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성서3

최근 편집일시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폐선
]]
[ 펼치기 · 접기 ]
셔틀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
동구8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3px"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파일:DSC_1577.jpg
1. 노선 정보
2. 개요
2.1. 시간표
3. 역사
4. 특징
4.1. 팔달시장 지원운행
4.2.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편집]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세천-장기)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웃는얼굴아트센터)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5:35
막차
22:21
막차
22:11
배차
35분(공통 구간 23분)[1]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1][2]
노선
매곡정수사업소 - 다사고교 - 매곡초교 - 성서5차산단 - 세천리 - 세천초교 -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 - 건영캐스빌 - 와룡고교 - 성서고교 - 용산육교 - 서부지원지청 - (용산역 6, 3번출구[4]→/←학생문화센터 - 대구전자공고) - 웃는얼굴아트센터

【가지노선 접기/펼치기】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이천-장기)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웃는얼굴아트센터)
종점행
첫차
07:12
기점행
첫차
08:14
막차
20:45
막차
21:41
배차
136분(1일 7회)(공통 구간 23분)[1]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본선 6대 중 ?대
노선
(주요 경유지)
매곡정수사업소 - 다사역 - 다사주공아파트 - 다사초교 - 이천리 - 다사체육공원 - 달천리 - 박곡리 - 서재문화체육센터 - 건영캐스빌 - 와룡고교 - 성서고교 - 용산육교 - 서부지원지청 - (용산역 6, 3번출구[4]→/←학생문화센터 - 대구전자공고) - 웃는얼굴아트센터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이천-팔달시장)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16:46
막차
-
배차
1일 3회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본선 6대 중 ?대
노선
(주요 경유지)
매곡정수사업소 - 다사역 - 다사주공아파트 - 다사초교 - 이천리 - 다사체육공원 - 달천리 - 박곡리 - 서재문화체육센터 - 열병합발전소 -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 → 원대시장 → 인지초등학교) 이하역순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세천-팔달시장)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
첫차
07:46
기점행
첫차
-
막차
18:22
막차
-
배차
1일 2회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본선 6대 중 ?대
노선
(주요 경유지)
매곡정수사업소 - 다사고교 - 매곡초교 - 성서5차산단 - 세천리 - 세천초교 -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 - 서재문화체육센터 - 열병합발전소 -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 → 원대시장 → 인지초등학교) 이하역순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세천→장기→이천→다사)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웃는얼굴아트센터)
종점행
첫차
12:46
기점행
첫차
13:48
막차
18:46
막차
19:48
배차
1일 2회[1]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본선 6대 중 ?대
노선
매곡정수사업소 - (다사고교 → 매곡초교 → 성서5차산단 → 세천리 → 세천초교 →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 / 다사역 ←다사주공아파트 ← 다사초교 ← 이천리 ← 다사체육공원 ← 달천리 ← 박곡리 ← 서재문화체육센터) - 건영캐스빌 - 와룡고교 - 성서고교 - 용산육교 - 서부지원지청 - (용산역 6, 3번출구[4]→/←학생문화센터 - 대구전자공고) - 웃는얼굴아트센터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공영차고지에서 달서구 장기동 웃는얼굴아트센터[3]를 거쳐 다시 매곡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하는 우진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다사-세천-장기-세천-다사(배차간격 : 35분)
다사-세천-장기-이천-다사(배차간격 : 일 2회)
다사-이천-팔달시장-이천-다사(배차간격 : 일 3회)
다사-이천-장기-이천-다사(배차간격 : 일 7회)
다사-세천-팔달시장-세천-다사(배차간격 : 일 2회)


2.1. 시간표[편집]


다사~세천~장기~세천~다사
다사~세천~장기~이천~다사
다사~이천~팔달시장~이천~다사
다사~이천~장기~이천~다사
다사~세천~팔달시장~세천~다사

3. 역사[편집]


  • 2006년 2월 19일 노선개편 때 폐선된 마을버스 5번 신당동, 용산동, 장기동 일부 구간과 52-2번, 514번이 운행하는 가지 노선들 중 세천리, 이천리방면 지선을 인수해 신설했다.

