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키☆스타/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러키☆스타



파일:교토 애니메이션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너스위치 코무기 한글 로고.png
너스위치 코무기짱 매지카르테
파일:attachment/교토 애니메이션/munto.jpg
MUNTOMUNTO 시간의 벽을 넘어서하늘을 올려다본 소녀의 눈동자에 비치는 세계극장판: 천상인과 아쿠토인 최후의 싸움
파일:풀 메탈 패닉 로고.png
풀 메탈 패닉? 후못후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
파일:attachment/교토 애니메이션/air.png
AIR
파일:스즈미야 하루히 한글 로고.png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新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뇨롱☆츄루야씨
파일:external/www.kyotoanimation.co.jp/kanon.png
Kanon
파일:러키 스타 한글 로고.png
러키☆스타
파일:attachment/교토 애니메이션/clannad.png
CLANNADCLANNAD: AFTER STORY
파일:케이온 한글 로고.png
케이온!케이온!!더 무비 케이온
파일:일상 한글 로고.png
일상
파일:빙과 한글 로고.png
빙과
파일:중2병이라도사.png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연타카나시 릿카・개 ~극장판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테이크 온 미
파일:타마코 마켓 한글 로고.png
타마코 마켓타마코 러브 스토리
파일:attachment/Free!/freelogo.png
Free!Free! Eternal SummerFree! Dive to the Future영화 하이☆스피드! -Free! Starting Days-프리! -타임리스 메들리- 인연프리! -타임리스 메들리- 약속프리! -테이크 유어 마크-극장판 프리! -로드 투 더 월드- 꿈
파일:경계의 저편 한글 로고.png
경계의 저편극장판 경계의 저편 -I'LL BE HERE- 과거편극장판 경계의 저편 -I'LL BE HERE- 미래편
파일: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한글로고(배경투명).png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파일:울려라 유포니엄 한글 로고.png
울려라! 유포니엄울려라! 유포니엄 2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키타우지 고교 관악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전하고 싶은 멜로디리즈와 파랑새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맹세의 피날레
파일:무채한의 팬텀 월드 한글 로고.png
무채한의 팬텀 월드
파일:목소리의 형태 한글 로고.png
목소리의 형태
파일: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한글 로고.png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S
파일:에플릭스.png
바이올렛 에버가든외전: 영원과 자동수기인형극장판 바이올렛 에버가든
파일:츠루네 한글 로고.png
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극장판 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


교토 애니메이션 작품
Kanon
2006년 4분기

러키☆스타
2007년 2분기

CLANNAD
2007년 4분기

러키☆스타 (2007)
らき☆すた


{{{#ffffff,#ffffff

작품 정보 ▼
장르
일상
원작
요시미즈 카가미(美水かがみ)
구성 협력
캐릭터 원안
감독
야마모토 유타카1~4화
타케모토 야스히로5~24화
시리즈 구성
마치다 토우코
캐릭터 디자인
호리구치 유키코
총 작화감독
설정
타카하시 히로유키(高橋博行)
미술 감독
타무라 세이키(田村せいき)
색채 설정
시모우라 아유미(下浦亜弓)
촬영 감독
타카오 카즈야(高尾一也)
편집
시게무라 켄고(重村建吾)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음악
코우사키 사토루 (MONACA)
음악 제작
란티스
기획 프로듀서
이토 아츠시(伊藤 敦)
핫타 히데아키(八田英明)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오하시 에하루(大橋永晴)
애니메이션 제작
교토 애니메이션
제작
러키☆파라다이스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07. 04. 09. ~ 2007. 09.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07. 21. ~ 2008. 09. 0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치바 테레비 / (월)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박스 / (화) 18: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4화 + OVA 1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4. 회차 목록
5. 해외 공개
5.1. 대한민국
7. 평가
7.1. 원작과의 충돌
8. 미디어 믹스
9. 2차 창작
10. 행사
10.1. 러키스타 in 무도관 널 위해서니까
10.2. 사이타마현 관련 행사
11.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러키☆스타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2007년 4월 교토 애니메이션에서 애니메이션화되었다. 이 애니메이션판의 등장은 이 만화의 지명도를 폭발적으로 올려주었고, 특히 일반적인 센스를 벗어난 오프닝곡 もってけ!セーラーふく(가져가! 세일러복)과 영상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댄스가 큰 인기를 끌었다. 애니메이션에서 추가된 각종 강렬한 임팩트들 때문에 상대적으로 원작은 약간 저평가되는 기색.

