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육군

덤프버전 :



시리아 아랍 육군
لْجَيْشُ الْعَرَبيُّ السُّورِيُّ
Syrian Arab Army
파일:시리아 육군기.svg
창설일1946년 8월 1일
소속시리아군
본부시리아 다마스쿠스
병력130,000명
참전제1차 중동전쟁
제3차 중동전쟁
제4차 중동전쟁
레바논 내전
시리아 내전

1. 개요
2. 장비
3. 편제



1. 개요[편집]


시리아의 육군이다. 러시아제 일색이나,JK-96이나 QGF-03 등의 제식 헬멧과 TAT-BA-7 등의 제식 방탄복은 중국제다. 이란제 공격드론과 정찰드론도 사용한다.


2. 장비[편집]


파일:시리아 국기.svg 현대 시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시리아군 (1946~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기타전차셔먼 IIUK/S, M-50C/R, T-34/55CZ/M, 4호 전차FR/E/S, T-40/75CZ/S, 르노 R35FR/R
MBT1세대T-55(MV/AM/AMV)
2세대T-62(M/K), T-72(A/AV/M1 마흐미아)
3세대T-72(B/BM/B3)
3.5세대T-90(A/K)
경전차PT-76B, 82식 경전차
장갑차차륜장갑차파나르 178BFR, OT-64, BRDM-2, BTR-60PB/PU-12, BTR-152, BTR-40
궤도장갑차셔먼 II APCUK/M, BMP-1, BMP-2, BTR-50, OT-62
차량소형UAZ-469
트럭우랄-4320ㆍ375D, ZiL-131ㆍ135 · 157, KamAZ-43114, GAZ-66ㆍ3308
자주포자주곡사포품멜FR, T-34-122 (D-30)M, 2S1, 2S3 아카치야
자주박격포2S4 튤판, 2S9
대전차 자주포SU-75CZ/E/S, 4호 구축전차CZ/S, SU-100
대공 차량자주대공포ZSU-57-2, ZSU-23-4,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9K31, 9K35, 9K33 오사
다연장로켓BM-14, BM-24, BM-21 그라드, BM-27 우라간, BM-30 스메르치, TOS-1 부라티노,
63식 다연장로켓, 카이바, 파자르-3, 파자르-5, Ra'ad, 팔라크-2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프랑스로부터 구매
※ 윗첨자UK: 영국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
※ 윗첨자CZ: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구매
※ 윗첨자E: 스페인국으로부터 구매
※ 취소선: 도입 무효화







시리아 육군의 전차, 장갑차[1]
이름종류제조국운용 수량추가 도입기타
T-90[2]주력 전차러시아? 대3세대 전차
T-72/72M주력 전차소련/체코1,700 대2세대 전차
T-62M/K주력 전차소련1,000 대2세대 전차
T-55/55MV주력 전차소련2,150 대1세대 전차/1,000 대는 MV로 업그레이드/ 1,150 대는 창고에 비축
PT-76수륙양용 경전차소련100 대
BMP-1IFV소련2,600 대500대는 창고에 비축
BMP-2IFV소련350 대
BTR-50APC소련550 대
MT-LBAPC소련560 대
OT-62 TOPASAPC체코/폴란드560 대
OT-62 SKOTAPC체코/폴란드300 대
BRDM-2수륙양용 정찰 차륜형 장갑차소련1,000 대
BRDM-2Rkh수륙양용 정찰 차륜 장갑차소련125 대
BTR-40차륜 장갑차소련100 대
BTR-60차륜 장갑차소련650 대
BTR-70차륜 장갑차소련? 대
BTR-152차륜 장갑차소련560 대


3. 편제[편집]