  • 팔달시장 가지노선은 205-1번이 1998년 개편 때 52-2번으로 개편했는데 이 52-2번을 2006년 개편 때 성서3번 팔달시장 방면으로 흡수한 것이다.
  • 2006년 2월 개편 때 성서고등학교 방면과 성서네거리 방면 분리 노선 구간이 있었으나, 동년 9월 24일 용산지하차도 방면으로 통합하고 대신 1일 3회 이천리경유 팔달시장행 가지 노선이 들어서게 되었다.
  • 이후에는 1일 2회 세천리경유 팔달시장행이 추가됐다.
  • 당시 성서3번이 운행했던 성서지구(성서청남타운, 와룡공원, 와룡시장) [4] 구간은 2015년 8월 현재 524번과 달서1번이 전담하고 있다.[5]

  • 2012년 2월에 세천리 수요 증가로 2대 증차되었다.[6]



4. 특징[편집]


  • 언뜻 보기에는 성서의 오지 지역을 운행하는 오지 노선처럼 보이지만, 그 속내는 수요가 압도적인 지선이다.
  • 물론 오지 노선이 아예 아니었던 것은 아니었는데, 세천리가 개발되며 성서5차산단과 아파트가 조성된 시기인 약 2015년 전후로 사실상 일반 지선이 됐다.

  • 주 이용층은 524번과 함께 선원로와 용산로를 오고 가는 고등학생과 직장인 승객들이다.

  • 정류소별 이용 통계에 의한 수요를 보면 성서5차산단과 2호선의 접점인 대실역으로 부터 나오는 성서5차산단 근로자 수요가 압도적이고, 그 뒤를 이어 성서고등학교, 성산고등학교, 와룡고등학교 통학 수요며[7] 이어 용산1동, 용산2동 주민 수요, 세천리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서재리와 세천리의 아파트 단지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 원래는 배차간격이 35분이었던터라 수요가 이렇게 많지 않았으나, 세천리의 개발로 달구벌버스 운행 시절때부터 2대 증차돼 6대로 운행하게 되면서 배차간격이 23분으로 줄어들고, 나름대로 성서 지선으로서의 경쟁력을 갖게되어 성서2번과 대등한 수요를 보여 주고 있다.
  • 고교생들 등하교 시간엔 꽉꽉채워서 터져 나간다
  • 또한 상대적으로 524번 및 비슷한 지선인 달서3번의 배차간격도 만만치 않게 길고 달서3번보다도 오히려 더 좋은 2호선 환승 여건[8], 2015년 노선 개편 이후 202(-1)번의 수요까지 흡수하면서 이 수요는 더욱 늘어났다.

  • 이렇듯, 선원로 일대와 서재리, 세천리 일대에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지선이며 세천리에 아파트 단지가 더 늘어나면서 증차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 다만 출퇴근 시간 한정으로 수요가 터져나가는 수준인 점과 아직까지는 팔달시장 지원운행을 나가는 등 오지 노선이라는 특징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요적 측면에서 당장 성서3번을 증차하기는 어려운 터라, 성서1(-1)번이 1대씩 증차되어 성서3번과 동일한 배차간격으로 세천리에 들어오고 있다.

  • 이거로도 모자랐는지, 2017년 1월 21일부터는 달서1번도 신당동에서 세천리로 들어온다.[9]


  • 운행 업체가 어느 회사에 배정되든, 오지 노선 시절부터 차량 투입은 웬만한 간선이나 급행버스들보다 대우가 좋은 편이다.
달구벌버스 시절이나 우진교통이 담당하고 나서부터나 노선 신설 후 6개월~1년 만에 2007년식 신차가 전원 성서3번에 투입된 전례가 있고, 2015년 노선 개편 이후에도 가장 오래 된 차량이 기것해야 소수의 BS106 2008년식 이후 차량에, 대다수가 2012년 이후 출고한 NEW BS106이 투입된 상태다.
  • 덤으로 성서3번 차량 대다수가 대우버스화됐다.[10]