초기에는 야마모토 유타카가 감독을 맡았으나, 4화에서 감독을 강판당하고, 5화부터는 타케모토 야스히로가 감독을 맡게 되었다.[1]

제작 스태프 정리


2.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러키☆스타/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음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러키☆스타/애니메이션/음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회차 목록[편집]


회차
제목[2]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TVA
제1화
つっぱしる女
폭주 여고생

마치다 토우코
야마모토 유타카
호리구치 유키코
日: 2007.04.09.
韓: 2008.07.21.

제2화
努力と結果
노력과 결과

야마모토 유타카
타카오 노리코
니시야 후토시
日: 2007.04.16.
韓: 2008.07.21.

제3화
いろいろな人たち
이런저런 사람들

요시오카 시노부
(吉岡 忍)

이케다 쇼코
日: 2007.04.23.
韓: 2008.07.21.

제4화
やる気の問題
의욕의 문제

야마모토 유타카
이시다테 타이치
요네다 미츠요시
(米田光良)

日: 2007.04.30.
韓: 2008.07.28.

제5화
名射手
명사수

가토 쇼우지
이시하라 타츠야
아라타니 토모에
日: 2007.05.07.
韓: 2008.07.28.

제6화
夏の定番
여름방학

아라타니 토모에
타케모토 야스히로
우에노 치요코
日: 2007.05.14.
韓: 2008.07.28.

제7화
イメージ
이미지

오카베 유코
(岡部優子)

미요시 이치로
(三好一郎)

카도와키 사토시
日: 2007.05.21.
韓: 2008.08.04.

제8화
私じゃなくても旺盛
내가 아니라도 왕성해

무라모토 카츠히코
(村元克彦)

타카오 노리코
니시야 후토시
日: 2007.05.28.
韓: 2008.08.04.

제9화
そんな感覚
그런 감각

마치다 토우코
요시오카 시노부
이케다 쇼코
日: 2007.06.04.
韓: 2008.08.04.

제10화
願望
소원

야마모토 유타카
이시다테 타이치
타카하시 히로유키
(高橋博行)

日: 2007.06.11.
韓: 2008.08.11.

제11화
いろんな聖夜の過ごし方
크리스마스를 보내는 여러가지 방법

오카베 유코
이시하라 타츠야
이케다 카즈미
日: 2007.06.18.
韓: 2008.08.11.

제12화
お祭りへいこう
축제에 가자

가토 쇼우지
타케모토 야스히로
키타노하라 노리유키
우에노 치요코
日: 2007.06.25.
韓: 2008.08.11.

제13화
おいしい日
맛있는 날

마치다 토우코
아라타니 토모에
호리구치 유키코
日: 2007.07.02.
韓: 2008.08.18.

제14화
ひとつ屋根の下
한 지붕 아래

아라타니 토모에
미요시 이치로
카도와키 사토시
日: 2007.07.09.
韓: 2008.08.18.

제15화
いきなりは変われない
갑자기는 변하지 못해

오카베 유코
타카오 노리코
니시야 후토시
日: 2007.07.16.
韓: 2008.08.18.

제16화
リング

무라모토 카츠히코
요시오카 시노부
이케다 쇼코
日: 2007.07.23.
韓: 2008.08.25.

제17화
お天道様のもと
햇님 아래에서

마치다 토우코
이시다테 타이치
타카하시 히로유키
日: 2007.07.30.
韓: 2008.08.25.

제18화
十人十色
백인백색

타케모토 야스히로
야마모토 유타카

미요시 이치로
타다 후미오
(多田文男)

日: 2007.08.06.
韓: 2008.08.25.

