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정치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영암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영암군·무안군·신안군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신안군 CI.svg 전라남도 신안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영암군·무안군·신안군신안군 전역 + 영암군, 무안군 전역
도의원신안군1지도읍, 압해읍, 증도면, 임자면, 자은면, 암태면
신안군2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신의면, 장산면, 안좌면, 팔금면

2. 개요[편집]


신안군김대중의 고향이자 김대중의 동향 출신 최측근인 한화갑이 4선에 성공한 지역이다. 그러나 인구가 적기 때문에 단독 선거구를 구성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목포시무안군과 같은 상대적으로 인구도 많고 생활권도 동일한 시군과 함께 선거구를 구성하다 보니 해당 지역들의 분위기에 끌려가는 편이다. 선거구는 8, 13, 14대 국회 때는 단독 선거구였고, 9 - 12대 국회 때는 목포·무안·신안(단, 신안군은 3선거구)으로 합구되었고, 15대 국회 때는 목포와 합구되어 동네 전역이 목포시·신안군 을 선거구에 속하게 되었다.[1] 16대 국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무안군과 합구되어 무안군·신안군 선거구가 되었으며, 20대 국회부터는 영암군과도 공동 선거구를 구성하고 있다.

대체적으로는 김대중의 고향+전라남도+농촌의 조합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전남 내에서도 가장 강한 지역 중 한 곳이다.

또한 전국에서 개신교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기도 한데[2], 그래서인지 기독교 우파 정당 득표율이 의외로 나오기도 한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기독사랑실천당12.28%를 득표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기독자유당8.53%를 득표해서 두 번 다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 지역의 이윤석 전 의원이 기독자유당에 입당하기도 하였다. 전통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 강세 지역이었으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비록 낙선하긴 했지만 이 지역 출신의 새누리당 주영순 후보가 26.6%를 득표하기도 하였는데, 호남에서는 순천시전주시 을에 이어서 3번째로 높은 수치. 정당 투표에서는 새누리당 득표율이 11.31%로 호남 1위를 기록하였다. 비금면과 신의면, 장산면에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1위를 하기도 하였고, 새누리당 주영순 후보의 출신지인 장산면의 경우 정당 득표율에서도 새누리당이 더불어민주당을 앞섰다.

기초자치단체장인 신안군수의 경우 모두 민주당계 소속 인물들이 당선되었으며 초대 군수를 제외하고 전부 재임 중·후로 형사 처벌을 받았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임자면 제3투표소(재원도)에서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이 무려 100%를 기록했다.[3]

8회 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우량 후보가 당선되며 부산 기장군과 함께 4선 군수를 배출한 지역이 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신안군
13대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박형오초선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한화갑초선
목포시·신안군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한화갑재선
무안군·신안군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한화갑3선
17대4선[4]
2007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홍업초선
18대
[[무소속|
무소속
]]
이윤석초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재선
영암군·무안군·신안군
20대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박준영초선[5]
2018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삼석초선
21대재선

전라남도 신안군수
1기(95~98)2기(98~02)3기(02~06)4기(06~10)5기(10~14)6기(14~18)7기(18~22)8기(22~26)
손장조/초선
민주당
최공인/초선
새정치국민회의
고길호/초선
새천년민주당
고길호/재선[6]
무소속
박우량/재선[7]
무소속
고길호/재선
무소속
박우량/3선
무소속
박우량/4선
더불어민주당
박우량/초선[8]
무소속
-[9]
파일:신안군 CI.svg 역대 신안군수 선거 결과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손장조 53.16%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정주 46.83%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최공인 100.00%[1]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고길호 37.47%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상진 19.61%
3위:
[[무소속|
무소속
]]
양회영 17.69%
4위:
[[무소속|
무소속
]]
강성길 17.11%
2006년1위:
[[무소속|
무소속
]]
고길호 53.11%

2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청수 39.30%
2006년1위:
[[무소속|
무소속
]]
박우량 38.83%

2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최영수 27.83%
3위:
[[무소속|
무소속
]]
이춘식 15.82%
4위:
[[무소속|
무소속
]]
강성만 11.38%
2010년1위:
[[무소속|
무소속
]]
박우량 51.43%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강성종 43.57%
2014년1위:
[[무소속|
무소속
]]
고길호 45.16%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승규 38.18%
3위:
[[무소속|
무소속
]]
남상창 16.64%
2018년1위:
[[무소속|
무소속
]]
박우량 30.72%