  • 달구벌버스 시절을 보자면, 신설 초기에도 가스차량이 성서3번에 들어갔다.
  • 가스 충전소가 있는 매곡리 착발이라 오지노선 치고는 가스 충전 여건이 꽤 좋은 것도 있었고, 주력인 202(-1)번은 2013년에 와서야 상리동CNG충전소가 영업을 시작해 가스 충전이 편리해질 정도로 그만큼 충전이 불편했기 때문이었다.

  • 게다가 2007년 달구벌버스에서 차량을 대거 압류당해 국일 시절에 출고했던 차량들이 모두 매각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울며 겨자먹기로 2007년식 가스차량을 대거 출고했는데, 마찬가지로 화성시에서 중고차로 갖고 왔던 디젤차량은 당시 가스 충전이 불편했던 202(-1)번에 몰아넣고 2008년 12월에는 용천리CNG충전소가 오픈하면서 다시 한 번 518번차돌리기를 했으며 2012년에는 대우차량의 연비를 이유로 북구3번의 현대차량과 모두 맞트레이드했을 정도로 202(-1)번의 가스 충전 여건이 굉장히 나빴기 때문인 점 등 성서3번에는 사실상 필연적으로 좋은 차량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 거기에 증차 + 수요 증가로 세천리에는 저상버스 신차도 기대가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 그러나 후술하지만 이천리, 달천리 구간에 꽤 깔려 있는 과속방지턱 때문에 저상버스는 투입이 아예 안 된다.

  • 성서3번 정규차량 중 구형 BS106 1대가 고장으로 현대 좌석차량으로 조기 대차되어 급행1번에 들어가면서, 한때 급행1번에 있던 개조차량이 정규 행선판을 붙이고 성서3번을 운행한 적이 있었다.

  • 그러나 성서3번으로 이동시킬 때 재도색도 안 하고 그대로 운행한 것이 목격되어 곧장 민원이 들어갔는지, 얼마 안 가서 현대 입석형 예비차량 1대가 성서3번 정규차량으로 전환되고 급행1번에서 넘어왔던 개조차량은 예비차가 되는 등 불과 일주일을 운행하다가 맞바꿨다(...) 다만 이 급행 차량의 투입이 임시였는지
  • 정규 행선판 붙인 게 의아하긴 하지만 민원 때문에 급하게 바꾼 것인지는 불명. 어쨌든 드디어 급행 예비차 추가 확보

  • 우진교통에서 대다수가 대우차로만 구성되어 있는 노선이다.

  • 달서3번처럼 중간에 장산초교 및 달구벌종합복지관을 경유하여 용산역으로 내려오지만, 웃는얼굴아트센터 방면 한정으로 용산역으로 내려올 때 우방죽전타운 대신 용산역 6번 출구 옆에 있는 농협하나로클럽 성서점 바로 앞에 세워 준다.
  • --다만 안내방송은 농협하나로마트로 나온다
  • -- 다사 방면으로 올라갈 때에는 우방죽전타운에 정차한다.

  • 2015년 개편 이후 용산1동의 남쪽으로는 달서3번을 백업하면서 수요가 늘어났다.[11]

  • 이러한 이유는 배차가 길어도 운 좋게 성서3번이 걸리면 착석이 보장되고, 은근히 빠른 운행 속도에 용산역 2, 3, 6번 출구와 버스 정류소 용산역까지 길어 봐야 1분 이내 거리로 코 앞에 데려다 주기 때문에 202(-1)번과 마찬가지로 용산역과 공생하고 있었던 노선이기 때문. 물론 직접적인 원인은 혼잡하고 긴 배차 간격에 은근히 굴곡도가 높은 달서3번 때문이다.

