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순(조선)

덤프버전 : r


>
조선 영의정
연산군 ~ 선조
[ 펼치기 · 접기 ]
제44대}}}
노사신
제45대}}}
신승선
제46대}}}
한치형
제47대}}}
성준
제48대}}}
유순
제49대}}}
유순
제50대}}}
박원종
제51대}}}
김수동
제52대}}}
류순정
제53대}}}
성희안
제54대}}}
송질
제55대}}}
유순
제56대}}}
정광필
제57대}}}
김전
제58대}}}
남곤
제59대}}}
정광필
제60대}}}
장순손
제61대}}}
한효원
제62대}}}
김근사
제63대}}}
윤은보

제64대}}}
홍언필
제65대}}}
윤인경

제66대}}}
홍언필
제67대}}}
이기
제68대}}}
심연원
제69대}}}
상진
제70대}}}
윤원형

제71대}}}
이준경
제72대}}}
권철
제73대}}}
이탁
제74대}}}
홍섬
제75대}}}
권철
제76대}}}
홍섬
제77대}}}
권철
제78대}}}
홍섬
제79대}}}
박순
제80대}}}
노수신
제81대}}}
유전
제82대}}}
이산해
제83대}}}
류성룡
제84대}}}
최흥원
제85대}}}
류성룡
제86대}}}
이원익
제87대}}}
윤두수
제88대}}}
이원익
제89대}}}
이산해
제90대}}}
이항복
제91대}}}
이덕형
제92대}}}
이항복
제93대}}}
윤승훈
제94대}}}
유영경



유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연산군 ~ 선조
[ 좌의정 ]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역대 정승
(태조-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종-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역대 정승
(태조-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종-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506년 중종에 의해 책록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
박원종홍경주유자광1유순정
장정박영문2성희안신윤무2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이효성3최한홍유 순3이 계3
이 활3심순경윤형로김수동3
이계남3변 수조계상김 감3
구수영3
병충분의정국공신
고수겸류세웅이 심민회창
구현휘신 준3정미수3강 혼3
유 경3김경의윤양로3심 형
류계종이 식허 광3백수장
김우증박 건3한 순3김수경3
이 함황 탄윤사정민희발
장 온3이극정이석번3송 질
이 손3정윤겸심정
분의정국공신
박이검윤 형3이종의3한사문3
윤 탄3조세훈3박영창이 창3
박영분변 준3신윤문민효증3
이성언3이 상이맹우3김 임3
최유정3이희옹변사겸3홍경림3
김극성3이 당3유 홍3이성동3
조계은3장한공3유승건1한숙창3
강 지성몽정3윤희평3성 율3
이 기3박이온3손 동윤 장
유 영3유응룡3이세응3신수린3
윤금손3김 선3신은윤3이 곤3
성희옹3윤여필3황맹헌3허 광
한세창3조원륜3강윤희3조계형
문 치3채 수3서경생3김계공3
김 은3김 무3권 균3김 준3
반우형3김숙손3우 정3임원산3
송 일3
1 유배로 인한 삭훈
2 옥사로 인한 삭훈
3 조광조 등의 건의로 삭훈되었다가 복구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난공신
[ 펼치기 · 접기 ]
1507년 9월 6일 중종에 의해 책록
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 (1등)
노영손1류 순2류순정2박원종2
윤탕로2
추성보사정난공신 (2등)
민효증2박인손2이계남2이유청2
홍경주2
추성정난공신 (3등)
강 홍2권희맹2김세준2김양언2
김 은2설맹손2성 윤2신영홍2
안 당2이계복2홍 숙2황맹헌2
1 1517년 8월 20일 대간들의 탄핵으로 인한 제명
2 1517년 3월 24일 노영손을 제외한 모두를 정난공신에서 제명




조선 영의정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문희공(文僖公)
유순
柳洵
출생1441년(세종 23)
사망1517년(중종 12)
재임기간제48대 영의정
1504년 5월 26일 - 1509년 11월 9일
(음력 연산군 10년 윤4월 13일 - 중종 4년 윤9월 27일)
제54대 영의정
1514년 10월 18일 - 1516년 5월 10일
(음력 중종 9년 10월 1일 - 중종 11년 4월 9일)
봉호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시호문희(文僖)
본관문화 류씨
희명(希明)
노포당(老圃堂)
부모부친 - 유사공(柳思恭)
모친 - 남양 홍씨 홍상직(洪尙直)의 딸
부인나주 정씨 정윤희(丁胤禧)의 딸
홍일민(洪逸民)의 딸
자녀장남 - 유응룡(柳應龍) 정씨 소생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 전기~중기의 문관, 문장가.


