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티 반스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d1b21><tablebgcolor=#bd1b21><width=20%> 코칭스태프 ||<colbgcolor=#ffffff>
감독
라야코비치
코치
스카리올로 · · 굿윌리 · 말레일릴라 · 웨이드 ||
|| 가드 || 0 프리먼리버티TW · 1 · 17 슈뢰더 · 22 플린 · 24 노웰TW ||
|| 가드-포워드 || 14 템플 · 33 트렌트 Jr. ||
|| 포워드 || 3 아누노비 · 4 반스 · 21 · 32 포터 Jr. ||
|| 포워드-센터 || 5 아추와 · 7 맥대니얼스 · 11 포터TW · 25 부셰 · 43 시아캄 ||
|| 센터 || 19 퍼들 · 35 콜로코 ||
||<-2><bgcolor=#fff> * TW : 투웨이 계약 ||
||<-2><bgcolor=#000000>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스코티 반스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1952-531953-541954-551955-56
돈 메이네케레이 펠릭스밥 페팃모리스 스톡스
1956-571957-581958-591959-60
톰 하인슨우디 솔즈베리엘진 베일러윌트 체임벌린
1960-611961-621962-631963-64
오스카 로버트슨월트 벨라미테리 디싱거제리 루카스
1964-651965-661966-671967-68
윌리스 리드릭 배리데이브 빙얼 먼로
1968-691969-701970-711971-72
웨스 언셀드루 앨신더데이브 코웬스, 제프 페트리시드니 윅스
1972-731973-741974-751975-76
밥 맥아두어니 디그레고리오자말 윌키스앨번 애덤스
1976-771977-781978-791979-80
애드리언 댄틀리월터 데이비스필 포드래리 버드
1980-811981-821982-831983-84
대럴 그리핀벅 윌리엄스테리 커밍스랄프 샘슨
1984-851985-861986-871987-88
마이클 조던패트릭 유잉척 퍼슨마크 잭슨
1988-891989-901990-911991-92
미치 리치몬드데이비드 로빈슨데릭 콜먼래리 존슨
1992-931993-941994-951995-96
샤킬 오닐크리스 웨버 그랜트 힐, 제이슨 키드데이먼 스타더마이어
1996-971997-981998-99 1999-2000
앨런 아이버슨팀 던컨빈스 카터엘튼 브랜드, 스티브 프랜시스
2000-012001-022002-032003-04
마이크 밀러파우 가솔아마레 스타더마이어르브론 제임스
2004-052005-062006-072007-08
에메카 오카포크리스 폴브랜든 로이 케빈 듀란트
2008-092009-102010-112011-12
데릭 로즈타이릭 에반스블레이크 그리핀카이리 어빙
2012-132013-142014-152015-16
데미안 릴라드마이클 카터-윌리엄스앤드류 위긴스칼-앤서니 타운스
2016-172017-182018-192019-20
말콤 브록던벤 시몬스 루카 돈치치자 모란트
2020-212021-222022-232023-24
라멜로 볼- --
2024-252025-262026-272027-28
-- --




파일:반스22-23.png
토론토 랩터스 No. 4
스콧 웨인 반스 주니어
Scott Wayne Barnes Jr.
출생2001년 8월 1일 (22세)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출신학교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신장201cm (6' 7")
체중102kg (225 lbs)
윙스팬218cm (7' 2")
포지션스몰 포워드 / 파워 포워드 / 포인트 가드
드래프트2021 NBA 드래프트 1라운드 4순위
토론토 랩터스 지명
소속 팀토론토 랩터스 (2021~)
계약2021-22 ~ 2024-25 / $33,064,660
연봉2023-24 / $8,008,680
등번호4번 - 토론토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여담



1. 개요[편집]


스코티 반스는 미국 국적의 포워드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플로리다 주립대학교[편집]


주전같은 식스맨으로 활약하며 24경기 24.8분 10.3득점 4리바운드 4.1어시스트 1.5스틸을 기록했고 ACC 서드 팀, 식스맨상, 신인왕을 수상했다.

1학년만 마치고 2021 NBA 드래프트에 참가한다. 6순위 언저리에서 예상되고 있다. 1년 전, 선배인 패트릭 윌리엄스의 복권 지명이 성공했기에 더 높은 순위가 될 수도 있다.


2.2. 토론토 랩터스[편집]



2.2.1. 2021-22 시즌[편집]


2021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4번으로 토론토 랩터스에 지명되었다.

당초 4순위는 올랜도에 지명된 제일런 석스가 유력하였으나 유지리 단장이 수차례 반스의 모습을 지켜보고 결정했다고 한다. [1]

NBA 75주년 기념으로 열린 클러치 챌린지에 타이리스 맥시와 짝을 지어 참가했으나, 남들은 다 한번에 성공한 베이비 훅을 4번 모두 넣지 못하는 희대의 몸개그를 찍으면서[2] 큰웃음만 주고 멋쩍게 탈락하였다. 그날 샥틴어풀에 당당히 1위로 올랐다...

