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버스

덤프버전 :






선진버스 주식회사
Sunjin Bus Corp.
파일:G6xdHrw.png
핵심인물신재호 (회장)
서창연 (대표이사)
설립일자1955년 2월 28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기업규모중소기업
주소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본사, 월곶공영차고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69 (일산영업소)
경영방침지키고 싶으면 공격하라
홈페이지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지배구조
4. 특징
5. 보유 노선
6. 면허 체계
7. 영업소
8. 보유 차량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M7119_1007.png파일:김포7000.png
광역급행버스
광역급행버스 M7119
직행좌석버스
김포 버스 7000
파일:김포21볼트온.jpg파일:김포90_9480.png
좌석버스
김포 버스 21
일반형버스
김포 버스 90
파일:고양60.png파일:G6xdHrw.png
맞춤형버스
고양 버스 60
선진버스 로고

경기도 김포시고양시시내버스 회사. 악명 높은 선진그룹의 계열사임에도 불구하고 김포시에서는 안전운전을 중요시하는 회사이다.


2. 역사[편집]


  • 1954년에 설립되어 김포시와 고양시 일대의 시외버스를 운행한 '인항여객'이 전신이다.

  • 1997년 경영난을 겪어 선진운수에 인수됐고 사명을 '선진버스'로 변경했다.

  • 2000년 선진운수도 경영난에 빠지자 신재호 성민통운 사장이 선진버스를 인수했다. 법인을 그대로 인수해 사명과 차량, 사업소, 고용관계가 모두 승계됐다. 따라서 선진버스는 선진그룹의 모태가 되는 회사이다.

  • 2000년대 초에는 김포시와 고양시, 강화군의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했으나 강화 노선은 2006년 강화교통을 설립해 양도했고, 고양시 노선도 2007년 고양교통을 세워서 넘겼다.

  • 2009년 10월에 선진그룹이 계열사들의 시외버스를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선진버스의 시외 노선들도(70번, 90번)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했고, 김포운수강화교통과 노선을 일부 교환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김포운수선진상운은 주로 서울행 노선을 선진버스는 주로 인천행과 일산행 노선을 보유하는 중이다.



3. 지배구조[편집]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재호5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포운수4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영상6.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자사주4.00%


4. 특징[편집]


  • 과속이 심하여 사고가 잦은 김포운수선진상운에 비하면 사고가 매우 적다. 2020년에 서창연 대표이사가 취임한 후 안전교육 강화, 운행기록 관리, 노선별 운행속도 제한, 안전교육을 시행하며 기사들과 노력한 덕분에 김포시에서 사고의 비율이 가장 적은 회사로 개선되었다. 서창연 대표이사가 취임하자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인데 선진버스의 급여와 복지가 김포운수와 선진상운보다는 양호하고 주기적으로 서울 공항중삼거리 버스 간 추돌 사고를 추모한다.

  • 2022년에 일반형버스는 65~70km/h로 속도를 제한하고 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는 80~90km/h로 속도를 제한한다. 이전에는 일반형버스가 80km/h였고 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가 100~110km/h였는지 그마저도 제한장치를 별도로 부착한 것이 아니라 차량 자체적으로 속도제한을 걸어둔 것이라 연식이나 컨디션에 따라 GPS의 속도와 계기판의 속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 김포시에서 유일하게 차량의 디지털 타코그래프를 이용하여 운행기록을 관리한다. 급가속, 급제동, 과속, 고RPM 사용을 확인하는데 기사들은 '타코 기록'이라고 부른다. 매월 말일에 영업소 게시판마다 상습위반자가 게시되고 동시에 휴일에 본사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본사에 불려가는 날이 많거나 위반 사안이 심각하면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여 기사를 징계한다.

  • 안전관리부 소속 직원이 안전관리 전용 차량을 운전하여 이용객이 많은 정류장 부근으로 이동한 후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기사를 단속한다. 단속을 담당하는 직원은 본사에서 사고처리를 담당하고 직급은 전무이사나 안전관리부장이다. 기사들의 안전운전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하며 자주 단속하는 장소는 구래동, 장기동이나 계양역, 부평역이다. 교통법규 위반이 만연하고 사고가 많이 일어난 장소라서 자주 단속하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모든 장소에서 모든 노선을 불시에 단속한다.

  • 처음 입사하면 81번과 81-1번에 투입된다. 과거에는 신입 기사를 90-1번과 841번에 투입했으나 90-1번은 촉탁 기사를 투입하도록 변경되고 841번은 만근일수가 17일에서 13일로 줄어들고 급여가 인상되면서 처우가 좋지 않은 81번과 81-1번에 신입 기사를 투입하도록 변경되었다. 김포운수와 선진버스에서 모두 근무한 전직 기사의 증언에 의하면 김포운수보다 선진버스가 그나마 좋다고 한다. 선진버스에서 경력이 높은 기사들은 90번에서 근무하며 경기도 공공버스인 7000번과 7100번은 입사 후 3년 이상을 무사고로 근무한 기사에게 노선 이동 기회가 부여된다.


