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네이션즈/역사적 배경/전설 유물/주요 전당

덤프버전 : r20200302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도미네이션즈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도미네이션즈/전설 유물/주요 전당

도미네이션즈 역사적 배경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 아우구스투스 동상 흉갑
2. 오륜서
3. 이순신 장군의 투구
4. 구천의 검
5. 아가멤논의 마스크
6. 스토플러 리볼버
7. 캡틴의 무공십자훈장
8. 아즈텍 달력
9. 크리스마스 축구공
10. 나폴레옹의 이각모
11. 타하르코의 스핑크스
12. 서튼 후의 투구
13. 네페르티티 흉상
14. 신라 금관
15. 로제타 스톤
16. 에니그마
17. 안티키테라 매커니즘
18. 여의
19. 투탕카멘 마스크
20. 봉황관 펭구안
2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투구



1. 아우구스투스 동상 흉갑[편집]




2. 오륜서[편집]


오륜서는 미야모토 무사시가 17세기에 저술한 무술과 전략을 다루는 고전입니다. 오륜서에 포함된 각각의 책은 일본 철학의 5가지 자연 원리인 땅, 물, 불, 바람, 하늘을 본떠 제목이 정해졌습니다. 이 책은 자연 원리가 다르듯이 전투의 원리도 다르다는 개념을 보여 줍니다. 무사시의 전략과 전술에 대한 생각은 검술 측면의 가르침이지만, 오륜서의 많은 원리는 삶의 다른 부분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이순신 장군의 투구[편집]


이순신 장군은 해상 전쟁에서 패한 적이 없는 국가적 영웅으로 임진왜란(1592 - 1588)동안 일본의 침입자들을 격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단 13척의 거북선으로 133척의 일본 전함을 격퇴시킨 명량해전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패배를 안겨 준 것으로 가장 유명합니다.

이순신 장군은 군에서 수군을 포함해 여러 자리를 거쳤습니다. 그는 그를 시기하는 정부 관료의 거짓 주장으로 여러 자리를 전전해야 했으며, 군에서 두 번이나 방출되었습니다. 이들의 시기에도 불고하고 그는 왕의 총애를 받아 전체 수군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지휘관으로써 그는 유명한 거북선을 설계했으며, 이는 역사상 최초의 철갑 전함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조선 시대의 전통적인 지휘관의 투구를 장식했습니다. 그의 정교한 투구는 위에서부터 나온 삼지창과 귀와 목을 덮는 쓰개가 포함되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유탄을 맞고 사망했는데, 마지막 숨을 거두며 '승전고를 두드려라. 그리고 내 죽음을 알리지 말라'고 말하며 아들에게 자신의 갑옷을 입고 전투에서 승리할 때까지 자신으로 가창하도록 명령했습니다.



4. 구천의 검[편집]


구천의 검은 1965년에 중국 후베이성의 묘에 있던 해골 옆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 청동 검은 최소 23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부식 되지 않고 날카롭게 윤이 납니다. 그 놀라운 보존상태는 진공에 가까운 상태를 만들어 주는 칼집 덕분인 것으로 보입니다. 학자들은 검에 새겨진 고대 한자 8글자를 보고 춘추전국시대의 월나라의 구천왕(기원전 496년-465년 추정)의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5. 아가멤논의 마스크[편집]




6. 스토플러 리볼버[편집]




7. 캡틴의 무공십자훈장[편집]




8. 아즈텍 달력[편집]


아즈텍 달력은 시간을 추적하고 각 해에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 독특한 달력 시스템이었습니다. 많은 메소아메리카 문화에 각자 스타일의 달력이 있었지만, 아즈텍 달력이 유일하게 365일의 주기를 갖고 있었습니다. 각 해는 20일로 구성된 18개월과 '불운한 날'이라고 불린 추가 5일로 구성됐습니다. 달력은 달랐지만 아즈텍 부족과 마야 부족 모두 52년을 한 개 주기로 여겼으며, 52개의 주기가 끝나면 신이 세상을 파괴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9. 크리스마스 축구공[편집]


1차 세계 대전 중 크리스마스에 대단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전쟁 중인 국가들은 공식 휴전을 선포하기를 꺼렸으나 많은 곳에서 병사들이 자체적으로 성탄절에 임시 휴전을 해싿고 진술하는 현장 보고서가 있습니다. 식량, 술, 사탕, 담배를 서로 교환한 병사들에 대한 보고가 존재하며, 당일에 적진과 축구를 하고 크리스마스 캐롤을 불렀다는 보고도 일부 존재합니다.