제19화
二次に本質あり
무심코 나오는 본심!

아라타니 토모에
日: 2007.08.13.
韓: 2008.09.01.

제20화
夏の過ごし方
여름을 보내는 방법

오카베 유코
사카모토 카즈야
日: 2007.08.20.
韓: 2008.09.01.

제21화
パンドラの箱
판도라의 상자

무라모토 카츠히코
카도와키 사토시
우에노 치요코
日: 2007.08.27.
韓: 2008.09.01.

제22화
ここにある彼方
여기 있는 카나타

가토 쇼우지
타카오 노리코
니시야 후토시
日: 2007.09.03.
韓: 2008.09.08.

제23화
微妙なライン
미묘한 라인

야마모토 유타카
마치다 토우코[3]

요시오카 시노부
이케다 쇼코
日: 2007.09.10.
韓: 2008.09.08.

제24화
未定
미정

요시미즈 카가미
(美水かがみ)

타케모토 야스히로
이시다테 타이치

이시다테 타이치
호리구치 유키코
日: 2007.09.17.
韓: 2008.09.08.

OVA
OVA
JK
여고생

요시미즈 카가미
(美水かがみ)

타케모토 야스히로
호리구치 유키코
日: 2008.09.26.
韓: -



5. 해외 공개[편집]



5.1. 대한민국[편집]


TVA는 2008년 7월 21일부터 동년 9월 8일까지 애니박스에서 더빙 방영되었다. 이후 2008년 9월 5일부터는 챔프TV에서도 방영. 연출은 황태훈 PD, 번역은 양준모. 일본과는 달리 방영 당시 송출방식이 SD 4:3이었다.[4] 이후 발매된 OVA 에피소드는 따로 방영되지 않았다.

방영 전에 성우진이 발표되었을 때에는 성우진에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가 많았는데 특히 히이라기 카가미 역의 배정미는 당시 41세로 국내 방영판 성우진 중 아니자와 메이토 역의 강수진(당시 44세) 다음으로 나이가 많았고 전 해에 방영된 라라의 스타일기작안의 샤나로 이래저래 안 좋은 인상을 남겨서 불안하다는 평이 많았다. 그러나 방영 이후에는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잘 나왔다는 반응이 중론이었고 방영 전 가장 불안하다는 평을 받았던 배정미의 카가미는 주연 4인방 캐스팅 중 가장 성공적이었다 할 정도로 호평. 이외에도 게스트 성우진이 화려하다. 특히 13화는 케로로 소대가 섭렵했다.[5]

애니박스는 방영 당시 오프닝송을 번안해서 부른다는, 실로 충격과 공포의 모험을 시도했다. 가사는 꽤 훌륭하게 번안되었지만 노래로 들으면 격렬한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꽤 많은 듯하다. 확실히 물건너 사람들도 알아듣기 힘들다는 막장 가사를 그럭저럭 알아들을 수 있게 번역한 번역가의 노고는 칭찬받을 만하나 정신나간 노래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 확실히 번안은 잘 했지만 이 OP는 사람들의 손발을 실종시키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것이라 잘 번안해도 '오그라든다'라는 말이 나올 수밖에. 그래서 그냥 원곡을 써야한다고 말이 많았었다. 그러나 매화의 시작을 담당하며 럭키스타의 경우엔 마지막화의 나름 중요한 장면에도 쓰이는 오프닝까지[6] 더빙하여 자연스러움을 늘리면서도 원형을 최대한 유지한 것은[7] 결과적으로 좋았다고 볼 수 있겠다. 여자는 이슬만 먹어도 산다, 모모모양, 콜라 무한리필, 그 당시의 유행어였던 안드로메다 등 개사센스가 나름대로 뛰어나다.



한국판 러키스타 오프닝.[8] 결과적으로 애니박스에서 더빙하면서 전체적으로 상당히 신경써준 작품으로, 특히 CG의 경우에는 거의 이질감이 없다. 성우 갤러리에서는 미나미가 등과 함께 한때 막장 더빙으로 허구한 날 깠던 애니박스의 이미지를 재고시켜준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러키스타의 특성으로 인해 어디까지나 성우 갤러리에서 러키스타 더빙에 대해 평이 좋았지 다른 곳에서는 호불호가 갈렸다.

