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부 제12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마에카와 키요시게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오사카부 제12구>
大阪府第12区
파일:shuinsen_Osaka12.svg
선거인 수339,395명 (2021)
상위 도도부현오사카부
하위 행정구역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국회의원
후지타 후미타케



1. 개요[편집]


오사카부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일본 유신회 소속 후지타 후미타케.


2. 상세[편집]


오사카시의 교외지역이고, 교토시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는 지역들을 관할하는 선거구다.

원래는 민주당이 약간 우세한 선거구였다. 민주당 다루토코 신지 후보가 자민당 기타가와 이시마쓰-기타가와 도모카쓰 부자와 치열한 경합승부를 벌여왔다. 다루토코 신지는 한때 민주당의 촉망받는 신진 정치인으로 평가받았고,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총무대신도 역임했다. 하지만 다른 일본신당 출신 민주당 유력 정치인과 달리,[1] 일본 유신회모두의 당의 상승세까지 겹쳐 2012년 제46회 총선부터 지지율이 폭락했다.

이후 다루토코 신지는 계속 압도적인 표차로 지역구에서 패배하고 있다. 한편 기타가와 도모카쓰 의원이 임기도중인 2018년 12월 26일에 병사하면서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기타가와 도모카쓰의 조카인 기타가와 신페이가 출마하면서 3대 세습이 이뤄지나 했지만, 유신회 후지타 후미타케 후보가 승리를 거두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다루토코 신지81,284표1위

45.5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가와 이시마츠57,598표2위

32.2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니시모리 요이치33,263표3위

18.63%낙선
파일:덕주회.png후쿠니시 료6,400표4위

자유연합
3.58%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루토코 신지72,393표1위

38.7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가와 도모카쓰68,773표2위

36.7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니시모리 요이치29,623표3위

15.84%낙선
파일:자유당.gif마나베 아츠시16,178표4위

8.65%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루토코 신지82,190표1위

44.5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가와 토모카쓰81,270표2위

44.0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니시모리 요이치21,023표3위

11.40%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가와 토모카쓰108,903표1위

49.5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루토코 신지87,091표3위
39.6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타 쿠미코23,593표3위
10.74%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루토코 신지119,048표1위
53.1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가와 도모카쓰80,847표2위
36.1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게타 하츠에19,053표3위
8.51%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미야자키 마미4,894표4위
2.19%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가와 도모카쓰76,972표1위
39.91%당선[2]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이시이 류마49,750표2위
25.79%낙선[3]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루토코 신지49,153표3위
25.48%낙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이 요시코17,006표5위
8.82%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4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가와 도모카쓰68,817표1위
[5]40.0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루토코 신지43,265표2위
25.61%낙선
파일:유신당 로고.png카다타 소이치로41,649표3위
24.2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이 요시코18,257표4위
10.62%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51.71%
선거인 수261,938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기타가와 도모카쓰
(北川知克)
자유민주당71,614
(45.0%)
1위당선공명당 추천
후지타 후미타케
(藤田文武)
일본 유신회64,530
(40.6%)
2위
마츠오 마사나리
(松尾正利)
일본 공산당22,858
(14.4%)
3위낙선
유효표 수159,002투표율 47.50%
유권자 수344,910

지난 두 번의 낙선으로 충격에 빠진 다루토코 신지 전 의원이, 이번에는 지역구에는 출마하지 않고 고이케 유리코와의 친분을 이용, 상위 순번을 받아 희망의 당 긴키 권역 비례대표로 출마해 사실상 국회의원직을 날로 먹었다.

이에 따라 이번 총선은 자민당과 유신회의 1대 1 승부로 치러졌다. 정치신인인 후지타 후미타케 후보가 선전했으나, 기타가와 가문의 아성을 넘지 못하고 4.4% 차이로 삭패했다. 오사카부에 유신회가 접전끝에 패한 지역구가 너무 많아서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당선에는 실패했다.


4.9. 2019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후지타 후미타케
(藤田文武)
일본 유신회60,341
(38.5%)
1위당선
기타가와 신페이
(北川晋平)
자유민주당47,025
(30.0%)
2위낙선
다루토코 신지
(樽床伸二)
무소속35,358
(22.6%)
3위낙선
미야모토 다케시
(宮本岳志)
무소속14,027
(8.9%)
4위낙선, , 부련 추천
유효표 수156,751투표율 47.00%
유권자 수342,751

기타가와 도모카쓰 의원이 재직 중인 2018년 12월 26일에 병사, 2019년 4월에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자민당은 기타가와 전 의원의 조카인 기타가와 신페이 후보를 공천했다. 유신회는 지난 총선에서 석패한 후지타 후미타케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에서는 현역 긴키 권역 비례대표 의원인 미야모토 다케시 후보가 의원직을 사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공산당 공천을 받지 않은 이유는 사민당등의 지원을 받는 좌파 단일후보로 출마하기 위해서였다.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상위순번에 올라 사실상 국회의원직을 날로 먹은 다루토코 신지 의원도, 눈치가 보였는지 의원직을 사퇴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결과는 유신회 후지타 후미타케 후보가 비교적 여유로운 격차인 8.5% 차 승리를 거두었다. 자민당은 정권의 중간평가 성격을 갖는 보궐선거 특성상 불리할 수 밖에 없었다. 기타가와 후보도 만 32세이고, 별다른 경력없이 가문의 지역기반만 믿고 나온거라 예전보다는 세습 정치인에 대해 덜 호의적인 유권자의 반응을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다루토코 의원은 이번이 통산 5번째 중의원선거 패배이고, 2012년 제46회 총선부터 3번 연속 패배를 거두었다. 더이상 이 지역구에서 당선되기는 어렵겠다는 반응이 많다.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2구
{{{#fff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죠나와테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후지타 후미타케94,003표1위
51.1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타카와 신페이59,304표2위
[6]32.29%낙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우쓰노미야 유코17,730표3위
9.6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쓰오 마사노리12,614표4위
6.87%낙선
유효표 수183,651표투표율
55%
선거인 수339,395인

2019년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된 현역 일본 유신회 후지타 후미타케 의원이 재출마한다.

자민당은 지난 보궐선거에서 낙선한 기타가와 신페이 후보가 2년만의 설욕전에 도전한다. 당선될 경우, 할아버지와 숙부에 이어 3대가 이 지역구의 국회의원을 하게 된다.

공산당은 지난 보궐선거에 출마한 미야모토 다케시 전 의원을[7] 5구에 보내고, 지난 총선에서 출마한 마츠오 마사나리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도 이번에는 후보를 낸다. 작곡가로 활동한 우츠노미야 유코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유신회 후지타 후미타케 후보가 보궐선거보다도 표차를 벌리며 승리했다. 자민당 기타가와 신페이 후보는 지역구에서 패하고 석패율제로도 부활하는데 실패하면서 3대 세습이 다시 한 번 무산되었다.

유신회 후지타 후보는 선거가 끝난 뒤 유신회의 간사장에 취임하였다.

[1] 노다 요시히코,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는 민주당의 몰락 이후에도 지역구를 수성했다.[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단, 공산당이 아닌 좌파단일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