며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최종장답지 않은 아쉬운 작품이 되면서 서로 정반대의 대비를 이루게 되었다. 더군다나 시즌 2 공개 시기 개봉한 영화 65가 고생물들의 복원도는 물론, 작품성도 엉망이고 NHK에서 제작한 공룡초세계2(恐竜超世界2)도 평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기에 시즌 2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졌다. 덕분에 망작 공룡 영화, 공룡 다큐들의 담당 일진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왔다.


파일:Prehistoric_planet.png
  • 애플 오리지널 콘텐츠답게 Apple 명동 매장 전면에 다큐멘터리를 홍보하는 대형 이미지를 전시했다. 참고로 전 세계 Apple 스토어 중 세 군데에만 있다고 한다.

  • Apple TV+로만 공개한 탓에 Android 같이 애플 제품이 아닌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보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가입이 까다롭다는 문제나 정작 가입해도 고화질로 재생할 수가 없는 문제 등.

  • 2022년 11월 9일에 Televisual Bulldog Awards에서 최고 VFX 부문을 수상하였다. #1 또한 11월 17일에는 Hollywood Music In Media Awards에서 다큐멘터리 OST 부문을 수상하였다. #2 11월 29일에는 Broadcast Tech Innovation Awards에서 최고 VFX 프로젝트 부문을 수상하였다. #3

  • 이 다큐멘터리의 장면 중 같은 방송사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의 촬영분을 활용한 것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5화에서 아우스트로포세이돈이 등장하기 직전 식물들이 성장하는 장면은 그린 플래닛 1화의 발사나무가 덩굴들을 떨쳐내며 햇빛을 차지하는 장면을 그대로 삽입한 것이며, 드러난 세상 파트에 나온 장면 중 살아있는 지구 2의 장면을 삽입했다. 시즌 2 에피소드 3의 샤모수쿠스의 클로즈업 장면에서는 더 헌트(The Hunt)의 나일악어 장면을 사용했고, 에피소드 4의 드러난 세상 파트에도 같은 다큐에 나온 나일악어의 누 사냥 장면을 삽입했다.

  • 공룡 다큐멘터리 중에선 이례적으로 NHK의 공룡초세계(恐竜超世界)와 더불어 시즌 2가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7:39:06에 나무위키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바타, 정글북 등의 그래픽 담당. BBC의 Truth about Killer Dinosaurs라는 2005년 공룡 다큐의 특수효과도 담당하였다.[2] 영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이자 BBC Natural History Unit의 고위 간부로, 살아있는 지구 2의 총괄 제작자이기도 하다.[3] 아바타, 정글북으로 아카데미 시각효과상을 두 번 수상하고 아이, 로봇, 라이온 킹으로 노미네이트 된 존 패브로 사단이다.[4] 앤드류 제임스 크리스티(Andrew James Christie)와 함께 오프닝과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메인 테마만 담당하였다. 그간 다른 BBC의 자연사 다큐멘터리에도 이런 방식으로 참여하였다.[5] All Yesterdays의 저자. 해당 프로젝트 자문 총괄.[6] 위스콘신 대학교 부교수.[7] 에든버러 대학교 교수.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자문 담당.[8] 익룡 전문 고생물학자이자 팔레오아티스트.[9] 그 외에도 가브리엘 우구에토 등 유명한 팔레오아티스트들이 생물 디자인 제작에 참여했다.[10] 에피소드 1에선 해당 클립의 일부분이 사용되고 몇몇 장면 및 음악이 대체되었다.[11] 사실 시즌 2에선 후반 7~8분에 보너스 콘텐츠 및 더 길어진 엔딩 크레딧이 들어있어서 실질적인 다큐의 러닝타임은 오프닝 포함해서 30분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다른 에피소드들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시즌 2의 2번째 에피소드인 불모지가 그나마 이를 제외한 분량이 거의 40분 가까이 된다.[12] 달리 말하자면 고생물학계에선 언제 기존 학설이 반박될지 모를 정도로 항상 새로운 연구들이 나온다는 증거이기도 하다.[13] 참고로 이 엄지 발톱 묘사는 같은 모델링을 사용하는 알라모사우루스에게도 적용되었다.[14] 다만 이 동물이 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지는 아직 두고 볼 문제이다.[15] 타르키아 투마노바이의 명명자이다.[16] 때문에 닉토사우루스과처럼 손가락이 없는 묘사가 잘못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는데, 이는 날개 전체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불확실하다.[17] 사실 시즌 1의 세케르노사우루스도 마찬가지로 2022년에 후알라사우루스(Huallasaurus)라는 별개의 속으로 재분류된 종을 바탕으로 복원되었다.[18] 대런 내이쉬 본인도 이 장면의 배경에 불호를 표하기도 하였다. 다만 후두류의 복원도에서 광대뼈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본인도 각룡류와 조각류는 이를 가졌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조반목 사이에서도 종마다 차이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러 디자인할 때에 염두에 두지 않았다고 한다.[19] 모노니쿠스로 대표되는 현생 동물 기반의 외형 복원, 용각류 목의 울음주머니로 대표되는 일부 파격적 복원, 최신 연구 결과 소개, 현생 동물에 기반한 생태 습성 재현.[20] 우연인지 이 다큐에 나온 생물들의 일부가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에도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