더빙에 대한 호불호를 떠나서 오프닝만큼은 누구나 다 창피해진다는 평이 중론. 그래서인지 오프닝만 듣고 더빙 퀄리티를 판단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국내 더빙팬조차도 오프닝에 대한 평가가 대부분 이렇다.

이런저런 비판이 많았던 원작 코믹스 정발 번역과는 달리 원본에서 등장하는 패러디 요소를 대부분 놓치지 않고 반영하려는 노력이 돋보이는데, 일부 마이너한 요소는 적절한 현지화를 거쳐 당시 한국에서 유행하던 다른 패러디 요소로 대체하기도 했다.[9] 거기다 황태훈 PD가 죠죠러인지 작중 인물인 타무라 히요리의 죠죠 패러디 이벤트에서는 일본판에는 없던 WRYYYYYYYYYY까지 넣기까지 했다. 당시부터 널리 쓰였던 오타쿠 용어의 경우 미연시, 모에, 츤데레 등의 표현을 대놓고 언급하기도 했다.[10]

애니박스 홈페이지에 가보면 장르 분류가 명랑, 코믹, 마법 판타지로 되어있다. 게다가 챔프 홈페이지에서는 장르 분류를 명랑, 코믹, 학원, 순정물로 바꿔놓았다. 학원은 그렇다 치고 왜 순정을 집어넣은 건지.

본작 방영 시기에 공개된 애니박스 신작 소개 프로그램에서 이즈미 코나타히다마리 스케치 화풍으로 당황하는 모습을 패러디한 팬아트가 쓰이기도 했다.

대원방송에서 더빙 방영한 얼마 안 되는 남성향 미소녀물로서, 방영 후 클라나드, 미나미가 세자매 이후로는 이러한 작품의 방영 비중이 확연히 줄어들었다.[11] 물론 이후에도 액션 히로인 치어 후르츠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를 들여왔지만 둘 다 자막으로만 방영했고, 이들 모두 요즘 일본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유명하지 않은 작품들이다.[12]


6. 작중 패러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러키☆스타/패러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평가[편집]


사실 러키스타는 쿄애니 작품치고 굉장히 실험적인 작품이다. 정말 쿄애니의 다른 작품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던 요소들이 가득 들어있다. 나루미 유이가 폭주하는 운전장면에서는 이니셜 D를 방불케 하는 3D 레이싱 장면이 나오질 않나,[13] 갑자기 죠죠 풍의 기묘한 그림체가 등장하질 않나… 케이온 이후의 쿄애니 작품들을 주로 접했던 쿄애니 팬들이라면 '쿄애니가 이런 약 빤 연출을?' 하며 놀랄 만한 연출과 장면들이 가득하다. 그 가운데에서도 OVA가 특히 독보적인데, 화면이 아예 3D공간에서 진행되거나 샤프트 작품에서나 볼법한 글자화면 호러 연출이 등장하는 등 굉장히 변화무쌍한 연출을 보여줬다.


7.1. 원작과의 충돌[편집]


사실 원작의 경우 사실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믹스 상품 판매 때문에 내용 전개에 상당히 제한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고교 3학년 시기에 '편집부의 방침으로 인해 시간의 진행을 최소화한다'란 발표가 난데서 이것의 단편을 볼 수 있다. 실제로 보면 거의 리얼타임 전개를 해서 캐릭터들이 빠르게 진급하고 빠르게 시간이 가던 원작이 이상하게 3학년 겨울을 몇년씩이나 끄는 등 상당히 부자연스러운 연재를 보이다가 결국 오리지널 캐릭터 설정에서 충돌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쪽 마케팅이 줄어든 후에는 주4인방 캐릭터들과 친구들이 고교를 졸업해 각자의 대학에 진학하고 후배들이 진급하는등 시간이 다시 흘러가고, 설정충돌이라고 해봐야 아키라를 제외하면 크게 문제없는 수준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케이온처럼 원작이 애니 설정을 채용하는 작품들에 비해 원작 만화와 애니메이션 간의 트러블이 다소 있다 보니 팬들 사이에선 '원작파' '애니메이션파' 식으로 약간의 대립이 보이기도 한다. 특히 애니메이션에서 묘하게 풍기는 코나타와 카가미 사이의 백합틱한 분위기[14]나, 갑자기 사악한 캐릭터로 변모한 코가미 아키라[15] 등을 인정하지 못하는 팬들이 많아 2ch 등에서는 이에 대해서는 아예 따로 스레드를 세워놓고 엄격하게 구분하기도 한다.