2위:
[[무소속|
무소속
]]
고길호 28.58%
3위: 천경배 14.44%
4위: 정연선 13.17%
5위: 임흥빈 13.07%
2022년1위: 박우량 69.18%
2위: 고봉기 30.81%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1] 목포시는 충무동+산정3동(현재의 유달동의 일부 및 산정동 일부).[2] 물론 호남 지역이 전반적으로 개신교의 세력이 강한 지역이긴 하지만, 그 중에서도 신안군은 월등하게 강세다. 다소 오래된 자료긴 하나, 2003년 기준 35.0%가 개신교 신자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종교인 중에서만 따지면 거진 70%에 가깝다.[3] 양당제 국가의 각 정당 텃밭 지역의 골수 지역 투표소에서도 거의 나오지 않는 매우 이례적인 수치다. 군소 후보에게 단 1표도 가지 않고 순수한 100% 득표를 이뤄냈다. 전국 투표소 기준으로도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 1위 지역이며, 2위 지역도 인근 권역의 투표소였다. 임자면 제2, 제3투표소를 합친 120명의 투표자 중 119명이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했다. 두 투표소에서의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98.73%, 100%을 기록했다.[4] 2006.12.22. 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5] 2018.2.8.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6] 2006.6.30. 군수직 상실(선거법 위반), 엄밀히 따지면 취임 전이라 군수직에도 오르기 전이다.[7] 2014.5.19. 군수직 상실(주소지 이전),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선출된 상황에서 사퇴하면서 주소지를 이전하였다.[8] 2006.10.25. 재보궐선거.[9] 잔여 기간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신안군 개표 결과
전라남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영록이정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9,926
(80.31%)
3,633
(14.64%)
+ 16,293
(△65.67)
74.94%
신안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무소속
]]
격차투표율
후보박우량고봉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349
(69.18%)
7,726
(30.81%)
+ 9,623
(△38.37)
74.94%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50938349,531128
득표율6.54%0.71%92.43%0.23%
순위2위3위1위4위
선거인 수62,383
투표 수54,998
무효표 수1,415
투표율88.16%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1,29137,34568198
득표율3.23%93.67%1.70%0.24%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50,159
투표 수40,464
무효표 수597
투표율80.67%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93633,095304
득표율2.69%95.34%0.8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2,672
투표 수35,575
무효표 수865
투표율83.37%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김길수
득표수1,25326,901295
득표율4.35%93.50%1.02%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0,626
투표 수29,397
무효표 수627
투표율72.36%

신안군에서는 호국당김길수 후보가 권영길 후보를 제치고 3위를 차지했다(...)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이인제문국현이회창
득표수19,1732,025626510685
득표율81.51%8.60%2.66%2.16%2.91%
순위1위2위4위5위3위
선거인 수39,604
투표 수23,807
무효표 수286
투표율60.11%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2,95023,345
득표율11.06%87.5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8,661
투표 수26,961
무효표 수295
투표율69.74%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신안]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4,37071312,000459890
득표율49.98%2.48%41.74%1.59%3.09%
순위1위4위2위5위3위
선거인 수38,305
투표 수28,950
무효표 수203
투표율75.58%

19대 대선 전남 신안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370
(49.98%)
713
(2.48%)
12,000
(41.74%)
459
(1.59%)
890
(3.09%)
+2,370
(△8.24)
75.58%
지도읍48.05%3.20%44.58%1.18%1.91%△3.47[10]70.31
압해읍46.08%2.30%47.54%1.23%1.85%▼1.46[11]71.10
증도면48.72%2.29%45.15%1.01%2.38%△3.57[12]75.68
임자면53.03%2.32%40.50%0.95%1.60%△12.5368.39
자은면49.19%3.25%42.22%1.08%3.10%△6.9771.17
비금면49.80%1.67%44.43%1.37%1.82%△5.3771.60
도초면47.81%2.39%45.09%1.33%1.99%△2.72[13]71.03
흑산면55.0%2.67%36.10%1.63%2.38%18.9061.78
하의면41.55%1.87%51.40%1.04%2.28%9.8570.67
신의면45.96%2.73%43.48%2.11%4.10%△2.48[14]68.46
장산면43.69%3.18%48.41%0.76%2.96%▼4.7272.34
안좌면44.22%2.45%48.72%0.82%2.63%▼4.5071.48
팔금면47.22%1.96%45.59%1.14%2.29%△1.63[15]72.10
암태면46.39%1.65%46.56%1.13%3.05%▼0.17[16]73.17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8.84%2.33%45.58%0.93%1.40%△3.26[17]
관외사전투표56.24%2.60%32.05%2.87%5.64%△24.19
재외투표69.51%1.22%15.85%2.44%10.98%58.53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남 신안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25,583
(88.35%)
2,742
(9.46%)
22,841
(▲78.89)
지도읍
90.08%8.37%▲81.71
압해읍
90.05%8.27%▲81.78
증도면
89.93%7.71%▲82.22
임자면
89.06%9.11%▲79.95
자은면
89.17%8.49%▲80.68
비금면
88.57%9.07%▲79.50
도초면
89.23%8.59%▲80.64
흑산면
88.59%8.36%▲80.23
하의면
88.28%8.59%▲79.69
신의면
88.37%8.22%▲80.15
장산면
87.17%9.39%▲77.78
안좌면
86.65%11.53%▲75.12
팔금면
87.44%9.80%▲77.64
암태면
90.21%7.74%▲82.47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87.31%9.14%▲78.17
관외사전투표
86.20%11.72%▲74.48
국외부재자투표
93.33%4.44%▲88.89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영암군·무안군·신안군[18][A][19]87.80%9.87%▲77.93