  • 군단(Falaq) : 3~4개 사단으로 구성되며 대략 5만여명
  • 사단(Firqa) : 5~6개 여단/연대로 구성되며 약 5천~1만5천명
  • 여단(Liwa) : 5~6개 대대로 구성되며 약 2500~3500명(1~3개 기계화/기갑대대와 포병, 공병으로 구성)
    • 기계화 여단 : 보병전투차 105대 3개대대와 전차 41대 1기갑대대와 병력 3500명으로 구성
    • 기갑 여단 : 전차 105대 3개 기갑대대와 보병전투차 31대 1개 기계화대대와 병력 2500명으로 구성
  • 연대(Fawj) : 약 1500명
    • 경보병 연대 : 3개대대 1500명으로 구성됨
    • 포병연대 : 3개 포병대대 곡사포 45대 병력 1500명
  • 대대(Katiba) : 4~5개 중대 약 300~500명으로 구성됨
  • 중대(Sariya) : 60~80명으로 구성됨
  •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 시리아 해병 여단 - 해군의 수병을 차출하여 만든 부대로 러시아의 훈련 지원을 받았다. 공화국수비대 103여단 소속.
  • 제4기갑사단
    • 40/41/42 기갑여단
    • 138 기계화여단
    • 63 포병연대
    • 154 포병연대
    • 555 특전공수연대
    • 특수부대 "수호사자"
  • 시리아 특수전사령부[3]
    • 제14 특수전사단
      • 36, 554,556 특수전연대
    • 제15 특수전사단
      • 35, 127 특수전연대
    • 404 기갑연대
  • 내전 이후 창설된 특수편제부대
    • 타이거 부대 (사단급)[4]
      • 치타 부대 (여단급)
        • 팀 3
        • 팀 6
      • 판터 부대 (여단급)
    • 사막의 매 부대(Suqur al-Sahara) 특수민병대 여단 해체됨[5]
  • 제1군단
    • 제5기계화사단
      • 112, 132, 15 기계화여단
      • 12 기갑여단
      • 175 포병연대
    • 제6기갑사단
    • 제7기계화사단
      • 68, 121, 88 기계화여단
      • 78 기갑여단
      • 포병연대(단대호 미확인)
    • 제8기갑사단
    • 제9기갑사단
      • 33, 34, 43 기갑여단
      • 52기계화여단
      • 90 여단
      • 포병연대(단대호 미확인)
    • 61, 90 독립보병여단
  • 제2군단
    • 제1기갑사단
      • 76,91,153 기갑여단
      • 58 기계화여단
      • 포병연대(단대호 미확인)
    • 제10기계화사단
      • 85, 62, 18 기계화여단
      • 56 기갑여단
      • 포병연대(단대호 미확인)
  • 제3군단
    • 제3기갑사단
      • 47, 65, 81 기갑여단
      • 21 기계화여단
      • 포병연대(단대호 미확인)
    • 제11기갑사단
      • 60, 67 외 미확인 기갑여단
      • 87 기계화여단
      • 포병연대(단대호 미확인)
    • 제4군단
    • 휘하 제대 미확인
  • 제5군단[8]
    • 알 아사드 방패 부대
    • ISIS 헌터즈[6]
    • 제8여단
    • 마하르다 지부
    • 제3여단
    • 제79대대
    • 바트당 군단 [7]
  • 17, 18 예비군사단
[1] Equipment of the Syrian Army[2] 최근 근근히 올라오는 사진등에서 포착되었다.[3] 우리나라의 특전사나 미국의 특수부대가 아닌 러시아식 경보병 스페츠나츠를 의미한다.[4] 실제 기간병력은 1000명에 불과하며 그중에서도 전투병력은 400명밖에 없다는 폭로가 2017년 11월 28일 나오기도 했다. 대다수의 휘하 병력은 친정부 민병대들을 그때그때 배속받아 지휘하는 것에 불과하다고.[5] 라타키아 지역을 근거지로 하는 용병집단으로, 예비역 대령인 무함마드 자베르가 창설 및 운용했다. 2013년부터 창설되어 독자적인 신병훈련소와 무기공장을 가지고 레바논 국경지대 확보와 반군 물자보급로 차단을 위주로 활약하였으나 무함마드 자베르 자체가 90년대에 밀수를 통해 거액을 벌어들인 범죄자였으며 사막의 매 여단도 깡패조직을 근간으로 하는 용병부대로 정부 지지자들에게도 시각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2016년 팔미라 수복작전에서도 에어컨 실외기를 모조리 뜯어가는 사진이 유출되기도 했고, 심지어 2016년 알레포 전투에서 정부에 충성하는 알레포 서부, 통칭 "신 알레포" 지역에서 고급 TV와 냉장고 등을 약탈하는 것이 친정부 리포터에 의해 공개되면서 참다 못한 총참모부가 이들을 처벌하고 라타키아로 전환배치하였다. 문제는 용병 약탈에 관심이 많은 이 부대의 전투력이 크게 낮아지고 전투에서 태업과 같은 모습을 보이면서 결국 2017년 8월 총참모부에 의해 강제 해산 조치당하고 무함마드 자베르 대령은 새로운 사업을 찾는다는 명목으로 러시아로 떠났다. 잔존병력은 시리아 해병대(해군병력을 차출하여 만든 전투부대)로 흡수되었다.[6] ISIS에게 가족과 집을 잃어 증오만 남은 군인들로 구성된 부대라고 한다.[7] 구 바트당 대대[8] 러시아의 훈련 지도를 받아 2016년 11월 22일 새롭게 창설되었으며 최신 장비와 15000시리아 파운드(약 30만원)에 달하는 거액의 월급을 받는 최정예부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시리아군 문서의 r20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시리아군 문서의 r2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9:02:44에 나무위키 시리아 육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