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쿠쇼쿠대학

덤프버전 :


파일:도쿄도 문장_White.svg 도쿄도사립 대학

[ 펼치기 · 접기 ]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MARCH

아오야마가쿠인대학

릿쿄대학

주오대학

호세이대학



가쿠슈인대학
메이지가쿠인대학


4공대

시바우라공업대학

공학원대학

도쿄도시대학

도쿄전기대학

닛토코마센

니혼대학
토요대학

고마자와대학

센슈대학

대동아제국

도카이대학

아지아대학

테이쿄대학

고쿠시칸대학


그 외
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

니혼의과대학

준텐도대학

도쿄치과대학

도쿄약과대학

메이지약과대학

호시약과대학

도쿄농업대학

쓰다주쿠대학

세이신여자대학

시라유리여자대학

도쿄여자대학

타마미술대학

무사시노미술대학

여자미술대학

타쿠쇼쿠대학

릿쇼대학

다이쇼대학

쇼와대학

소카대학

오비린대학

기타사토대학

조선대학교*

교린대학

{{{-2 ※ 도쿄도에 사립 대학은 총 113곳이 있다. 현재 틀에 없고 나무위키에 문서로도 존재하지 않는 도쿄도의 사립 대학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고
※ 조선대학교는 문부과학성이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은 사립대학법상의 각종학교로 분류되는 사실상의 대학으로 간주된다.
※ 둘러보기: 일본의 사립 대학





拓殖大学(たくしょくだいがく
타쿠쇼쿠대학
Takushoku University
파일:external/www.takushoku-u.ac.jp/211_symbol_mark_img_4.gif
분류
사립대학
창립자
가쓰라 다로(桂太郎)
창립
1900년(메이지 33년) 대만협회학교
대학설립
1922년(다이쇼 11년) 동양협회대학
소재
분쿄(文京) 캠퍼스
- 도쿄도 분쿄구 코히나타(小日向) 3-4-14
하치오지(八王子) 국제캠퍼스
- 도쿄도 하치오지시 다테마치(館町) 815-1
총장
제19대 모리모토 사토시(森本敏)
재학생
9,387명(2016. 5.)
교직원
659명(2016.5)[1]
교색
Takushoku Orange
홈페이지
파일:external/www.takushoku-u.ac.jp/211_symbol_mark_img_4.gif


소개 영상
1. 개요
2. 역사
2.1. 서울대학교와의 관계
2.1.1.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3. 입시
4. 캠퍼스
5. 학풍
6. 조직
6.1. 학부
6.2. 대학원
6.3. 부속연구기관
6.4. 별과
7. 대외 관계
7.1. 한국 대학 · 연구 기관과의 관계
8. 관련 인물
9. 기타



1. 개요[편집]


도쿄도 분쿄구하치오지시 소재의 사립 종합대학이다. 대학의 약칭은 타쿠다이(拓大). 산하에 단기대학으로 타쿠쇼쿠대학 홋카이도단기대학부가 존재한다.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의 전신(前身)격인 기관이기도 하다.

2. 역사[편집]


대만의 식민통치를 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1900년 가쓰라 다로가 설립한 대만협회학교가 그 시초다. "拓殖"를 한글로 적으면 "척식"이 되는데, 식민지 개척의 약칭이다.[2]

