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버스

최근 편집일시 : (♥ 0)





선진버스 주식회사
Sunjin Bus Corp.
파일:G6xdHrw.png
핵심인물신재호 (회장)
서창연 (대표이사)
설립일자1955년 2월 28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기업규모중소기업
주소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본사, 월곶공영차고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69 (일산영업소)
경영방침지키고 싶으면 공격하라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지배구조
4. 특징
5. 보유 노선
5.1. 과거 보유 노선
6. 면허 체계
7. 영업소
8. 보유 차량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기도 김포시고양시시내버스 회사. 악명 높은 선진그룹의 계열사임에도 불구하고 김포시에서는 안전운전을 중요시하는 회사이다.


2. 역사[편집]


  • 1954년에 설립되어 김포시와 고양시 일대의 시외버스를 운행한 '인항여객'이 전신이다.

  • 1997년 경영난을 겪어 선진운수 등에 인수됐고,[1] 사명을 '선진버스'로 변경했다.

  • 2000년 선진운수도 경영난에 빠지자 신재호 성민통운 사장이 선진버스를 인수했다. 법인을 그대로 인수해 사명과 차량, 사업소, 고용관계가 모두 승계됐다. 따라서 선진버스는 선진그룹의 모태가 되는 회사이다.

  • 2000년대 초에는 김포시와 고양시, 강화군의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했으나 강화 노선은 2006년 강화교통을 설립해 양도했고, 고양시 노선도 2007년 고양교통을 세워서 넘겼다.

  • 2009년 10월에 선진그룹이 계열사들의 시외버스를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선진버스의 시외 노선들도(70번, 90번)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했고, 김포운수강화교통과 노선을 일부 교환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김포운수선진상운은 주로 서울행 노선을 선진버스는 주로 인천행과 일산행 노선을 보유하는 중이다.



3. 지배구조[편집]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재호5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포운수4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영상6.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자사주4.00%


4. 특징[편집]


  • 과속이 심하여 사고가 잦은 김포운수와 선진상운에 비하면 사고가 매우 적다. 2020년에 서창연이 대표이사로 취임하고 안전교육 강화, 운행기록 관리, 노선별 운행속도 제한, 안전교육을 시행하며 기사들과 노력한 덕분에 김포시에서 사고의 비율이 가장 적은 회사로 개선되었다. 서창연이 대표이사로 취임하자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인데 선진버스의 급여와 복지가 김포운수와 선진상운보다는 양호하고 주기적으로 서울 공항중삼거리 버스 간 추돌 사고를 추모한다.

  • 2022년에 일반버스의 속도가 65~70km/h로 제한되고 일반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는 80~90km/h로 제한되었다. 과거에는 일반버스가 80km/h였고 일반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가 100~110km/h였는데 그마저도 제한장치를 부착한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제한을 걸어둔 것이라 연식이나 컨디션에 따라 GPS의 속도와 계기판의 속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 김포시에서 유일하게 차량의 디지털 타코그래프를 이용하여 운행기록을 관리한다. 급가속, 급제동, 과속, 고RPM 사용을 확인하는데 기사들은 '타코 기록'이라고 부른다. 매월 말일에 영업소 게시판마다 상습위반자가 게시되고 동시에 휴일에 본사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본사에 불려가는 날이 많거나 위반 사안이 심각하면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여 기사를 징계한다.

  • 안전관리부 소속 직원이 안전관리 전용 차량을 운전하여 이용객이 많은 정류장 부근으로 이동한 후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기사를 단속한다. 단속을 담당하는 직원은 본사에서 사고처리를 담당하고 직급은 전무이사나 안전관리부장이다. 기사들의 안전운전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하며 자주 단속하는 장소는 구래동, 장기동이나 계양역, 부평역이다. 교통법규 위반이 만연하고 사고가 많이 일어난 장소라서 자주 단속하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모든 장소에서 모든 노선을 불시에 단속한다.