3.3. 총선[편집]



3.3.1. 신안군[편집]



3.3.2. 목포시·신안군 을[편집]



3.3.3. 무안군·신안군[편집]



3.3.4. 영암군·무안군·신안군[편집]


21대 총선 신안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삼석이윤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8,748
(78.22%)
4,419
(18.43%)
+ 14,329
(△59.79)
24,580
(66.94%)
지도읍77.22%19.47%△57.7461.38%
압해읍80.06%16.45%△63.6261.55%
증도면72.50%25.93%△46.5663.45%
임자면79.42%17.75%△61.6757.54%
자은면80.53%16.02%△64.5163.32%
비금면78.57%19.03%△59.5563.69%
도초면78.94%18.26%△60.6765.37%
흑산면81.71%15.04%△66.6756.80%
하의면82.47%14.82%△67.6563.89%
신의면83.42%13.56%△69.8662.60%
장산면72.68%22.99%△49.6966.01%
안좌면70.81%25.64%△45.1761.14%
팔금면71.79%26.12%△45.6769.16%
암태면75.84%21.70%△54.1367.37%
후보서삼석이윤석격차
거소·선상투표66.96%23.66%△43.30
관외사전투표78.58%15.55%△63.03
재외투표90.00%0%[20]△80.0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869
(3.77%)
14,661
(63.70%)
1,973
(8.57%)
598
(2.59%)
1,259
(5.47%)
+ 12,578
(△54.66)
24,590
(66.91%)
지도읍3.89%67.41%6.09%2.01%5.19%△59.0161.38%
압해읍3.60%65.28%9.77%2.15%4.56%△55.5161.57%
증도면3.50%72.86%4.92%1.42%3.61%△64.5563.58%
임자면2.39%65.59%7.19%2.62%4.72%△56.9757.50%
자은면3.77%67.60%8.25%1.75%4.30%△59.1763.32%
비금면2.90%68.40%6.59%2.13%3.91%△59.2663.69%
도초면3.84%67.04%6.48%2.79%5.20%△58.6065.41%
흑산면3.89%64.95%9.04%2.83%4.68%△55.9156.80%
하의면3.89%66.91%6.08%2.55%4.98%△58.5263.89%
신의면3.17%64.01%8.81%3.46%4.76%△54.6262.60%
장산면4.59%61.36%7.75%2.49%4.33%△52.4366.01%
안좌면4.08%58.99%10.82%3.51%3.58%△48.1761.14%
팔금면3.48%64.03%7.88%1.65%4.22%△53.2169.16%
암태면3.78%63.23%9.31%2.23%3.68%△52.4767.37%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2.38%50.00%5.23%3.80%5.71%△33.81
관외사전투표4.53%55.79%11.46%3.47%9.71%△45.96
재외투표5.26%47.36%10.52%0%21.05%△26.32
[신안] [10] 불과 91표 차이였다.[11] 불과 52표 차이였다.[12] 불과 39표 차이였다.[13] 불과 41표 차이였다.[14]20표 차이였다.[15]10표 차이였다.[16]2표 차이였다.[17]7표 차이였다.[18] 영암군 일원,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19] 지역구 국회의원 :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재선).[20]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이인호 후보(1표, 10.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