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호남권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



3.1. 읍면동별 득표율
3.2. 권역별 결과
3.2.1. 서부권[1]
3.2.2. 동부권[2]
3.2.3. 광주권[3]
4.1. 권역별 결과
4.1.1. 전주권[4]
4.1.2. 서부 평야 지역[5]
4.1.3. 동부 산간 지역[6]



1. 호남권[편집]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호남권 광역의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115석
3석
2석
3석
1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호남권 기초의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공석
418석
4석
5석
12석
74석
1석


2. 광주광역시[편집]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 기초의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57석
1석
6석
5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투표율
후보
강기정
주기환

광주광역시

334,699
(74.91%)

71,062
(15.90%)
37.7

동구[7]

27,775
(73.60%)

6,994
(18.53%)

42.5

서구

71,873
(74.60%)

15,552
(16.14%)
39.7

남구

53,512
(76.09%)

11,406
(16.21%)
39.7

북구[8]

102,468
(75.56%)

21,054
(15.52%)
38.8

광산구[9]

79,071
(74.05%)

16,056
(15.03%)
33.3

이번 지선에서 광주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저인 37.7%의 투표율을 보였다. 특히 광산구의 경우 광산구청장이 무투표 당선되는 일로 인해 투표 의지가 확 꺾인 탓에 투표율이 최저였던 광주 내에서도 33.3%라는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 이것이 광주의 낮은 투표율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국민의힘 주기환 후보는 공직 선거에 처음으로 출마하는 정치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보수정당의 사지로 불리는 광주의 모든 구에서 득표율이 15%를 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국민의힘은 보수정당 역사상 1회 지선 이후 맥이 끊겼던 광주광역시의회 의원을 27년 만에 배출했다.


3. 전라남도[편집]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56석
1석
1석
2석
1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 기초의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193석
1석
3석
5석
45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지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투표율
후보
김영록
이정현

전라남도

672,433
(75.74%)

167,020
(18.81%)


목포시

76,408
(81.33%)

13,045
(13.88%)


여수시

85,684
(80.24%)

16,912
(15.83%)


순천시

79,776
(63.65%)

40,082
(31.98%)


나주시

39,317
(77.18%)

8,638
(16.95%)


광양시

47,884
(71.16%)

15,322
(22.77%)


담양군

19,641
(76.68%)

4,358
(17.01%)


장성군

19,721
(78.58%)

3,946
(15.72%)


곡성군

9,549
(54.15%)

7,225
(40.97%)



구례군

11,783
(71.23%)

3,662
(22.14%)


고흥군

32,273
(77.78%)

6,793
(16.37%)


보성군

16,344
(72.72%)

4,492
(19.98%)


화순군

23,759
(76.55%)

4,912
(15.82%)


장흥군

17,111
(77.32%)

3,220
(14.55%)


강진군

15,844
(76.02%)

3,412
(16.37%)


완도군

24,396
(85.66%)

2,762
(9.69%)


해남군

27,283
(80.75%)

4,180
(12.37%)


진도군

15,677
(81.05%)

2,411
(12.46%)


영암군

21,769
(79.54%)

4,174
(15.25%)


무안군

31,544
(79.69%)

6,347
(16.03%)


영광군

22,937
(76.58%)

4,693
(15.66%)


함평군

13,807
(79.57%)

2,801
(16.14%)


신안군

19,926
(80.31%)

3,633
(14.64%)


이정현 후보는 자신이 국회의원을 지냈던 순천시에서 30% 이상, 본인의 고향인 곡성군에서 40%를 넘는, 보수정당 소속 전남지사 후보로서 기록적인 득표율을 달성했다.[10] 총 득표수에서도 윤석열 대통령보다 무려 2만표나 더 얻었으며 김영록 후보의 도정평가가 항상 1위를 달렸다는걸 생각해보면 이정현 후보의 개인기가 호남에서 얼마나 대단한지 보여주는 대목.


3.1. 읍면동별 득표율[편집]



김영록 득표율 top3

1위 완도군 신지면 84.10%[11]

2위 완도군 생일면 83.08%

3위 완도군 완도읍 82.58%


이정현 득표율 top3

1위 곡성군 목사동면 52.87%[12]

2위 곡성군 삼기면 44.46%

3위 순천시 주암면 43.73%[13]




3.2. 권역별 결과[편집]



3.2.1. 서부권[14][편집]


김영록 지사의 고향인 완도군이 속한 권역 답게 대부분 지역에서 김영록 지사의 득표율이 80%를 넘겼다. 특히 완도군의 경우 전남 모든 기초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이정현 후보가 한자릿수 대 득표율에 그쳤고 김영록 지사가 85.6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 외에 진보당 민점기 후보의 고향이자 전농의 세가 강한 장흥군과 전남 서부에서 보수세가 미약하게 나마 있는 강진군에서는 70% 후반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3.2.2. 동부권[15][편집]


이정현 후보의 지역기반이기도 했고 영남과 인접해 있는 영향도 있었기에 타 권역보다 이정현 후보의 득표율이 높았으며, 특히 고향 곡성군과 의원 시절 지역구였던 순천시에서는 평균 득표율과 확연히 차이 나는 득표율을 올렸으며, 순천, 곡성과 같은 국회의원 선거구에 묶이는 광양과 구례에서도 22%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특히 순천시에서는 비례대표 시의원을 1명 배출했다. 전라남도 첫 보수정당 기초의회 의원이다.