  • 처음 입사하면 81번과 81-1번에 투입된다. 과거에는 신입 기사를 90-1번과 841번에 투입했으나 90-1번은 촉탁 기사를 투입하도록 변경되고 841번은 만근일수가 17일에서 13일로 줄어들고 급여가 인상되면서 처우가 좋지 않은 81번과 81-1번에 신입 기사를 투입하도록 변경되었다. 김포운수와 선진버스에서 모두 근무한 전직 기사의 증언에 의하면 김포운수보다 선진버스가 그나마 좋다고 한다. 선진버스에서 경력이 높은 기사들은 90번에서 근무하며 준공영제가 적용되는 직행좌석버스인 7000번과 7100번은 입사 후 3년 이상을 무사고로 근무한 기사에게 이동할 기회가 주어진다.


5. 보유 노선[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33-1유현마을당곡고개 - 서해2차아파트 - 풍무역 - 사우역 - 걸포북변역 - 걸포공원 - 일산대교 - 킨텍스 - 대화역 - 현대백화점 - 일산노인종합복지관 → 강선마을 → 일산동구청 → SK엠시티 → 일산호수공원 → 일산노인종합복지관 → 이후 역순일산동구청30~45
53한강센트럴자이금빛초등학교 - 구두물 - 홈플러스김포점 →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 → 김포등기소 → 사우역 → 북변환승센터 → 김포초교 → 홈플러스김포점 → 이후 역순북변환승센터1일 14회
81구래리김포한강푸르지오3차 - 구래역 - 마산역 - 청송마을 - 한강메트로자이 - 홈플러스김포점 - 김포북변산호아파트 - 사우역 - 수행마을 - 유현마을 - 장기동 - 계양역 - 귤현역 - 박촌역 - 임학역 - 계산역교통연수원10~15
81-1학운2리양촌산업단지 - 구래리 - 구래역 - 양촌터미널 - 곡촌마을 - 장단 - 은행연립 - 장기역 - 가현초등학교 - 전원마을 - 샘재마을 - 북변환승센터 - 사우역 - 수행마을 - 유현마을 - 장기동 - 귤현역 - 계양센트레빌 - 동양주공 - 박촌역 - 임학역롯데마트계양점10~15
82북변환승센터사우역 - 풍무역 - 양도중학교 - 유현사거리 - 장기동계양역1일 19회
83사우역김포초교 - 한강메트로자이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누산삼거리 - 곡촌마을 - 양촌터미널 - 한강반도유보라5차 - 구래리 - 대능리 - 학운리학운산업단지1일 9회
86-1곡촌마을양촌터미널 - 한강반도유보라5차 - 구래리 - 유생리 - 대곶사거리 - 상마리 - 대능리대벽리1일 7회
90강화터미널강화병원 - 김포대학교 - 군하리 - 새터마을 - 마송 - 흥신리 - 구래역 - 해병2사단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 - 완정역 - 독정역 - 검암역 - 공촌사거리 - 교통연수원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갈산역 - 부평구청 - 부평시장역부평역10~15
90-1학운2산업단지학운5리 - 휴스톰 - 삼웅철강 - 이젠테크노존 - 대포서원입구 - 해병2사단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완정역15~25
101김포보건소사우역 - 한강메트로자이 - 한강센트럴자이 - 장기역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누산삼거리 → 사포마을 → 하성종점 → 애기봉 → 군하리 → 갈산리 → 석정초등학교 → 대명리 → 대곶사거리 → 양촌터미널 → 곡촌마을 → 누산삼거리 → 이후 역순군하리1일 12회
102김포보건소사우역 - 한강메트로자이 - 한강센트럴자이 - 장기역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누산삼거리 → 곡촌마을 → 양촌터미널 → 대곶사거리 → 대명리 → 석정초등학교 → 갈산리 → 군하리 → 애기봉 → 하성종점 → 사포마을 → 누산삼거리 → 이후 역순군하리1일 12회
841김포차량등록사업소김포우리병원 - 북변환승센터 - 사우역 - 북변터널 - 홈플러스김포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검단초등학교 - 검단출장소 - 마전역 - 완정역 - 원당사거리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계양역 - 계양센트레빌 - 동양주공 - 박촌역 - 임학역 - 계양구청.계양경찰서 - 계산공고이마트계양점17~35
2000구래리김포한강푸르지오3차 - 한가람마을 - 구래역 - 마산역 - 장기고등학교 - 한강센트럴자이 - 수정마을 - 검은다리 - 일산대교 - 킨텍스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샘터마을 - 무원마을행신역15~25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21구래리김포한강푸르지오3차 - 구래역 - 마산역 - 뉴고려병원 - 한강센트럴자이 - 김포경찰서 - 태장로 - 장곡.고촌고등학고 - 고촌역 - 아라대교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방화중학교김포공항25~30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7000구래리김포한강푸르지오3차 - 한가람마을 - 구래역 - 마산역 - 모아미래도 - 김포한강로 - 올림픽대로당산역8~13
7100구래리한강센트럴블루힐.모아엘가2차 - 레이크에일린의뜰 - 뉴고려병원 - 한강센트럴자이 - 수정마을 - 전원마을 - 한옥마을 - 김포한강로 - 올림픽대로당산역12~15
9000북변환승센터걸포초등학교 - 운양역 - 장기역 - 마산역 - 구래역 - 용산동입구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 국제업무단지 ←) - 인천공항T1인천공항T21일 9회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M7119위시티숲속마을 - 백마마을 - 마두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중앙로 - 수색로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광화문 → 신한은행본점 → 숭례문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이대후문 → 이후 역순숭례문15~30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60동국로삼거리동국대병원 - 약산마을 - 안골 - 이전마을회관 - 마골 - 윤촌말 - 청아공원 - 고흥주유소 - 푸르메마을 - 중산마을 - 일산서구보건소일산역1일 12회