성우진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는데 애니메이션화되면서 드라마 CD/모에드릴 시리즈의 성우진이 아니자와 메이토세키 토모카즈 등을 제외하면 어른의 사정으로 전부 갈렸기 때문에 이런 이유로 애니메이션에 반감을 갖는 원작 팬들도 존재한다. 사실 이는 드라마 CD가 나온 이후 애니메이션이 나올 때 으레 벌어지는 현상이지만 첫 드라마 CD/모에드릴 시리즈에서 기용된 초대 성우들은 잡지에서 원작을 읽던 원작 팬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 성우들이어서 더더욱 반감이 심했다.


8. 미디어 믹스[편집]


2008년 8월에는 TVA로 친숙한 신규 성우진이 참여한 새 드라마 CD가 발매되었으며, 다음 달인 2008년 9월에는 OVA '러키스타 오리지널인 비주얼이랑 애니메이션'(일종의 말장난임)이 발매. 과연 쿄애니라 할 만한 수려한 작화 퀄리티와 삼삼한 단편 에피소드들로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엔딩의 실사 러키☆채널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지금까지 나온 OVA는 1편 이후로 없다.

2009년 12월 23일에는 PSP용 신작 게임이 발매되었다. 제목은 러키☆스타 넷 아이돌 마이스터로, 제목 그대로 이 만화의 캐릭터들을 인터넷 아이돌로 육성하는 게임. 모 게임을 대놓고 패러디하고 있다. 단 작품의 붐이 많이 사그라든 상황에서 발매된데다가 발매 전 정보들이 팬들에게 불안만 안겨준 감이 없지 않아 반응은 크지 않은 편. 발매 후에는 불친절한 설계와 너무 높은 난이도에 대한 불만이 곳곳에서 터지고 말았다.

그 후로도 NDS용 두번째 게임이 발매되고 PS2용 게임도 발매되어 다수의 모에 오덕계층에 지지를 받았다. PS2판은 원작이나 애니와는 그림체가 꽤 위화감이 있는 미연시로, 한정판을 구입하면 작중 캐릭터가 입고 있는 교복을 특전으로 준다. '아무리 그래도 교복은 좀…'같은 이유인지 알 수는 없지만 시간이 지나자 한정판이 통상판보다 더 가격이 떨어졌다.

중간중간 원작자가 아닌 다른 작가 타케이 토우카[16]에 의해 쓰여진 '러키☆스타 살인사건'이나 '러키☆스타 온라인' '러키☆스타 슈퍼 동화대전' 등의 소설 3연작도 나왔으나, 대부분 큰 반향은 일으키지 못했고 원작과는 한 백만년쯤 동떨어진 아스트랄한 내용에 중간중간 작가의 타작품 광고가 나오는 등 이상한 면이 많아 평은 좋지 못했다. 이후엔 애니메이션의 각본가에 의해 쓰여진, 위의 3연작과는 달리 원작과 비슷한 분위기의 '러키☆스타 느긋느긋 데이즈'가 발매되었다.

