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키바역

덤프버전 :

(しん(((えきShin-Kiba Station


파일:신키바역.jpg
역 앞의 모습 (사진 저작자 : ykanazawa1999)

1. 개요
2. 역 및 승강장
2.1. JR 동일본 신키바역
2.1.1. 인접 정차역
2.2. 도쿄메트로 신키바역
3. 일평균 승차량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 도쿄도 고토구에 위치한 JR 동일본, 도쿄메트로, 도쿄 임해고속철도의 역이다. 케이요선, 유라쿠초선, 린카이선의 환승역이며, 무사시노선사이쿄선도 직결을 통해 접속한다. 유라쿠초선은 종점, 린카이선은 기점으로 삼고 있는 역이기도 하다.

이용객 순위로 따지면 JR 동일본에서는 62위, 린카이선에서는 3위를 차지하였다.

역세권에는 도쿄 타츠미 국제수영장, 신키바 1st RING[1], 일본 및 아시아 최대 규모의 클럽 아게하[2], 유메노시마 등이 있다. 또한 위성사진으로 근방을 보면 매립자 한가운데의 바다 위에 울타리 같은 것이 쳐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가 14호 1, 2 저목장[3]이다. 에도시대 키바역 근처에 조성되었던 저목장이 도쿄만 매립사업의 진척에 따라 옮겨온 것으로, 신키바라는 지명도 여기에서 유래되었다.[4]이 저목장 탓에 일대에는 합판공장 등 임업 시설이 많다.

도쿄메트로 도자이선키바역과 지명 유래 상 관련이 있긴 하지만 아주 멀다. 이 역에서 키바역까지 걸어가려는 건 목동역에서 신목동역까지 걸어가려는 것과 똑같은 발상이다. 못 할 짓까지는 아니지만(도보 50분) 시도를 권하진 않는다. 의외로 목동역과 신목동역 사이를 도보로 오가면 50분, 키바역과 신키바역을 도보로 오가면 55분으로 시간도 비슷하다[5]. 참고로 둘 다 최단거리로 걸었을 때 기준이다.[6]

케이요선을 갈아타고 도쿄 디즈니랜드가 있는 마이하마역으로 향할 때 가장 편리한 환승역이기도 하다. 이케부쿠로역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연선에서 온다면 무조건 유라쿠초선을 타고 이곳에서 환승하여 도쿄역의 막장환승을 피하는 게 낫다. 두 개 철도사의 노선을 이용하는 경로이지만 도쿄 도심부에서 출발할 경우 JR만 이용하는 경우와 비용 차이가 거의 없다시피하다.

이 곳이 케이요선과 린카이선의 유일한 환승역이기 때문에,[7] 도쿄 디즈니랜드와 임해 지역(오다이바, 아리아케, 아오미)을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유일한 역이기도 하다. 이 두 지역이 주 행선지인 관광객에게는 교통 면에서 가장 좋은 입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도심의 번화가로 이동하려면 시간이나 비용의 부담이 다소 생긴다.

2. 역 및 승강장[편집]



2.1. JR 동일본 신키바역[편집]


섬식 승강장으로 개찰구는 2개소 있다. 소가 방면으로 린카이선의 연결선로가 합류한다.



파일:Shinkiba-JE.jpg
승강장

파일:JE05_ekimei.jpg
역명판 (사진 저작자 : keyaki)


2.1.1. 인접 정차역[편집]


파일:JRE-JE.svg 케이요선
도쿄 방면
핫쵸보리
← 6.2 km
通快


통근쾌속
通勤快速
카츠우라 방면
소 가
35.6 km →


쾌속
快速
카즈사
이치노미야 방면

마이하마
5.3 km →
도쿄 방면
시오미
← 2.0 km
각역정차
各駅停車
소가·후추혼마치 방면
카사이린카이코엔
3.2 km →

통근쾌속은 이 역을 출발하면 치바현소가역까지 멈추지 않는다. 다음 정차역인 소가역까지 35.6km 떨어져 있는데, 이것은 도쿄 전차특정구간 내에서 무정차 주행 거리가 가장 긴 통근형 전동차이다.이야[8] 이마저도 2004년에 신키바역 정차요구가 있어서 정차를 하게 된 것이며, 그 전까지는 핫쵸보리부터 소가까지 41.8km를 무정차로 운행했었던 열차이다.


2.2. 도쿄메트로 신키바역[편집]


섬식 승강장으로, 이 역 동쪽에 신키바 차량기지가 있다.

타츠미
21
종착역
(신키바 차량기지 ↓)


파일:Shinkiba-Y.jpg
승강장

파일:新木場車両基地.jpg
유라쿠초선 신키바역의 동쪽에 있는 신키바 차량기지의 모습 아니 그런데 여긴 도메 기지인데. 왜 도메 차가 안 보이지?[9] (사진 저작자 : Guilhem Vellut)


2.3. 도쿄 임해고속철도 신키바역[편집]


섬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으며 선로는 더 이어져서 JR 동일본 케이요선 소가 방면으로 합류한다.

종착역
(케이요선 소가방면 연결)
21
시노노메


파일:Shinkiba-Rinkai.jpg
린카이선 신키바역의 승강장 모습 (사진 저작자 : LERK)


3. 일평균 승차량[편집]


JR 동일본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71,983명36,685명27,162명26,260명27,879명29,841명31,518명32,642명35,896명37,134명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37,564명38,962명41,550명45,739명48,342명52,625명53,518명55,653명58,886명62,674명
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65,432명65,813명65,780명64,487명67,590명70,831명71,713명74,150명75,748명77,874명
2018년2019년2020년
79,161명78,928명48,664명

유라쿠초선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12,862명42,912명26,929명25,609명27,077명29,000명31,328명32,213명34,213명35,679명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36,184명36,563명38,433명40,795명40,299명38,803명39,381명41,000명42,622명46,270명
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48,115명48,384명48,482명47,320명48,426명51,216명51,668명52,948명54,373명55,318
2018년2019년
56,348명55,489명

린카이선
1996년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
7,436명9,784명10,189명12,150명14,121명16,260명18,156명21,423명21,699명23,132명
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23,414명25,030명26,411명26,630명26,437명25,887명29,026명30,312명30,896명31,651명
2016년2017년2018년2019년
32,062명33,268명34,148명33,807명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7:06:04에 나무위키 신키바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일본 프로레슬링이 열리는 곳이다.[2] 2022년 1월 30일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폐업.[3] 貯木場, 목재를 모아두는 곳으로, 나무는 물에 뜨므로 해상에도 만들 수 있다.[4] 新木場 한국식으로 읽으면 신목장이 된다. [5] 심지어 역 이름에 '나무 목(木)'자가 들어간다[6] 여담으로 신키바역에서 나와 직진만 계속하면 도자이선이 있는 도로가 나오는데, 이 도로를 타고 가더라도 가장 가까운 역은 토요쵸역(좌회전)이나 미나미스나마치역(우회전)이다. 키바역은 토요쵸역에서 한 정거장 더 걸어가야 한다.[7] 그리고 케이요선과 유리카모메의 환승역은 없기 때문에[8] 이 역에서 소가역까지 무려 26분간 다른 역에 멈추지 않는다.[9]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과 직결 운행하는 노선의 열차들이다. 좌측부터 차례로 도부 9000계, 세이부 6000계 (2편성), 도부 50070계, 세이부 6000계 (2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