5.1. 과거 보유 노선[편집]




6. 면허 체계[편집]


  • 경기 733547 ~ 3548호[2]
  • 경기 791300호 ~ 1499[3], 20##호, 62##호 일부[4], 80##호 ~ 82##호 일부, 8401호 ~ 8499호, 9311호 ~ 9499호, 9509 ~ 95##[5]

  • 타사 인수분
    • 경기 7332##호 일부[6]
    • 경기 761007, 1787, 1788, 1791, 1795[7]
    • 경기 7910## ~ 11##호 일부[8]


7. 영업소[편집]


영업소주소담당 노선CNG 충전소기타
본사[9]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갈산리 429)O월곶공영차고지
구래영업소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3로 611-1 2(구래리 796-2)21, 53, 81, 83, 86-1, 2000, 7000, 7100O정비소
이젠영업소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학운리 256-281-1, 90-1X
걸포영업소경기도 김포시 감암로 127 (걸포동 1550-62)33-1, 82, 101, 102, 841, 9000O김포 클린스테이션
강화영업소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222)90O강화터미널
일산영업소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69 (식사동 733-5)60, M7119, M7145X[10]


8. 보유 차량[편집]



8.1. 현재 보유 차량[편집]



8.1.1. 현대자동차[편집]



8.1.2. 스카이웰[편집]



8.1.3. MAN[편집]



8.1.4. 볼보[편집]



8.1.5. 중국항공공업집단[편집]



8.1.6. 비바모빌리티[편집]



8.1.7. 중통[편집]




8.2. 과거 보유 차량[편집]



8.2.1. 자일대우버스[편집]



8.2.2. 현대자동차[편집]



8.2.3. 기아[편집]



8.2.4. 선롱버스[편집]




9. 둘러보기[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8:05:39에 나무위키 선진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과정에서 신성교통, 제일여객 등과도 같은 계열사가 되었다.[2] 고양시 시내버스,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3] 단 1421~1440호는 김포운수가 사용중이다.[4] 과거 시외버스인 70번과 90번의 면허였으나 현재는 차돌리기로 이곳저곳으로 흩어졌다.[5] 서정마을버스와 함께 사용한다.[6] 고양시 시내버스,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로 일산엠버스를 인수하면서 넘어왔다.[7] 신성교통 출신 면허, 1007호는 신성교통 주 면허이고, 17##대 차량은 파주시 증차면허다.[8] 81번, 101번, 102번, 841번, 공영노선을 김포운수로부터 인수하면서 넘어왔다. 또한 2020년에 신규발급된 104# ~ 105#호는 과거 김포운수 631번에서 운행하다가 말소된 면허인데 약 10여년만에 부활했다.[9] 본사는 노선을 운영하지 않으며 구래영업소가 사실상 본진이다.[10] 고양교통의 식사동충전소를 사용한다. 대원고속M7412번과 일부 마을버스들도 고양교통의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애초에 고양교통은 선진버스에서 분리된 회사이고 지금도 지분이 존재한다.[11] 신성여객 인수분으로 차량만 인수하고 방치하다가 말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