2010년에 들어 콤프틱에서 훗날 '중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게재되어 혹시 애니메이션 2기의 발표가 아닌가 하는 말도 있었으나 콤프에이스 2010년 5월호에서 실제로 발표된 것의 실체는 시라이시 미노루가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TV 버라이어티 쇼 '러키☆레이서'가 4월 2일부터 방송된다는 것. 시라이시 미노루 본인이 성우나 애니메이션 스탭과 레이싱을 벌이는 실사 쇼. 주제에 전용 OP와 ED까지 있다.(…) 이것 자체가 애니메이션 2기를 위한 포석은 아닌가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지만 현재까지 그런 건 없다. 러키 스타는 대표적인 카도카와x쿄애니 조합 애니메이션이었는데, 2011년 일상을 끝으로 교토 애니메이션는 카도카와에서 독립해 자기 노선을 가는 중이고, 원작 동력 자체가 떨어져버린지라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보다도 후속작 나오기 힘든 상황이다.

그리고 엔딩 패러디 중에 현재 버라이어티 쇼 등에서 활약중인 곡쇼 사유리가 아이돌 시절 그룹 오냥코 클럽 때 불렀던 발렌타인 키스가 나와 그 곡이 재조명을 받게 되자, 곡쇼 사유리가 2009년 버젼 발렌타인 키스 싱글을 발매하게 된 흠좀무한 일도 있었다. 거의 25년전 곡이 재조명 된 것은 딴 이유도 없이 단순히 이 작품 때문. 덕분에 곡쇼 사유리는 17년 만에 싱글을 발매했다.

콤프티크 2010년 11월호 특전 부록 중 하나는 다름아닌 스트라이크 위치스 콜라보레이션판 8권 커버 (코나타가 프란체스카 루키니+스쿨미즈, 카가미가 게르트루트 바르크호른, 츠카사가 에리카 하르트만). 10권도 콜라보 표지가 나왔는데 이쪽은 함대 콜렉션.#(코나타가 시마카제,나머지 3인은 연장포쨩.)

블루레이 컴플리트 박스셋이 2011년 5월 27일 발매되었다.

애니컬이 제작된 적이 있었던 듯하다.


9. 2차 창작[편집]


  • 아래 영상은 러키☆스타 OP "もってけ!セーラーふく"(가져가! 세일러복)의 실사 패러디. 안구테러 주의

  • 니코동에서 인기가 많아서 이런 식으로 패러디가 많이 이루어지곤 한다. 원곡은 칠색의 니코니코동화 다행히 240P의 화질 덕분에 얼굴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봐도 괜찮다.


10. 행사[편집]



10.1. 러키스타 in 무도관 널 위해서니까[편집]


2009년 3월 29일 펼쳐졌던 라이브 이벤트. 부제대로 무도관에서 열렸다. 주요 출연진을 비롯해 소지로 역의 히라마츠 히로카즈, 카나타 역의 시마모토 스미 등 조연들도 총출동했으나… 미유키 역의 엔도 아야는 스케줄때문에 출연하지 못했다. (비디오로만 등장) 사회는 시라이시 미노루콘노 히로미가 담당하였으며 실제로 홍백가합전처럼 홍팀과 백팀으로 나뉘어서 실시하였다.

홍백가합전이란 컨셉으로, 1부 라이브 2부 토크쇼 3부 라이브라는 구성이었다. 토크쇼 때는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케로로 중사와 케로로 중사의 성우인 와타나베 쿠미코, 극장판의 감독이 나와 영화를 홍보하기도 했으며, 작중 남녀 엑스트라 역할을 죄다 소화한 타치키 후미히코쿠지라도 등장해 현장분위기를 유쾌하게 풀어놓았다. 그리고 2부의 압권은 스기타 토모카즈오노 다이스케, 고토 유코였는데.. 특히 스기타는 절친이 연기한 모 캐릭터가 연상되는 가면을 쓰고 나와 대사 패러디와 시모네타가 섞인 개드립을 마구 늘어놓았다. 결국 셋은 연기나 작품에 대한 얘기는 하나도 없이 다른 소리만 하다 퇴장했다.

이 세 사람이 빠져나가고 끝인 줄 알고 안도를 하던 순간 세키 토모카즈의 난입과 무도관에서의 시모네타 드립을 성대하게 치루고서야 끝이났다.