전쟁이 심화되면서 전쟁 참여국들은 임시 휴전을 포함해 모든 종류의 휴전을 금하며, 이 명령에 불복종할 경우 징계를 내리겠다고 위협하는 엄격한 명령을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1914년 크리스마스 휴전은 현대 전쟁에서 적 간에 잠시라도 서로에 대한 공감과 예의를 보여 준 마지막 시기 중 하나로 기억됩니다.

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인 알프레드 앤더슨은 당일을 이렇게 회상합니다. '두 달 간 제가 참호에서 들은 것은 총알이 지나가고 부서지며 끼익 거리는 소리와 기관총 사격의 소리, 멀리서 들리는 독일군의 목소리 뿐이었습니다. 하지만 오전에는 멀리 보이는 땅 전체가 죽은 듯이 고요했습니다. 아무도 즐거운 기분이 아니었지만 저희는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외쳤습니다. 이른 오후가 되면 침묵이 끝나고 살인이 다시 시작댔습니다. 끔찍한 전쟁에서의 짧은 평화였죠.'



10. 나폴레옹의 이각모[편집]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코르시카 출신의 유명한 포병 장교로 후에 프랑스의 황제로 등극했습니다. 그의 사법 개혁으로 프랑스 혁병의 계몽 사상이 공고화됐으며, 그의 혁신적 전술은 향후 100년간 전쟁의 성패를 좌우했습니다. 그 당시에도 그리고 지금도, 그의 상징인 이각모로 바로 이 황제를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그는 평생 100개가 넘는 이각모를 소장했습니다. 당시 가장 귀족적인 장교들과는 대조적으로, 나폴레옹은 이각모를 옆으로 착용했는데, 이는 평민과의 결속을 뜻하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11. 타하르코의 스핑크스[편집]


타하르코의 스핑크스는 타하르코왕의 얼굴을 하고 있는 화강암으로 된 스핑크스 동상입니다. 기원 전 680년에 제작된 이 스핑크스는 이집의 마지막 누비아 왕인 타하르코를 기리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뛰어난 군사적인 기량을 지닌 그는 초기 통치 시절에 여러 번의 전투에서 승리했습니다. 이로써 항구적인 평화가 도래했습니다. 그의 통치는 기원전 690년부터 664년까지 지속됐으며, 통치 기간 중 이집트의 황금 시대를 이루어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2. 서튼 후의 투구[편집]


서튼 후는 현대의 잉글랜드에 위치한 7세기 무덤이었습니다. 이 무덤을 발굴하는 동안 고고학자들은 서튼 후 투구를 포함한 잘 보존된 왕의 유물이 있는 27미터에 달하는 배를 발견했습니다.

이 투구의 얼굴 마스크는 앵글로 색슨 족의 투구에서는 전례 없었던 고유의 특징을 갖고 있었습니다. 얼굴 마스크의 장식은 인간의 얼굴 모방에 그치지 않고 미적이며 보호하는 역할도 했습니다. 그 짙은 눈썹은 용의 날개를 닮았느넫, 이는 착용하는 이의 눈을 보호하려는 의도이었으며, 용의 몸은 코 보호대, 부채 모양의 꼬리나 콧수염은 위에서 오는 공격을 막아 내는 역할을 했습니다.



13. 네페르티티 흉상[편집]




14. 신라 금관[편집]




15. 로제타 스톤[편집]




16. 에니그마[편집]




17. 안티키테라 매커니즘[편집]




18. 여의[편집]




19. 투탕카멘 마스크[편집]




20. 봉황관 펭구안[편집]




2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투구[편집]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전국 시대 말기의 위대한 세 몽의 영웅 중 한 명으로 일본을 통일했습니다. 그는 250년 동안 평화 통치를 이끌었던 도쿠가와 막부를 세웠습니다. 그는 카부토로 알려진 투구를 착용했는데 그리스 로마시대의 월계관과 다소 닮은 놀라운 장식품이 정면에 달려 있었습니다.얼굴의 반을 가리는 악령을 닮은 마스크가 보여주듯이 카부토는 착용자를 보호하고 적을 겁주기 위해 만들어지고 꾸며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