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양각죽절문 병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69호
청자 양각죽절문 병
靑磁 陽刻竹節文 甁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수량/면적
1개
지정연도
1974년 7월 9일
제작시기
고려시대(12세기)
파일:국보169호청자양각죽절문병.jpg

1. 개요
2. 상세
3. 외부 링크
4. 국보 제169호


1. 개요[편집]


靑磁 陽刻竹節文 甁.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고려청자 병이다. 청자 양각죽절문 병이라는 이름을 풀이하자면, 대나무와 대나무 마디 무늬를 양각으로 새긴 청자 병이란 뜻이다.

삼성 이병철 전 회장 소유였던 골동품 가운데 국보와 같은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대다수 유물들이 그러하듯, 청자 양각죽절문 병도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병은 보존상태가 훌륭하고 품격있는 디자인으로 고려청자의 명품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1974년 국보 제169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삼성 리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2. 상세[편집]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높이 33.8cm, 입지름 8.4cm, 밑지름 13.5cm 크기의 병형 청자로, 상당히 큰 크기의 병이며 몸체는 풍만하고 병목은 가늘고 길어서 전체적인 형상은 호리병 모양으로 부드러운 곡선이 살아있다. 병의 보존상태가 좋아 고려청자의 특징인 은은하고 맑은 비색이 전반적으로 잘 남아 있다.

파일:국보169호청자양각죽절문병대나무무늬.jpg

병목에서 몸체의 아래까지 길게 이어지는 대나무 무늬를 병의 표면에 가득 장식해 새겨놓았는데 이는 검소하고 정갈한 느낌을 줄 뿐더러 그 제작 수준도 대단히 높다. 표면에 표현된 대나무는 양각으로 새겼고, 대나무의 마디를 가느다란 두 줄의 음각선으로 표현해놨다. 각 대나무의 사이에 있는 틈에는 청자의 푸른 유약이 짙게 잘 도포되어 있어서 대나무 장식이 돋보이는 효과를 준다.[1]

또한 대나무의 표현 정도만 세심한 것이 아니라 시각적 디자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신경을 썼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병의 넓은 표면에 가득 대나무를 새겨놓았기에 좁아지는 병목 부분에서 이를 그대로 이어서 표현하면 복잡하고 어수선해 보일 것을 고려하여, 병목 부분에서 대나무 줄기 두 개를 한 개로 자연스럽게 합쳐놓았는데 그 솜씨가 아주 완숙하여 완성도가 높다는 평을 받는다.[2]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보존상태가 우수하며 장식된 대나무 무늬도 간결하지만 세련되어 미적인 아름다움이 나타나고 고려시대의 높은 청자 제작 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고려청자의 명품 중 하나로 평가되는 유물로, 그 가치를 인정 받아 1974년 7월 9일 국보 제169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169호[편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병으로 높이 33.8㎝, 입지름 8.4㎝, 밑지름 13.5㎝이다.

아가리는 나팔처럼 넓게 벌어졌고, 목은 길며 몸통 아랫부분은 풍만하다.

목에서 몸통 아랫 부분까지 대나무를 양각하였고, 대나무 마디는 두 줄의 음각선으로 표현하였다. 유약은 맑은 연녹색을 띠며 약간의 빙렬이 있다. 아가리에서 아랫 부분까지 부드럽고 유연하게 내려 온 아름다운 곡선이 운치가 있으며 몸통 아랫부분의 풍만함이 안정감을 주고 있다.

대나무를 모아 만든 형태로, 밑에서 위로 뻗은 대나무는 어깨부위를 지나며 두 줄기가 한 줄기로 합쳐져 매우 좁고 긴 목을 이룬다. 눈에 띄지 않지만 긴 목부분의 번잡함을 능숙하게 처리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23:00에 나무위키 청자 양각죽절문 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