3부 라이브 때는 럭키스타 캐릭터송들을 연달아 부른 '조곡 러키스타'와 함께 오프닝곡 '가져가! 세라복'의 댄스를 출연진들이 직접 선보이며 피날레를 맞이했다.참고로 1부 라이브때 미즈하라 카오루 곡 사이에 치하라 미노리 곡이 있어서 그걸 감안해서 미즈하라,치하라 두 사람이 식령제로의 네타를 쓰기도 했고 이러한 네타에 사회자역의 시라이시도 약한 식령제로 네타를 치기도 했다.

무도관 라이브에서의 가져가! 세라복 장면.
미유키 역의 성우인 엔도 아야가 없어서 9명이란 점과 장소가 학교가 아닌 무도관이란 점만 빼고 원작을 충실히 재현하였다.

타카라 미유키 역의 엔도 아야뿐만 아니라 나루미 유이역의 니시하라 사오리도 상태가 안 좋았는지 나오지 못해서, 마지막의 앵콜곡으로 조곡 러키☆스타 동화가 불러질때, 이런 팻말이 올라왔다.

この歌の方はお休みDE@TH。
이 노래 부르는 분은 휴식중DE@TH.

ゆい姉さんの走りをご覧下さい。
유이 언니의 질주를 지켜봐주세요.[17]

みゆきさんはお休み
미유키 언니는 휴식중.[18]

[19]



10.2. 사이타마현 관련 행사[편집]


사이타마현 공식 한국어 관광 안내 사이트

TVA 방영 후 카가미와 츠카사의 성우가 사이타마[20]의 특별 주민표를 받는등(설정상 무대가 사이타마 현,[21] 그 동네가 오덕들의 성지가 됨으로 관광이 활성화되며 주민들도 사람들이 많이 오는게 좋다며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기공룡 둘리 이후 만화 캐릭터가 주민증을 받는건 처음 본다며 경악했다는 설도 있다. 오프닝에 나오는 사이타마현의 와시노미야 신사에서 팬 미팅 이벤트를 하기도 했다(무녀복을 입고서).) 2008년 정월에는 이 신사에 약 30만명이 순례(…)를 다녀갔다고 한다.

이는 사실 애니의 배경이 된 동네가 심각하게(…) 조용한 동네이기 때문에 애니의 힘을 빌어서라도 마을경제를 다시 활성화 시켜보자는 의도가 들어가 있는 것이다. 사실 사이타마 현은 이전에도 아톰, 짱구는 못말려의 노하라 가족 등에게 주민표를 준 적이 있다. 그 외의 지역에서도 만화 캐릭터를 유치하거나 기념하는 경우 (특히 그 만화 작가의 고향에서)는 상당히 자주 있다. 새삼 놀랄 일은 아니다. 결국 애니메이션의 무대인 사이타마현 삿테시는 2008년 5월까지 작년 대비 36%의 경제성장(세금 기준)을 거두었다고 한다.

현재 사이타마현은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현내 학교 교복을 본 애니메이션의 교복으로 채택하자는 워키모이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기사까지 났다. 실제로 대한민국전주시 모 중학교가 러키☆스타와 비슷한 붉은색 교복과 파란색 교복을 하복으로 쓰던 적이 있었으나, 너무나도 튀는 색상 때문에 평판이 좋지 못해서 오래가지 못하고 도로 무난한 디자인으로 바꾼것을 생각하면….

그리고 2009년 11월 24일에는 위에 나온 사이타마현 삿테시가 공식으로 이즈미 일가 4명을 정식 주민으로 인정했고, 2009년 설날부터 원작자 요시미즈 카가미가 그린 특별 주민표를 300엔에 판매한다고 선언했다. 링크 [22]단 문제의 특별주민표는 요시미즈 카가미의 스케쥴 문제 때문인지는 몰라도 실제로 나왔을 땐 애니메이션판의 캐릭터 디자이너 호리구치 유키코의 그림으로 변경되어 나왔기 때문에 기대하던 팬들의 비난을 사기도 했다. 지역 야구팀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 콜라보를 진행중이다.

