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고양고속도로

덤프버전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AH1(양재~고양) 고속도로
- | -
파일:[붙임2]_전력환경영향평가항목등의_결정내용(양재-고양)5555_page-0001.jpg
노선 번호
미정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종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연장
33.5km
개통일
2031. (예정)청계산 ~ 현천
관리 기관
-
왕복 차로 수
구조
나들목 5개소, 분기점 4개소
터널 1개소
주요 경유지
서울(서초구) ↔ 고양시(덕양구)

1. 개요
2. 사업개요
3. 추진현황
4. 노선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을 이을 예정인 고속도로이며, 노선번호는 미정이다. 공식 명칭은 AH1(양재~고양) 고속도로이며,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공식 명칭에서 확인해볼 수 있듯이 서울 시내에서 경의고속도로격인 평택파주고속도로(서울-문산)경부고속도로를 직접 연결하기 위한 고속도로이다.

용산~성산 구간은 노선 선정 문제와 난공사가 동시에 불거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이미 고속도로 자체를 계획하지 않고 도시가 지어진 특성 상 대심도 지하터널이 필수이다. 이로 인해 천문학적인 예산이 들 것으로 예상되며, 시공 기간 역시 최소 수년 이상은 잡아야 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빅 디그는 1991년 착공하여 2007년에야 완공을 끝냈을 정도였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부천고가교는 1997년 건설 당시 1km당 건설비용이 100억 원을 전후하게 들어갔다. 일단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서 나온 총 비용은 약 3조 421억원으로 추산되었다. 다만 이 구간의 경우 서울특별시도시고속도로강변북로올림픽대로가 상습정체를 빚고 있는데,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최소한 강변북로의 교통량은 분산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속도로 노선번호는 별 일 없는 이상 경부고속도로의 1번을 그대로 승계할 것으로 보인다.

2. 사업개요[편집]


  • 사업구간: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총 연장: 33.5km (본선 26.04km, 한남대로 지선 3.0km, 올림픽대로 지선 4.5km)
  • 설계속도: 100km/h
  • 공사기간: 2025년 하반기 ~ 2031년[1]
  • 개통예정연도: 2031년


3. 추진현황[편집]


  • 2022년 1월 28일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서 양재고양고속도로로 계획 발표하였다. 고시문
  • 2023년 2월 1일 민자적격성 심사결과를 통과하였다. #
  • 2023년 6월 8일 AH1(양재~고양)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 결정내용 공개되었다. #


4. 노선[편집]


  • 기본 계획 상 나온 시설물로, 상세 명칭과 시설물 번호는 바뀔 수 있다.

소재지번호이름구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접속 노선비고
서울특별시서초구청계산JC경부고속도로
신양재IC
잠원JC한남대로한남대로 지선
용산구서빙고IC강변북로
마포구당산JC올림픽대로올림픽대로 지선
망원IC강변북로
경기도고양시현천JC평택파주고속도로, 자유로남고양IC 연계


5. 여담[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4:57:11에 나무위키 양재고양고속도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