루키 시즌 아주 준수한 활약으로 토론토를 동부 5위로 올리는데 혁혁함 공을 세웠다.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15득점으로 준수한 활약을 하던 도중 상대편 센터 조엘 엠비드의 발에 밟혀 부상을 입고 말았고 더이상 코트에 돌아오지 못하였다.

시즌 전체에 걸쳐 큰 기복 없이 훌륭한 활약을 펼친 결과 유래없이 치열한 동부에서 토론토를 5번시드 까지 올려놓았고 그 공을 인정받아 21-22 시즌 ROY(신인왕)을 수상하였다. 토론토 선수로서는 빈스 카터 이후 23년만이며, 실제로 수상 이후 카터가 구단 연습장에 영상 편지를 보내 수상을 축하해주었다. [3]

2.2.2. 2022-23 시즌[편집]


하지만 2022-23시즌은 ROY 수상자 답지않은 끝없는 부진을 보여주고 있다. 야투율이 44.9%로 작년에 비해 5% 가까이 떨어졌고 수비력 또한 심각한 하락세를 겪고 있다.

3점슛 역시 30% 수준으로, 상대편이 반스가 겪고 잇는 문제를 알고 새깅에 가까운 수비로 대응함에도 그 효율이 오르지 않고 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2021 드래프트 최고의 콤보 포워드 중 하나이다. 강점은 당당한 신체조건.[4] 운동능력은 상대적으로 평범하지만, 이미 완성된 몸으로 힘이 무척 세며 203cm정도에 [5] 윙스팬은 무려 220cm에 육박한 긴 팔을 지니고 있다. 신체조건을 앞세워 3번과 4번을 오갈수있다.

넓은 시야도 가지고 있어 플레이메이킹이 가능한 것도 매력적이다. 볼핸들링도 상당히 우수하고 코트 비전도 갖고 있다. 때문에 포인트 포워드로서의 포텐도 있는 선수이고 컴페리즌이 키 큰 드레이먼드 그린으로 꼽혔다.

수비력도 인상적인데 훌륭한 신체조건+힘으로 2번부터 5번까지 어느정도 막을수 있는 윙 디펜더이자 전천후 수비수로 진화할 포텐도 가지고 있다. 수비는 이미 리그 상위권 수준이라는 평가가 많다.

큰 보폭과 기럭지를 이용해 림어택도 꽤나 훌륭하다. 한마디로 트랜지션 상황에서 막기 힘들 선수 속공 시 그랩 앤 고 상황서 확실히 빛나는 유형이고 앞에 서술했듯 패싱 비젼또한 훌륭하다. 풋워크도 상당히 훌륭 특히 림어택을 할때 운동능력은 그리 훌륭한 편은 아니지만 보폭과 기럭지가 길어서 그런지 막말로 느린 야니스 느낌이 나기도 한다.

슈팅의 경우 본래 부터 약점으로 꼽혔고 시즌이 종료후 30.1%대로 실망적인 성적이다. 3점에 대한 기대감이 없기 때문에 외곽에서 지원이 아쉽다는건 큰 단점중 하나. 꼭 보완해야할 부분이다.

또 살짝 쓸데없는 움직임이 있기도 하고 지나친 헬프 수비가 많다는 것도 문제점인데 [6] 이는 코칭으로 개선하기 쉬운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훌륭한 윙 디펜더인 동시에 준수한 볼핸들링, 넓은 시야로 포인트 포워드로서의 포텐도 있는 선수다. 슈팅이 약점으로 꼽혔지만 토론토 랩터스 합류 후 슈팅도 꽤나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며 기대를 모으고 있다.


4. 수상 내역[편집]


수상 내역
파일:NBA 로고.svg NBA 신인왕 (2022)
파일:NBA 로고.svg NBA 올-루키 퍼스트 팀 (2022)


5. 여담[편집]



[1] 특히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처참한 수준의 슈팅력이 개선 가능하다는 평가가 4픽 지명의 큰 요인이 되었다[2] 뒤이어 맥시가 2번 더 시도했으나 역시 다 못 넣었다...[3] 2위는 반스에 못지 않게 훌륭한 활약을 펼친 클리블랜드의 에반 모블리였는데, 1위 반스는 378점, 2위 모블리는 363점을 얻어 매우 근소한 차이로 수상자가 갈리게 되었다. 이는 NBA 신인왕 투표가 집계된 이후로 가장 적은 표 차이였다.[4] 목이 짧고 어깨높이가 높으며 다리까지 월등히 길다. 상당히 좋은체형을 타고난 셈[5] 23-24 시즌을 앞두고 본인이 트위치 라이브 스트림에서 신발 착장후 210cm라고 밝혔다[6] 물론 전 코치인 닉 널스의 수비전술이 스위칭과 헬프가 많은 것도 감안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0:10:09에 나무위키 스코티 반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