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부 제19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마에카와 키요시게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오사카부 제19구>
大阪府第19区
파일:shuinsen_Osaka19.svg
선거인 수304,908명 (2021)
상위 도도부현오사카부
하위 행정구역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국회의원
이토 노부히사



1. 개요[편집]


오사카부와카야마현 인접 지역 중 카이즈카시를 중심으로 구성된 선거구로, 간사이 국제공항이 위치한 서남부 외곽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일본 유신회 소속 이토 노부히사.[1]


2. 상세[편집]


간사이 국제공항이 이 선거구 내에 위치한다. 즉, 비행기를 이용해 오사카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제일 먼저 밟게되는 선거구가 되는 셈이다. 자국 내 2번째로 큰 국제공항인 김해국제공항 있는 한국의 부산시 북구·강서구 을 선거구와 비슷한 포지션의 선거구다. 물론 간사이 국제공항은 공항만을 목적으로 만든 인공섬이라, 섬 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없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연립정당인 공명당 후보의 존재로 인해 자민당이 일부로 후보를 출마시키지 않는 3구, 5구, 6구, 16구를 제외하면 오사카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 사람이 현재까지 단 한 명도 없는 유일한 선거구라는 점이다. 보수 성향의 정당인 신진당, 보수당, 일본 유신회 소속 후보가 당선된 사례가 있는 걸 보면 보수 성향도 어느 정도 있는 것 같으나, 정작 자민당 후보가 당선된 적이 없는 걸 보면 이 지역구에 출마하는 자민당 후보들이 모두 경쟁력에 문제가 있었다.

제42회, 제43회 총선의 경우 마쓰나미 겐시로 전 의원이 각각 연립정당인 보수당과 보수신당 후보로 출마하는 바람에 자민당이 후보를 내지 않았고, 이후 자민당과 보수신당이 합당하면서 제44회, 제45회 총선에는 마쓰나미가 자민당 후보로 출마했다. 보수당 의원 시절에 야당 의석에 컵의 물을 뿌리고, 폭력조직과의 연관성도 제기되는 바람에 자민당에 입당할 무렵부터는 민주당 나가야스 후보에 밀려 2연속 낙선 하는 등 (44회 총선은 비례당선) 그리 강한 후보가 아니었다. 민주당의 몰락 이후에는 자민당과 유신회의 양자대결이 펼쳐졌고, 오사카부에서도 유독 유신회가 강세인 지역구였다.

하지만 유신회의 젊은 인재로 평가받은 마루야마 호다카 전 의원이 각종 망언과 기행 때문에 유신회를 탈당하고 정치적으로 몰락하면서, 이 선거구는 오사카부에서 유신회 지지세가 평균 이하인 곳이 되었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은 유신회가 압승했기에 자민당이 탈환할 수 없었지만, 이제는 자민당이 오사카부에서 노려볼 만한 선거구가 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오사카부 제19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마쓰나미 겐시로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나가야스 다카시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마루야마 호다카[2]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이토 노부히사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마쓰나미 겐시로73,018표1위

48.3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케지리 히데카즈53,906표2위

35.7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라다 치츠루20,297표3위

13.45%낙선
파일:덕주회.png야마모토 쇼타3,676표4위

자유연합
2.44%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보수당 로고1.png마쓰나미 겐시로81,641표1위

53.1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다 토시타카46,911표2위

30.5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니시야마 타카시23,322표3위

15.17%낙선
야마구치 야스오1,845표4위

[[무소속|
무소속
]]
1.20%낙선
유효표 수219,579투표율
유권자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가야스 타카시75,369표1위

47.21%당선
파일:보수신당 로고.png마쓰나미 겐시로42,284표2위

26.48%낙선
야스다 요시히로27,043표3위

[[무소속|
무소속
]]
16.9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케 유타카14,962표4위

9.37%낙선
유효표 수212,541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가야스 타카시91,918표1위
48.3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나미 겐시로82,437표2위
43.3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케 유타카15,855표3위
8.34%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가야스 타카시110,313표1위
55.6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나미 겐시로70,879표2위
35.7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케 유타카14,735표3위
7.4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도요타 타카히사2,487표4위
1.25%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마루야마 호다카65,158표1위
38.4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니가와 도무50,242표2위
29.64%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가야스 타카시42,554표3위
25.1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노우에 소타로9,606표4위
5.67%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도요타 타카히사1,957표5위
1.15%낙선
유효표 수239,7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유신당 로고.png마루야마 호다카56,119표1위
36.9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니가와 도무51,223표2위
33.68%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가야스 타카시33,010표3위
21.7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타무라 미키11,740표4위
7.72%낙선
유효표 수132,848표투표율
51.06%
선거인 수305,283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마루야마 호다카
(丸山穂高)
66,712
(46.7%)
1위당선
다니가와 도무
(谷川とむ)
57,833
(40.5%)
2위낙선
당선(석패율제)
추천
기타무라 미키
(北村みき)
18,373
(12.8%)
3위낙선
유효표 수142,918투표율 47.08%
유권자 수311,807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9구
{{{#fff
카이즈카시, 이즈미사노시, 센난시, 한난시, 센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이토 노부히사68,209표1위
42.1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니가와 도무52,052표2위
[3]32.19%비례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나가야스 다카시32,193표3위
19.9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타무라 미키9,258표4위
5.72%낙선
유효표 수161,712표투표율
53.96%
선거인 수304,908인

지난 총선에서 유신회 소속으로 3선에 성공한 마루야마 호다카 의원은, 온갖 망언과 기행을 일삼으며 유신회를 탈당해 NHK당으로 옮겼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유명한 정치인이 되었으나, 차기 총선 당선가능성은 전무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결국 불출마를 선언했다. 유신회는 대타로 오사카부 제11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이토 노부히사 전 의원을 공천했다.

자민당은 현역 다니가와 도무 의원을 공천했다. 소선거구 출범이후 처음으로 지역구를 탈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공산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기타무라 미키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투표 결과, 유신회 이토 노부히사 후보가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이토 노부히사의 원래 지역구였던 11구에서도 유신회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민당 다니가와 도무 후보는 이번에도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당선으로 만족해야 했다. 하지만 오사카의 19개 선거구 중 자민당 후보가 두번째로 적은 격차로 패배했고, 또 자민당이 석패율 당선자를 배출한 두 개 선거구 중 하나이다. 4년 전 제48회 총선때만해도 유신회가 오사카에서 이긴 세 개 선거구 중 하나일 정도로 유신회가 강했는데, 이제는 오히려 유신회가 가장 약한 선거구가 되었다.

유신회의 부진과 자민당의 선전은, 마루야마 호다카 전 의원의 처신이 크게 작용했다. 게다가 오사카부의 다른 지역구보다 입헌민주당 및 공산당의 득표율이 높아 야권표가 많이 갈렸다.

[1] 오사카부 제11구가 지역구였으나, 48회 총선거 낙선 이후 지역구를 옮겨 출마해 당선되었다.[2] 48회 총선 이후 "전쟁으로 북방 영토를 되찾자"라는 망언을 해 제명당하고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에 입당했다. 자세한 내용은 마루야마 호다카 문서 참조.[3] 공명당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