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웅(1972)

덤프버전 :

신재웅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color=#ff6600><tablebgcolor=#ff6600>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4명)
이상군
전대영
황종선(1)
민문식
||<width=20%>
(10명)
김상국
한희민
이효봉
곽영진
김수길
김현태
윤홍식
유해덕
한연대
이원일(1)
||<width=20%>
(3명)
||<width=20%>
(3명)
||<width=20%>
(3명)
||
|| 1990 || 1991 || 1992 || 1993 ||<bgcolor=#f7000d> 199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지화동
김성한 || 양용모 || 지연규 || 구대성 || 길배진 ||
||<bgcolor=#f7000d> 1995 ||<bgcolor=#f7000d> 1996 ||<bgcolor=#f7000d> 1997 ||<bgcolor=#f7000d> 1998 ||<bgcolor=#f7000d> 1999 ||
||<width=20%><rowcolor=#f7000d><rowbgcolor=#f7f7f7,#191919> 신재웅 || 홍원기
(고졸)
|| 이성갑
(고졸)
|| 김민규
(고졸)
|| 박정진
(고졸)
문용민
||
||<bgcolor=#f7000d> 2000 ||<bgcolor=#f7000d> 2001 ||<bgcolor=#f7000d> 2002 ||<bgcolor=#f7000d> 2003 ||<bgcolor=#f7000d> 200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조규수 || 김태균 || 신주영 || 안영명 || 김창훈 ||
||<bgcolor=#f7000d> 2005 ||<bgcolor=#f7000d> 2006 || 2007 || 2008 || 200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윤근영 || 유원상 || 장필준(1)
최진호 || 박상규 || 김회성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용주(2) || 유창식(2) || 하주석(2) || 조지훈(2) || 황영국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범수 || 김주현 || 김병현 || 성시헌 || 변우혁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신지후 || 정민규 || 문동주 || 김서현(2) || 황준서(2) ||
||<bgcolor=#000000><-5>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전면 드래프트 시행 년도 1R 지명 선수 ||



신재웅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ffffff [[한화 이글스|한화 이글스]] 등번호 28번}}}
노장진
(1993)
신재웅
(1995~2003)
김창훈
(2004)

신재웅
申宰雄 | Shin Jae-woong
출생1972년 10월 10일 (51세)
충청남도 공주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공주고 - 경성대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95년 1차 지명 (한화)
소속팀한화 이글스 (1995~2003)
지도자공주중학교 야구부 감독
광둥 레오파즈 투수코치 (2017)
설악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2018~)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여담
5. 연도별 주요 성적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화 이글스 소속의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아마추어 시절에는 150km/h에 육박하는 강속구를 던지며 주목받았던 선수로, 1993년에 열린 니카라과 대륙간컵에서는 미국을 상대로 무려 16개의 탈삼진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활약을 바탕으로 한화 이글스에 1차 지명받아[1] 당시 구단 역대 최고액인 2억 원의 계약금을 받고 입단했지만,[2] 부상 때문에 프로에서는 재능을 꽃피우지 못하며 평범한 투수로 뛰다가 2003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를 통해 은퇴했다.

통산 성적은 133경기 474⅔이닝 3완투 3완봉 24승 37패 2세이브 평균자책점 5.44. 하지만 24승 중 3승이 완봉승이라는 건 나름대로 인상적인 부분이다.


3. 지도자 경력[편집]


2013시즌이 끝나고, 공주중 감독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여기에는 논란이 있는데, 평소 극성인 학부모 둘과의 알력다툼이 있었고 소송까지 갔는데, 신재웅 감독이 소송에서 자격정지 1년을 먹게되어 물러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후임 감독으로 온게 강귀태인데, 폭행으로 시즌 초에 경질됐다.

그 후 2017년 3월 광저우 광둥 레오파즈의 투수코치를 맡았다가 연말에 귀국해 설악고 코치로 부임했다.


4. 여담[편집]


  • 박찬호의 1년 선배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까지 같은 야구부에서 뛰었으며 이 때문에 서로 친분이 두텁다. 1박 2일에 출연한 박찬호가 공주중에 가서 카메라맨인 척 위장하고 후배들에게 공을 던지는 모습이 나왔는데, 그 당시 공주중 감독[3]을 맡고 있었다. 카메라맨이 첫 공을 뿌렸을 때 모습을 보고 박찬호인지 바로 알았다고 한다. 박찬호가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존경하는 선수로 신재웅의 이름을 대면서 "나보다 훨씬 잘 던졌다"고 말한 일 때문에 국내에서 신재웅이 대체 누구냐며 갑자기 유명세를 탔던 일화도 있다. 신재웅은 고3이었던 1990년에 공주고의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4]에 크게 기여한 투수다. 전국대회 결승에 오른 것이 1977년 김경문이 이끌던 공주고의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5] 이후 13년만에 이룬 성과.

  • 사회인야구에도 출전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여전한 투구폼으로 140km/h에 이르는 강속구를 뿌려대며 경기를 지배했다는 소문이 있다
(2013년 홍성 도민체전에 공주시 대표로 출전 130km/h에 가까운볼을 던지며 천안시 대표였던 한화 출신 김성한 당시 남산초감독과 선발 맞대결을 펼쳤다.)

  • 인상이 험악해서였는지 현역 시절 별명이 깡패, 달건이였다고...


5.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1995한화 이글스1153350-0.3755.09525293932301.528
19962583532-0.6255.10758457751471.410
199730135670-0.4623.6711220689363551.304
199830111⅓5110-0.3135.9012717489778731.554
1999914⅓020-0.00010.0523319917162.930
2000186037000.3007.206514263349481.500
2001917⅔22000.5009.172459918181.868
2002100000.0000.002011009.000
2003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8시즌)
133474⅔2437200.3935.44480722453583082871.506


6. 관련 문서[편집]




[1] 사실 그의 고교 동기생들 중 1차지명이 가장 유력했던 선수는 대전고 출신의 초고교급 투수 안희봉이었다. 그러나 안희봉은 고교 졸업 당시 한화(당시는 빙그레)가 입단시키려고 했으나 실패했고 연세대 진학 후로는 고교 때의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투수로서의 가치가 거의 사라지고 사실상 타자로 정착하게 되어 결국 한화는 그에 대해 미련을 버렸다.[2] 현재 한화 구단 역사상 신인 계약금 최고액은 2011년 어느 주작범의 7억.[3] 공주고 동기인 강준기 감독(1990년 이영민 타격상 수상자)이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후임 감독을 맡았다.[4] 2년 뒤에는 노장진의 활약으로 청룡기를 품에 안았다.[5] 36년 후인 2013년에 공주고는 지역 라이벌 천안북일고를 꺾고 대통령배를 공주시로 가져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4:53:53에 나무위키 신재웅(197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