5. 보유 노선[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M7119식사동일산동구청마두역연세대ㆍ광화문ㆍ신한은행본점숭례문7~10분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7000구래리차고지김포한강3차푸르지오ㆍ한가람마을ㆍ구래환승센터ㆍ솔터마을ㆍ은여울마을ㆍ운유초등학교ㆍ모아미래도당산역10~15분
7100구래리차고지솔터마을ㆍ뉴고려병원ㆍ한강센트럴자이ㆍ수정마을ㆍ전원마을ㆍ모담마을당산역13~25분
9000북변환승센터걸포초교ㆍ풍경마을ㆍ초당마을ㆍ구래환승센터ㆍ인천공항T1인천공항T260~180분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21구래리차고지구래환승센터ㆍ뉴고려병원ㆍ한강센트럴자이ㆍ고촌ㆍ개화역김포국제공항(롯데몰)15~30분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33-1유현마을.신동아아파트양도사거리ㆍ풍무2지구ㆍ풍무역.트레이더스ㆍ사우고.김포시청ㆍ사우역.김포고ㆍ북변중로ㆍ오스타파라곤ㆍ킨텍스대화역ㆍ일산노인종합복지관정발산역((일산동구청))20~30분
53한강센트럴자이옹주물ㆍ구두물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40~50분
81구래리차고지장기지구ㆍ감정동ㆍ김포시청ㆍ풍무동ㆍ계양역계산역ㆍ신동양아파트교통연수원10~15분
81-1양촌산단이젠ㆍ장기지구ㆍ김포시청ㆍ풍무동ㆍ계양역ㆍ동양지구롯데마트계양점10~15분
82북변환승센터김포고ㆍ풍무역ㆍ풍무중학교계양역20~30분
83사우역,김포고양곡ㆍ대능리학운산업단지60분
86-1신양중양곡ㆍ대경공단대곶70-120
90강화터미널김포대학입구ㆍ마송ㆍ김포한강신협ㆍ구래환승센터ㆍ검단사거리ㆍ검암역입구ㆍ작전역부평구청부평역10~15분
90-1학운2산업단지공원학운5리종점ㆍ대포서원입구ㆍ해병2사단.향동ㆍ 검단사거리역 ㆍ완정초등학교.검단도서관ㆍ마전역완정역5~10분
101보건소누산리▷하성▷군하리▷대명초교▷대곶▷양곡▷누산리보건소60분
102보건소누산리▷양곡▷대곶▷대명초교▷군하리▷하성▷누산리보건소60분
841김포차량등록사업소김포우리병원ㆍ사우역김포고(양방향정차)ㆍ김포초교ㆍ홈플러스ㆍ불로동ㆍ검단사거리ㆍ원당지구ㆍ계양역ㆍ동양지구ㆍ롯데마트 계양점이마트계양점15~30분
2000구래리차고지구래역마산역ㆍ수정마을ㆍ대화역일산동구청마두역대곡역행신역20~40분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60동국로삼거리동국대학교 일산병원ㆍ이전마을회관ㆍ상골ㆍ고봉초교, 중산고교ㆍ일산서구보건소 - 산들마을5단지ㆍ후곡마을 학원가일산역60~100분

6. 면허 체계[편집]


  • 경기 733547 ~ 3548호[1]
  • 경기 791300호 ~ 1499[2], 20##호, 62##호 일부[3], 80##호 ~ 82##호 일부, 8401호 ~ 8499호, 9311호 ~ 9480

  • 타사 인수분
    • 경기 7327##, 32##호 일부[4]
    • 경기 761007, 1787, 1788, 1791, 1795[5]
    • 경기 7910## ~ 11##호 일부[6]


7. 영업소[편집]


영업소주소담당 노선CNG 충전소기타
본사[7]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갈산리 429)O월곶공영차고지
구래영업소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3로 611-1 2(구래리 796-2)21, 53, 81, 83, 86-1, 2000, 7000, 7100O정비소
학운영업소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학운리 275281-1, 90-1X
걸포영업소경기도 김포시 감암로 127 (걸포동 1550-62)33-1, 82, 101, 102, 841, 9000O김포 클린스테이션
강화영업소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222)90O강화터미널
일산영업소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69 (식사동 733-5)60, M7119, M7145X[8]


8. 보유 차량[편집]



8.1. 현재 보유 차량[편집]



8.1.1. 현대자동차[편집]



8.1.2. 스카이웰[편집]



8.1.3. MAN[편집]



8.1.4. 볼보버스[편집]



8.1.5. 중국항공공업그룹(AVIC)[편집]


  • AVIC 엔비온 전기버스[9]

8.1.6. 비바모빌리티[편집]



8.1.7. 중통[편집]




8.2. 과거 보유 차량[편집]



8.2.1. 자일대우버스[편집]



8.2.2. 현대자동차[편집]



8.2.3. 기아[편집]



8.2.4. 선롱버스[편집]




9. 둘러보기[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8:05:39에 나무위키 선진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양시 시내버스,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2] 단 1421~1440호는 김포운수가 사용중이다.[3] 과거 시외버스인 70번과 90번의 면허였으나 현재는 차돌리기로 이곳저곳으로 흩어졌다.[4] 고양시 시내버스,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로 일산엠버스를 인수하면서 넘어왔다.[5] 신성교통 출신 면허, 1007호는 신성교통 주 면허이고, 17##대 차량은 파주시 증차면허다.[6] 81번, 101번, 102번, 841번, 공영노선을 김포운수로부터 인수하면서 넘어왔다. 또한 2020년에 신규발급된 104# ~ 105#호는 과거 김포운수 631번에서 운행하다가 말소된 면허인데 약 10여년만에 부활했다.[7] 본사는 노선을 운영하지 않으며 구래영업소가 사실상 본진이다.[8] 고양교통의 식사동충전소를 사용한다. 대원고속M7412번과 일부 마을버스들도 고양교통의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애초에 고양교통은 선진버스에서 분리된 회사이고 지금도 지분이 존재한다.[9] 국내 최초로 도입된 중국산 전기버스 모델로, 이후 수입이 중단되어 중통 매그넘을 도입한 것이고 현재까지도 유일무이하게 선진버스만이 보유하고 있다.[10] 신성여객 인수분으로 차량만 인수하고 방치하다가 말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