2. 생애[편집]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 유만수(柳曼殊)[1]의 아들인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유원지(柳原之)의 증손자이자,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 유종(柳淙)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세마(洗馬) 유사공(柳思恭), 어머니는 종성절제사(鍾城節制使) 홍상직(洪尙直)의 딸이다.[2]

조선 전기 문화의 전성기였던 세종대왕 치세에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시문에 재능을 보였다. 어린 시절에 금릉사(金陵詞)라는 글을 지었는데, 문체가 아름답고 의미가 장중하여 세상에 화제가 되었다.

1459년(세조 5년) 사마시에 장원급제한 것을 시작으로, 3년 뒤인 1462년(세조 8년)에는 식년 문과에 정과(丁科)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들어갔다. 1466년(세조 12년) 문과 중시에 다시 급제하고, 이어서 같은 해에 열린 발영시(拔英試)에서도 급제를 했다.[3] 이렇게 7년동안 네번의 과거 급제를 한 끝에 이조 정랑에 올랐다.

1470년(성종 1년) 홍문관 부제학에 올라 경연 시강관으로 활약했는데, 그 유려한 문체로 성종으로부터 큰 총애를 받았다. 1484년(성종 15년) 공조참판을 거쳐 대사헌에 올랐으며, 관기 확립에 힘을 쏟았다. 이후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형조 참판이 되었다. 1487년(성종 18년) 명나라에 천추사로 다녀온 뒤 다시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고, 형조참판과 공조참판을 또다시 지낸 뒤 병조참판을 지내고[4] 또 한번 대사헌이 되었다.

대사헌을 지낸 뒤 개성부유수에 임명되었고 다시 개성유수로 승차되었으며, 이후 공조판서 자리에 오른다. 1494년 성종이 승하하자 왕릉과 산역을 담당하는 산릉도감제조가 되었다.

1495년(연산군 1년) 형조판서로 자리를 옮겼으며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겸임했다. 이후 이조판서·도총관을 거쳐 1498년(연산군 4년) 한성부판윤이 되었고, 이 해에 성종실록의 찬수 작업에 참여하였다. 이듬해인 1499년(연산군 5년)에 다시 형조판서가 되어, 압록강 연안에서 문제를 일으키던 야인에 대한 정벌 계획이 있자 신수근(愼守勤)[5]과 함께 때가 아님을 적극적으로 논해 중단시켰다.

그 뒤 좌참찬·호조 판서를 역임했으며, 1502년(연산군 8년)에는 시문에 능한 10인에 선발되어 시수상(詩首相)이라는 칭찬을 듣기도 하였다. 연산군의 폭정이 날로 심해지자 관직에서 물러나고자 했으나 허락되지 않은 채, 이듬해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1505년(연산군 11년)에 예순다섯의 나이로 영의정에 올랐다.

이듬해인 1506년(연산군 12년·중종 원년) 박원종(朴元宗)[6]·성희안(成希顔)·유순정(柳順汀) 등이 중종 반정을 단행하자, 정승으로서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에 녹훈되고,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을 봉작받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반정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차 사임을 요청했지만 번번히 허락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509년(중종 4년) 도리어 연산군 때의 총신이었다는 대간들의 탄핵을 받게 되자 관직을 극구 사양하고 마침내 은퇴하였다.

1514년(중종 9년) 다시 영의정을 제수받아 국정을 총괄하다가 3년 뒤인 1517년(중종 12년)에 77세로 죽었다. 자학(字學)에 매우 정밀하고 의학·지리학에도 조예가 있었다. 그러나 실록의 졸기에 따르면, 우유부단하고 나약하여 연산군이 묻는 일에 항상 윤당하다는 답변만 했다 하여 '윤당 재상'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붙었고, 반정 때에도 어쩔 줄 몰라하며 박원종이나 성희안이 왕이 되느냐고 물었다고도 한다.


3. 대중매체[편집]


  • 장녹수 - 이종만. 영의정에 제수 받는 장면에서 나레이션으로 무능한 인간이지만, 왕에게 아첨하는 것을 좋아해서 연산군이 영의정으로 발탁했다. 라고 대놓고 깐다.
    • 왕과 비 - 민지환[7]
  • 인수대비(JTBC) - 강영구[8]
[1] 1997년 대하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도 등장인물로 나온 적이 있다.[2] 유순의 외조부 홍상직은 그 유명한 도적 홍길동의 친부가 맞다.[3] 1466년의 이 두 과거에서 유순은 둘 다 3등으로 급제했다.[4] 유순은 유독 참판 벼슬과 인연이 깊은 편인데, 그가 지내지 않은 참판직은 예조와 이조 두 부서 뿐이다.[5] 진성대군의 장인. 진성대군은 곧 나중의 중종이다.[6] 연산군의 큰어머니 월산 대군 부인 박씨의 남동생이다.[7] 윤필용 전문 배우[8] KBS 한국사전에서 허균 역, 영화 방가방가에서 외국인노동자 노래자랑 사회자 등의 단역을 주로 맡고 있는 배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유순 문서의 r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유순 문서의 r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9 19:28:00에 나무위키 유순(조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