  • 결국 2016년 들어서는 기어이 아침 7시 이후에 좌석의 90% 이상을 다 채우고서 장기동 방면으로 운행하는 모습이 목격되어 충공깽을 선사했고, 이 수요는 202(-1)번이 환원되지 않는 이상 점점 늘어나고 있다.
  • 거기다, 용산동에서 늘어난 수요가 기어코 아침 시간대 다사 방면으로도 입석을 세워 다니기 시작했다.
  • 성서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유동인구가 많고 버스 이용객이 많은 곳이 용산1동인데, 여기서 선원로상의 고등학교와 성서5차산단으로 출근하는 노선을 한 번에 잇는 건 성서3번 밖에 없어서인 듯 하다.

  • 성서3번 이천리행 한정으로 대구 시내버스를 통틀어 유일하게 2호선 다사역과 연계된다.

  • 방천리 종점에서 비산염색공단으로 가는 방향에 달성군 다사읍서구 상리동의 경계가 있으며, 위생처리장 아랫쪽 상리지하차도로 가면 234번서구1(-1)번이 들어오는 가르뱅이 종점으로 가는 길이 있다.[12]

  • 여담으로, 성서권역 지선버스들 중에서 유일하게 월배로 가지 않는다.[13]




4.1. 팔달시장 지원운행[편집]


  • 팔달시장 방면으로 1일 5회(이천리 3회 + 세천리 2회) 지원운행이 있다.
  • 2006년 9월에 생겼다.
  • 1998년 개편 전에는 205-1번[14][15], 1998년 개편 후부터 2006년 개편 전까지는 52-2번이 담당했던 구간이다.

  • 팔달시장 방면은 이용자가 거의 없어서 30분 만에 주파하는 경우도 있으나, 서재리에서 북부정류장, 팔달시장을 비산염색산단 경유 직통으로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이다.[16][17]

  • 이천리행이 다니는 이현고개삼거리 정류장에서 다사역 방면 대신 반대쪽으로 우회전해서 3km 올라가면 하빈면사무소가 나온다. 문제는 이 길이 커브가 심하고 고갯길이라서, 이현고개삼거리에서 하빈면사무소 사이 도로에는 단 한 대의 시내버스도 운행하지 않는다.[18]
  • 이 길은 하빈면에 사는 주민들이나 하빈면 쪽으로 많이 가는 사람들 외에는 잘 이용하는 도로가 아니라서 수요도 거의 없으며, 실제로 가 보면 와인딩까지는 아니어도 경사진 커브길이 좀 있고 롤러코스터를 느낄 수 있다.
  • 게다가 야간에는 상당히 어두워서 야간에 이 구간을 자차로 갈 때는 상향등(빔)이 필수다.
  • 그리고 이현고개삼거리에서 금호강 건너편으로 세천리가 바로 보인다.
  • 하지만 이천리와 세천리를 바로 연결하는 교량은 없는데, 교량을 만들 만큼 교통량이 많은 것도 아니다.
  • 게다가 자차를 타고 달천리 쪽으로 가 보면 알겠지만 달천리, 박곡리, 이천리 사이에는 살짝 높은 과속방지턱이 많이 깔려 있어서, 이 노선에는 저상버스가 들어가기 어렵다.[19]

  • 2017년 7월 20일 부로 위생처리장 정류소를 무정차 통과하도록 변경되었다.





4.2. 일평균 승차량[편집]



성서3
연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승차량(명)
854
835
1,073
1,120
994