3.2.3. 광주권[16][편집]


김영록 후보가 여유롭게 승리를 거뒀지만, 이정현 후보도 이 지역에서 모두 선거비 전액 보전선인 15%를 넘기며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전라북도[편집]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 기초의회의원 선거 결과
[17]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168석
3석
1석
1석
24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지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투표율
후보
김관영
조배숙

전라북도

591,510
(82.11%)

128,828
(17.88%)


전주시 완산구

99,377
(80.86%)

23,509
(19.13%)


전주시 덕진구

75,741
(79.62%)

19,377
(20.37%)


군산시[18]

73,109
(85.89%)

12,003
(14.10%)


익산시[19]

83,134
(80.07%)

20,682
(19.92%)


정읍시

44,026
(84.68%)

7,960
(15.31%)


남원시

35,477
(83.43%)

7,046
(16.56%)


김제시

33,765
(82.59%)

7,114
(17.40%)


완주군

32,573
(82.01%)

7,144
(17.98%)


진안군

13,062
(82.36%)

2,796
(17.63%)


무주군

11,971
(77.97%)

3,381
(22.02%)



장수군

11,607
(83.96%)

2,216
(16.03%)


임실군

13,689
(81.90%)

3,024
(18.09%)


순창군

14,230
(81.33%)

3,265
(18.66%)


고창군

27,811
(84.92%)

4,935
(15.07%)


부안군

21,938
(83.37%)

4,376
(16.62%)


예상대로 민주당 김관영 후보가 압승을 거뒀지만, 조배숙 후보도 주기환 후보, 이정현 후보와 마찬가지로 15% 득표율을 넘기며 선전했다. 김관영 후보의 고향인 군산시를 제외하면 모든 기초자치단체에서 선거비 전액 보전선인 15%를 넘었다. 조배숙 후보의 고향인 익산시에서도 19.92%를 득표하며 전체 득표율에 비해 높은 득표를 했다.


4.1. 권역별 결과[편집]



4.1.1. 전주권[20][편집]



4.1.2. 서부 평야 지역[21][편집]



4.1.3. 동부 산간 지역[22][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8:24:48에 나무위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호남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목포시, 무안군, 신안군, 영암군, 해남군, 진도군, 강진군, 장흥군, 완도군[2]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구례군, 곡성군, 고흥군, 보성군[3] 나주시, 담양군, 장성군, 화순군, 함평군, 영광군[4] 전주시, 완주군[5] 익산시, 군산시, 김제시, 고창군, 부안군, 정읍시[6] 남원시, 임실군, 순창군,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7] 주기환 후보가 광주지방검찰청 수사과장을 지낸 곳. 가장 득표가 높다.[8] 전남 고흥 출신인 강기정 후보가 국회의원을 지낸 곳. 다만 최다 득표지는 남구이고 북구는 2위다.[9] 주기환 후보의 고향. 다만 득표가 가장 낮다(...). 여담이지만 7회 지선에서 당선된 이용섭 전 시장의 국회의원 지역구이기도 하다.[10] 특히 출신지인 목사동면에서는 52.38%로 과반을 넘는 득표를 했으며 삼기면에서도 김영록 현 지사를 이겼다.[11] 완도군은 김영록 후보의 고향이다.[12] 유일하게 과반을 넘긴 읍면동이며, 이정현 후보의 고향이다.[13] 순천시는 이정현 후보의 전 지역구다.[14] 목포시, 무안군, 신안군, 영암군, 해남군, 진도군, 강진군, 장흥군, 완도군[15]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구례군, 곡성군, 고흥군, 보성군[16] 나주시, 담양군, 장성군, 화순군, 함평군, 영광군[17] 전북 군산시의회 나선거구에서 당선자 정족수 미달이 발생해 시의원 1석은 공석으로 남았다.[18] 김관영 후보의 고향이자 국회의원 지역구. 유일하게 85%를 넘겼다.[19] 조배숙 후보의 고향이자 국회의원 지역구. 20%를 넘긴 무주군, 덕진구에 이어 3번째로 많이 득표했다.[20] 전주시, 완주군[21] 익산시, 군산시, 김제시, 고창군, 부안군, 정읍시[22] 남원시, 임실군, 순창군,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