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대구광역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1. 종합 결과[편집]


정원
8
기호정당의석수
(비율)
후보수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석
(0%)
4
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8석[1]
(100%)
8

사실상 광주의 결과를 리버스한 결과가 나오며 예상대로 국민의힘 소속 후보들이 무난히 전 지역을 싹쓸이 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한 4명 후보 모두 선거비 전액 보전선을 넘긴 것으로 만족해야했다.[2]

2. 지역별[편집]



2.1.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류규하(柳圭夏)무투표
당선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당선

2.2. 동구청장[편집]


{+1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완식(崔岏植)28,767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2.45%낙선
2윤석준(尹碩晙)99,357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7.54%당선
선거인 수297,073투표율
44.10%
투표 수131,010
무효표 수2,886

2.3.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류한국(柳漢國)43,750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7.86%당선
4서중현(徐重鉉)20,7202위

[[무소속|
무소속
]]
32.13%낙선
선거인 수148,238투표율
44.82%
투표 수66,444
무효표 수1,974

서중현 후보는 여기에서 패함으로써 서구에서만 17전 3승 14패를 하게 되었다.

2.4. 남구청장[편집]


{+1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남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창희(崔昌熹)9,866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43%낙선
2조재구(趙在九)43,648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81.56%당선
선거인 수129,053투표율
42.38%
투표 수54,691
무효표 수1,177

현역 구청장인 조재구 후보가 총 6곳에서 출마한 국민의힘 구청장 후보 중 가장 높은 8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최창희 후보도 20% 가까이 득표하며 선전하였다.

2.5. 북구청장[편집]


{+1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북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배광식(裵珖植)121,281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7.66%당선
4구본항(具本恒)34,8822위

[[무소속|
무소속
]]
22.33%낙선
선거인 수373,423투표율
42.96%
투표 수160,421
무효표 수4,258

대부분의 선거를 무소속 혹은 보수 성향 군소 정당 후보로 출마해오던 구본항 후보는 이번 선거도 보수 정당 후보에 패배하며 북구청장 선거에서 4연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2.6. 수성구청장[편집]


{+1 [[파일:수성구 CI_White.svg}}} 수성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민구(姜敏求)38,287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4.73%낙선
2김대권(金大權)116,508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5.26%당선
선거인 수349,048투표율
45.13%
투표 수157,518
무효표 수2,723

전직 대구광역시의원[3]대구광역시의회 후반기 부의장으로 지낸 강민구 후보는 총 4곳에서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후보 중 제일 높은 득표율을 받았지만, 지난 선거에서 남칠우 후보가 얻은 득표율에[4] 비하면 20% 하락하였다. 어쨌든 반전은 없었고, 강민구 후보는 개표 1%가 되기 전부터 아예 떡실신 당하고 말았다.

다만 대통령 선거나 광역자치단체장에선 수성구가 보수 정당 득표율이 1위가 나왔지만 수성구청장 한정으론 여기가 더불어민주당 후보 득표율이 1위가 나왔는데, 이는 강민구 의원의 수성구의원 재직 시절 비교적 성과가 좋은 것도 한몫했다.

2.7. 달서구청장[편집]


{+1 [[파일:달서구 CI_White.svg}}} 달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태훈(李泰勳)무투표당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8. 달성군수[편집]


{+1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유진(田有鎭)14,410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6.08%낙선
2최재훈(崔栽熏)[5]62,115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9.34%당선
4전재경(全在敬)13,0493위

[[무소속|
무소속
]]
14.56%낙선
5박성태(朴成泰)사퇴
선거인 수214,580투표율
42.56%
투표 수91,327
무효표 수1,753

대구광역시 출신 전통관료인 전재경 후보가 컷오프 이후 탈당하며 무소속 출마를 감행해 보수표를 일정 부분 잠식했지만 국민의힘의 공천을 받은 최재훈 후보가 70%에 육박한 득표율을 올리며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또 무소속으로 출마한 전재경 후보와의 범보수 득표를 합산하면 83.90%라는 득표율이 나오게 된다. 여담으로 최재훈 후보는 만 40세로 이번 지방선거에서 최연소 기초자치단체장이 되었다.


[1] 무투표 당선 2석 포함[2] 친문 계열의 대구 봉쇄 발언에다, 문재인 정부 심판론, 윤석열 정부의 허니문 기간(출범한 지 한 달도 안 됐다.)까지 겹치니 당연할 수 밖에 없다.[3] 수성구 제1선거구.[4] 당시 44.00%라는 득표율을 얻어 매우 선전하였다.[5] 만 40세로, 이번 지방선거에서 전국 광역자치단체장·기초자치단체장 중 최연소 당선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