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크림 운하

덤프버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d500><color=#005bbb>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호 · 국가(소련 시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 내무부
선거
대통령 선거 · 최고 라다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우크라이나 여권 · 대외관계 틀
국방
우크라이나군() · 육군 · 해군 · 해군 보병대 · 공군 · 공수군 · 특수작전군 · 국토방위군 · 국방부(정보국)
역사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갈리치아-볼히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코사크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러시아 제국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 소련(우크라이나 SSR · 우크라이나 대기근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 · 오렌지 혁명 · 유로마이단 혁명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 돈바스 전쟁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경제
경제 전반 ·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 로셴 · GSC Game World · 암스트리트
지리
행정구역 · 갈리치아 · 돈바스 · 부자크 · 붉은 숲 · 아조프해 · 초르노젬 · 카르파티아 산맥 · 크림반도 · 북 크림 운하 · 푸스타 · 흑해 · 남부크 강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드니프로강 · 부크 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프루트 강
사회
우체국· 대학 목록(키이우 공과대학교 · 키이우 대학교 · 하르키우 대학교) · 언론 목록(우크린포름 · 유로마이단 프레스 · 키이우 인디펜던트) · 우크라이나 마피아
언어
언어 전반 · 우크라이나어 · 키릴 문자 · 루신어 · 우룸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가가우즈어
교통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 키이우 지하철 · 하르키우 지하철 · 드니프로 지하철 ·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 안토노프 항공 · 보리스필 국제공항 ·줄리아니 국제공항 · 호스토멜 공항 · 헤르손 국제공항 · 르비우 국제공항 · 도네츠크 국제공항 · 루한스크 국제공항
문화
공휴일 · 요리(보르시 · 샤슐릭 · 치킨 키이우 · 크바스) · 축구 국가대표팀(여자) · 농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프리미어 리그 · 퍼스트 리그 · 우크라이나컵 · 우크라이나 정교회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반두라 · 오, 난 알아요, 내게 죄가 있다는 것을 · 우리는 위대한 순간에 태어났다 · 종들의 캐럴 · 타라스 셰우첸코 · 1+1 · 국민의 일꾼 · Natus Vincere · 호팍
민족
우크라이나인 · 루신인 · 헝가리계 · 폴란드계 · 러시아계 · 불가리아계 · 한국계 · 루마니아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디아스포라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 우크라이나계 폴란드인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 우크라이나계 영국인 · 우크라이나계 멕시코인
#!end|| ||우크라이나 소련의 적통설 ||
}}}}}} ||}}}


North Crimean Canal
Північнокримський канал
파일:북크림운하.jpg

1. 개요
2. 운하를 둘러싼 분쟁



1. 개요[편집]


크림 반도에 물을 공급하는 운하이다. 드니프로 강의 물을 끌어다 크림 반도에 공급하는, 전체 길이 402.6km의 운하(이중에 크림반도 부분은 294km)다. 유럽에서 가장 긴 인공수로로, 크림 반도에 필요한 의 85%정도를 공급한다. 공급 수량의 대부분은 농업, 산업용수로 쓰이고 식수로는 대략 20% 정도가 소비된다. 북 크림 운하를 통해 우크라이나 본토에서 공급되는 물이 크림반도 생존에 필수적이다보니 니키타 흐루쇼프 시기 크림반도는 러시아인 비중이 상당히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관되었다.

1950년에 운하의 건설 계획이 확정되었고, 1957년 건설을 시작했다. 그 사이인 1954년, 크림반도는 러시아의 행정 구역에서,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으로 소속이 변경된다.[1] 이후 1단계 공사는 1963년에 완료되었고 2단계 공사는 1986년에 완공되었다.


2. 운하를 둘러싼 분쟁[편집]


소련 붕괴우크라이나가 독립한 이후 크림반도는 흐루쇼프 시기 영토 조정을 그대로 따라 우크라이나 영토가 되었다.[2] 이후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해 우크라이나가 운하를 차단하고 크림반도로 물 공급을 중지시켰다. 이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 연방군이 운하가 이어진 헤르손주 지역 상당수를 장악하며 물 공급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동년 11월 11일 러시아가 헤르손시에서 전면적으로 철수하면서, 운하를 열고 닫는 수도꼭지에 해당하는 노바야 카홉카가 최전선이 되었다. 상승세를 타고 있는 우크라이나군드니프로강을 건너 이곳을 점령하면 운하를 통한 크림반도 물 공급은 다시 중단될 것으로 보이지만, 강 건너편에 방어군이 존재하는 큰 강을 도하해 공격하는 것은 6.25 전쟁낙동강 전선이 그랬듯 상당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양측 모두에게 노바야 카홉카가 중요한 격전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3.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편집]


북 크림 운하의 물은 노바 카호우카 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에서 끌어다 쓰는데,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때문에 드니프로강의 수위가 낮아지는 바람에 물의 유입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05:23에 나무위키 북 크림 운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해체 이후에 독립 국가가 된, 우크라이나러시아 사이의 기나긴 갈등의 씨앗이 된다.[2] 독립 당시 크림반도가 러시아인 다수 지역에 가깝지만 러시아령으로 환원할 시 우크라이나의 해상 진출권이 큰 폭으로 제한받다 보니 영토 귀속에 논란이 있었으나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받되 러시아 흑해함대가 해외 주둔 형식으로 세바스토폴에 그대로 남는 것으로 타협을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