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교도소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교정본부 엠블럼.svg 대한민국 교정본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교정본부장_계급장.svg
법무부 교정본부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서울지방교정청
교도소
안양교도소 · 의정부교도소 · 화성직업훈련교도소 · 화성여자교도소(예정) · 여주교도소 · 서울남부교도소 · 춘천교도소 · 원주교도소 · 강릉교도소 · 영월교도소 · 강원북부교도소 · 태백교도소(예정)
구치소
서울구치소 · 서울남부구치소 · 서울동부구치소 · 수원구치소 (평택지소) · 인천구치소 · 경기북부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구지방교정청
교도소
대구교도소 · 경북북부제1교도소 · 경북북부제2교도소 · 경북북부제3교도소 · 경북직업훈련교도소 · 부산교도소 · 창원교도소 · 포항교도소 · 안동교도소 · 김천소년교도소 · 경주교도소 · 진주교도소 · 상주교도소
구치소
부산구치소 · 대구구치소 · 울산구치소 · 밀양구치소 · 통영구치소 · 거창구치소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전지방교정청
교도소
대전교도소 (논산지소) · 공주교도소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 천안개방교도소 · 천안교도소 · 청주교도소 · 청주여자교도소
구치소
충주구치소 · 대전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광주지방교정청
교도소
광주교도소 · 전주교도소 · 순천교도소 · 목포교도소 · 장흥교도소 · 군산교도소 · 제주교도소 · 해남교도소 · 정읍교도소 · 남원교도소(예정)
구치소
광주구치소(예정)
국군교도소 (국방부) · 소망교도소 (민영) · 국립법무병원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법무부 교정본부 대전지방교정청
공주교도소
Gongju Correctional Institution | 公州矯導所


파일:공주교도소 청사 전경.jpg

종류
교도소
운영주체
법무부 교정본부 대전지방교정청
개소
1908년
소장
조진호
위치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로 21-45 (금흥동)




서신주소
(32546) 충청남도 공주우체국 사서함 13호
연락처
041-851-320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조직 및 수용구분
4. 주요 수감자
5. 사건 사고
6. 여담




1. 개요[편집]


충청남도 공주시 금흥동에 위치한 1심 미결수용자와 S3급 수형자를 수용하는 교도소이다.


2. 역사[편집]


  • 1908년 04월 11일 - 공주감옥으로 개청
  • 1914년 - 외감옥 부지에 이전 신축
  • 1923년 05월 05일 - 공주형무소로 개칭
  • 1950년 - 공주형무소 6.25 전쟁으로 전소
  • 1952년 3월 - 공주형무소 가건물로 복구
  • 1961년 12월 23일 - 공주형무소를 공주교도소로 개칭
  • 1978년 09월 13일 - 현재 위치로 기관 이전

공주교도소의 역사는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공주는 충청감영이 있던 곳으로 부설 감옥이 있었는데 공주 향옥이 그 당시 부설 감옥이었다.[1] 공주교도소의 시초는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공주시 교동 3번지에 개청한 공주감옥이 그 시초이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1923년 공주감옥을 공주형무소로 개칭하여 400~500명 정도를 수용하였고 치안유지법을 위반한 사람들과 항일운동을 하던 독립투사 분들도 종종 수용되기도 했다. 이때 공주형무소에 수감되었던 수감자들은 그 당시 일본의 교정 목적이었던 작업을 통한 교육과 교화, 사회적응력 함양을 이유로 막대한 노동력 착취를 당하기도 했다.[2]

파일:공주형무소 전경.jpg

▲ 공주형무소 전경
이후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공주형무소가 전소되었다가 1952년 3월에 가건물로 복구를 완료하였다. 시간이 지난 1961년 12월 23일 행형법 제858호에 따라 공주형무소를 공주교도소로 개칭하였다.
부칙 <법률 제858호, 1961. 12. 23.>

①본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단기4242년 10월 18일 칙령 제243호 조선총독부감옥관제는 이를 폐지한다.

③본법시행 당시의 교도소, 소년교도소는 본법에 의하여 설치된 것으로 간주한다.

④본법시행 당시의 타법령중의 형무소, 소년형무소 및 형무관은 본법에 의한 교도소, 소년교도소 및 교도관으로 각각 설치, 개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1] 조선시대에 만들어지기도 했고 현재 공주교도소와 연결점을 찾기 어려워 공주교도소의 시초라고는 보기 어렵다.[2] 실제로 공주시의 관광 명소인 제민천을 반듯하게 하는 작업에 공주형무소 수감자들이 투입되기도 했다.

공주교도소로 기관명을 개칭한 후에 1978년 09월 13일 낡은 옛공주형무소 시설에서 지금의 위치로 기관을 이전하여 지금까지 이르렀다.


3. 조직 및 수용구분[편집]


  • 총무과
  • 보안과
  • 직업훈련과
  • 사회복귀과
  • 복지과
  • 의료과


4. 주요 수감자[편집]


  • 유관순 - 공주에서 독립만세운동을 하다 붙잡혀 공주형무소에 투옥되었다.
  • 오동진 - 독립운동을 하다 옛 동료 김종원(金宗源)의 밀고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1944년 공주형무소로 이감되어 옥중에서 사망하였다.
  • 김복한 -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내는 독립청원서 작성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1919년 07월 29일 징역 1년을 선고받아 공주감옥에 투옥되었다.


5. 사건 사고[편집]




  • 2021년 공주교도소 살인 사건이 발생하였다.[3]


6. 여담[편집]


  • 정신질환수용자들을 수용하고 있는 교도소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20:34:09에 나무위키 공주교도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3] 자세한 건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