5. 연계 철도역[편집]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다사역, 대실역, 용산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20] : 만평역, 팔달시장역, 원대역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03:56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성서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통 구간은 건영캐스빌~웃는얼굴아트센터 구간.[1] 이 6대 중 일부 차량이 특정 시간대 이천리나 팔달시장으로 빠진다.[2] 평일, 주말, 휴일을 가리지 않고 6대로 운행한다.[4] 각각 농협하나로마트, 장기영남네오빌 정류소를 의미한다.[3]달서구 첨단문화회관[4] 당시 마을버스 5번 시절에는 청남타운은 거치지 않았고 와룡시장을 경유하여 와룡공원입구, 와룡초.중고, 한빛마을.성곡초교, 성산초.중고까지 맡았다가 성서3번으로 변경된 이후 성산.초중고를 제외한 좁은길에는 어린이 안전사고 등을 이유로 간선버스가 투입될수가 없어 결국 신당동주민센터, 푸른마을아파트, 성서고등학교를 경유하며, 이 중 성서네거리 분리구간도 있었는데 와룡시장만 경유하였다.[5] 508번은 급행5번으로 형간 전환하면서 폐지된 달서2번의 일부 구간을 맡고 있다.[6] 202(-1)에서 1대씩 감차했었다.[7] 통학 수요는 세천리나 이천리나 꽉꽉채워 다닌다.[8] 내리자마자 지하철역이 바로 코앞에 있는 환경이 대구에는 은근히 드물어서(...)[9] 거기에 추가로 2대가 또 증차돼 달서1은 13분 간격으로 다닌다(...)[10] 2017년 3월 말 2857호가 고장이 너무심해 조기 교체되는 것을 계기로 현대버스가 정규차로 투입되면서 100% 대우버스라는 기록은 옛 일이 됐다.[11] 202(-1)번의 폐지로 인한 불편 민원과 달서3번의 불편 민원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12] 그리고 방천리와 상리동 위생처리장 사이에 와룡대교가 개통되어 북구 사수동(금호지구)으로도 바로 연결된다. 서재리, 방천리 방향 노선 타고 졸다가 종점을 지나 상리동CNG충전소까지 와서 모종의 사유로 내렸다면, 이 노선의 버스정류장이 있다고 무턱대고 기다렸다가 낭패보지 말고(1일 5회뿐이다) 204번, 234번, 240번, 서구1(-1)번을 이용하자.[13] 비슷한 속성으로, 달서 지선들 중 달서4(-1)이 성서권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감삼동이 있긴 하지만 여긴 성서권과 달서구 북쪽권역의 경계지점이라(...)[14] 북부정류장~염색공단~다사~계명대~(달구벌대로 직통)~동산병원~북구청네거리~팔달시장~북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했던 노선, 그 전에는 죽전네거리에서 남쪽으로 빠져서 본리네거리,서부정류장, 성당시장을 경유해서 서문시장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이 때의 노선이 대구 버스 202와 유사했다.[15] 더 오래 전에는 205번도 이 구간으로 다녔으나, 1995년에 폐선된 후 전혀 다른 노선으로 신설되었다.[16] 방천리의 경우 234번이 풀 타임으로 방천리공영차고지 - 상리동CNG충전소 - 북부정류장, 팔달시장으로 다닌다. 단, 서부소방서 및 염색산단 대신 가르뱅이, 서대구IC입구, 평리네거리로 나온다. 그 외에는 팔달시장으로 갈 때 방천리공영차고지에서 북구4번으로 환승해도 되지만, 금호지구를 한 바퀴 돌고 가는 데다가 주말휴일에는 일부가 사격장으로 올라가고 방천리로 돌아올 때는 매천시장역 입구에서 U턴한다. 그러나 방천리공영차고지 정류장은 차고지착발 노선만 승하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천리공영차고지에서는 급행7번과 연계할 수 없다.[17] 하빈면이나 다사읍으로 갈 때 달구벌대로 대신 비산염색공단, 상리동CNG충전소, 와룡대교입구 및 달천리로 빠지는 게 더 단거리일 수 있다. 단, 그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이 노선 하나뿐이고 1일 5회밖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자차 이용시에 한정한다.[18] 예전 52-2번도 이현고개삼거리에서 매곡리(다사역)로 빠진 후 하빈면사무소로 운행했다.[19] 2006년 개편 전 435번의 이천리 지원운행 시절에 광남자동차베타 테스트삼아 해량교 ~ 박곡/달천/이천리 구간에 저상버스를 투입해 보았는데, 달천리에 저상버스가 다니기에는 빡세다고 한다.[20] 팔달시장 지원운행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