하지만 2010년도 이후 러키스타 붐이 식어 지역행사 자체가 침체되었고 성지순례에 회의적인 반응을 다룬 취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2013년 사이타마현의 와시노미야 축제가 종료되고, 2014년부턴 쿠키시 축제로 이름이 변경된다고 한다.

2022년 12월 23일 히이라키 츠카사의 등신대상이 세워졌다.


11. 기타[편집]


  • BD & DVD 판매량은 약 29,000장 정도. #

  • 러키☆스타의 관련음악들을 2024년 1월 31일(수) 부터 서브스크(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에 발매 예정. 같은 날 출시되는 오리지널 사운드트랙과 리믹스 앨범 제3탄도 동시에 배포 시작.

[1] 단, 강판당하고 바로 교토 애니메이션을 퇴사한 것은 아니었기에, 강판 이후에도 스탭롤에 야마모토 유타카의 이름을 볼 수 있었다.[2]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각본수정.[4] 정확히는 편집 시엔 3:2 비율(720X480)로 편집하고 송출할 때에는 4:3(640X480)로 송출하는 방식[5] 이 중 기로로 역의 시영준은 작중 엑스트라 남성 배역을 도맡았고, 타마마 역의 류점희코바야카와 유타카, 호시이 라미카의 성우도 담당했다. 아니자와 메이토를 담당한 강수진 또한 도로로의 성우를 담당했다.[6] 2010년 방영당시 엔딩도 장식했다.[7] 중독성과 알아듣기 힘든 점이 중요한 곡인데 이를 훌륭히 반영했다. 개사 센스로 인한 오글거림 추가는 덤이다.[8] 위 동영상 섬네일에서 보이듯이 부른 사람은 주연들의 성우인 정유미, 배정미, 하미경, 박소라이다.[9] 대표적으로 코나타의 '티모테' 드립은 '난 소중하니까', '맨덤' 드립은 '피부가 장난이 아닌데'로 대체되었다.[10] 다만 1화에서 코나타가 미유키에게 언급하는 '걸어다니는 모에 요소'는 '걸어다니는 매력 요소'로 수정되기도 했다.[11] 당시 본작과 클라나드를 제외한 교토 애니메이션 작품의 더빙은 대부분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이루어진데다, 애니맥스가 더빙 방영을 놓은 시점에서는 미라지 엔터테인먼트에서 더빙판을 발매하고 있다.[12] 애초에 데이트 어 라이브, 소드 아트 온라인, 트리니티 세븐같은 남성향으로 대표될만 한 작품들은 예나 지금이나 모두 애니플러스의 것이었으니, 대원방송은 남성향 미소녀물의 수입을 자제하고 있는 것 같다.[13] 이 장면의 삽입곡 Gravity는 실제 이니셜 D의 주제곡과 삽입곡 다수를 맡았던 m.o.v.e를 패러디한 곡으로 명의도 살짝 비튼 m.o.e.v로 되어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이 곡을 거꾸로 m.o.v.e가 커버앨범 anim.o.v.e.에서 커버한 것.[14] 원작 설정상으로 코나타는 현실에서의 백합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원작 팬들로선 납득할 수 없는 요소.[15] 얼마나 변모했냐 하면 원작과 애니판의 아키라를 각각 白/黑아키라라고 분리해서 취급할 정도로 완전히 다른사람이다.[16] 라이트노벨 그녀의 플래그가 꺾이면의 작가.[17] 이때 뒤로 실제 애니와 조곡 영상에서 사용된 장면이 나온다.[18] 덧붙여서 영상 도중에 누가 미유키의 코스프레를 하고 올라왔는데…[19] 덧붙여서 다 끝난 뒤의 자기소개에서 대역의 타카라 미노키(미노루+미유)입니다. 라고 한다.[20] 크레용 신짱의 실제 배경이기도 하다.[21] 이 장면은 러키스타 DVD 특전영상으로 들어있다.[22] 참고로, 이 자식의 대상이 되는 아마네 미사 성우와 코나타의 성우는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4:41:34에 나무위키 러키☆스타/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