  • 1898년: 대만협회 출범
  • 1900년 6월: 대만협회학교 설립 인가
  • 1903년: 제1회 졸업식, 45명 졸업.
  • 1904년: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승격, 대만협회전문학교로 개칭
  • 1907년: 대만협회가 동양협회로 개칭함에 따라 동양협회전문학교로 개칭하고, 경성분교를 설치
  • 1910년: 동양협회 여순어학교 및 동양협회 대련상업학교(現 중국 다롄36중학교)를 개교
  • 1915년: 동양협회식민전문학교로 개칭
  • 1917년: 동양협회 대만지부 부속 대만상공학교(現 중화민국 카이난고급중학) 설립
  • 1918년: 전문학교령에 준거한 척식대학(구제전문학교)으로 개칭, 경성분교를 동양협회 경성전문학교로 분리
  • 1919년: 고토 신페이가 제3대 학장 취임
  • 1920년: 동양협회 경성전문학교를 조선총독부, 조선은행 남만주철도주식회사 3자 합자 재단법인에 이관하여 사립 경성고등상업학교 독립[3]
  • 1920년 11월 11일: 문부성구제대학 설립 신청서 제출
  • 1922년 6월 5일: 대학령에 따른 동양협회대학 설립 인가[4]
  • 1923년: 도서관 준공
  • 1925년: 기존 구제전문학교인 척식대학을 폐지하고, 동양협회대학 부속 전문부(야간)로 개편(척식과•법률과•상과 설치)
  • 1926년: 구제대학인 동양협회대학을 척식대학으로 개칭
  • 1930년: 동양협회 대련여자상업학교(現 중국 다롄시 중산구 중심소학교) 설립
  • 1932년: 신교사(現 분쿄캠퍼스 A관) 준공, 기타타마군 구루메무라에 종합운동장 개설, 척식대학 신경강습소 설치
  • 1934년: 척식대학 부속 전문부를 주간과정으로 개편하고 척식과•법률과•상과의 구분을 폐지
  • 1937년: 한방의학 강좌 개강
  • 1939년: 부속 전문부를 상과•척식과•무덕과 등 3개과 구성으로 개편
  • 1940년: 학부의 상과를 상경학과로, 척식과를 척식학과로 개편하고 대학예과를 기타타마군의 코다이라무라(現 코다이라시)로 이전
  • 1943년: 부속 전문부 무덕과(武德科)를 사정과(司政科)로 개칭하고 동양협회 안남어강습소 설치
  • 1944년: 대학예과 신입생 모집 정지, 부속 전문부를 전문학교(경영과•개척과•사정과)로 분리 개편
  • 1946년: 제국주의 색채가 강하다는 이유로 미군정 통치하에서 교명의 척식을 홍릉(紅陵)으로 고쳐 척식대학을 홍릉대학으로 그리고 척식전문학교를 홍릉전문학교로 개칭하고 홍릉대학 상학부의 척식학과를 무역학과로 개명, 대학예과 신입생 모집 재개
  • 1948년: 구제대학 대학예과를 폐지, 구제전문학교인 척식전문학교의 개척과를 농업과•농업경제과로 개칭
  • 1949년: 학제개혁에 따른 신제 홍릉대학(코우리요우대학) 출범, 상학부(경영학과•무역학과) 및 정경학부(정치학과•경제학과) 설치
  • 1950년: 단기대학(경영과•무역과) 설치
  • 1951년: 대학원 석사과정(경제학연구과•상학연구과) 설치
  • 1951년: 미군정 종료 및 일본의 주권회복 후 척식대학=타쿠쇼쿠대학으로 명칭 환원
  • 1955년: 타쿠쇼쿠대학 해외사정연구소 설립
  • 1957년: 구제 척식전문학교 폐지
  • 1959년: 타쿠쇼쿠대학 경리연구소 설립
  • 1960년: 구제 척식대학 폐지
  • 1961년: 타쿠쇼쿠대학 일본어연수소 설립
  • 1963년: 타쿠쇼쿠대학 일본어연수소를 다쿠쇼쿠대학 어학연수소로 개칭
  • 1964년: 하치오지 교지(42만평) 구입 계약 조인
  • 1969년: 홋카이도 타쿠쇼쿠단기대학 부설 척식보육전문학교 설치
  • 1970년: 대학원 박사과정(경제학연구과•상학연구과) 설치, 대학원교사 D관(現 도서관 자리) 준공, 은사기념강당 기념비 건립
  • 1972년: 유학생 별과 설치, 타쿠쇼쿠대학 어학연수소를 타쿠쇼쿠대학 어학연구소로 개칭
  • 1977년: 도쿄도 하치오지시에 하치오지캠퍼스 개설. 상학부와 정경학부 의 1~2학년생을 이전하고 외국어학부 (영미어학과•중국어학과•스페인어학과)를 설치
  • 1978년: 타쿠쇼쿠대학 유네스코 협회 설립, 하치오지캠퍼스내에 국제교류회관 완성
  • 1980년: 홋카이도 타쿠쇼쿠단기대학에 보육과 신설
  • 1987년: 공학부(기계시스템공학과•전자공학과•정보공학과•공업디자인학과) 설치
  • 1990년: 홋카이도타쿠쇼쿠단기대학을 타쿠쇼쿠대학 홋카이도단기대학부로 개칭
  • 1991년: 대학원 석사과정(공학연구과 기계시스템공학 전공/전자정보공학 전공) 설치
  • 1993년: 대학원 박사과정(공학연구과 기계시스템공학 전공/전자정보공학 전공), 석사과정(공학연구과 공업디자인 전공) 설치
  • 1997년: 대학원 박사과정(공학연구과 공업디자인 전공), 석사과정(언어교육연구과 영어교육 전공/일본어교육 전공) 설치
  • 1998년: 하치오지 캠퍼스에 학생교류회관 완공
  • 1999년: 대학원 박사과정(언어교육연구과 언어교육학 전공) 설치, 국제개발연구소 및 첨단공학연구센터 개설
  • 2000년* 창립 100주년 기념식에 천황 내외 임석, 국제개발학부(개발협력학과, 아시아태평양학과) 설치, 언어문화연구소 부속 일본어연수센터에 준비교육과정 설치, 창립 백주년 기념 사업 은사 기념관 준공
  • 2002년: 무역학과를 국제비즈니스학과로, 전자공학과를 정보공학학과로 개칭, 옛 외무성 연수소를 인수한 국제교육회관으로 명칭 변경
  • 2003년: 정치학과를 법률정치학과로 개칭, 일본어연수센터가 도쿄도로부터 각종학교로 인가, 대학 조직에서 타쿠쇼쿠대학 일본어학교로 분리 개편.
  • 2004년: 대학원 국제협력학연구과 박사전기과정 설치
  • 2005년: 타쿠쇼쿠단기대학 폐지
  • 2006년: 대학원 국제협력학연구과 박사후기과정 설치
  • 2007년 3월: 타쿠쇼쿠대학 르네상스 사업 개시
  • 2007년: 상학부에 회계학과 신설, 국제개발학부를 국제학부로 개칭하고 개발협력학과, 아시아태평양학과의 기존 2학과를 국제학과 1학과 4코스제로 개편, 공학부 정보공학과를 전자시스템공학과로 명칭 변경, 일본어교육연구소와 이슬람연구소 개설
  • 2008년: 국제학부에 국제관광코스 설치
  • 2009년: 대학원 지방정치행정연구과 지방정치행정 전공 석사과정 설치, 척식대학 가쓰라다로학원 개강
  • 2010년: 공학부 공업디자인학과를 디자인학과로 명칭 변경, GPA제도 도입
  • 2015년: 상학부와 정경학부를 분쿄 캠퍼스로 전면 이전하고 하치오지 캠퍼스를 하치오지 국제캠퍼스로 명칭 변경
  • 2020년: 외국어학부에 국제일본어학과 개설

2.1. 서울대학교와의 관계[편집]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의 전신(前身)으로서 서울대학교의 여러 전신 교육기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타쿠쇼쿠대학의 전신인 대만협회전문학교가 1907년 동양협회전문학교[5]으로 개칭하며 경성부에 설립한 경성분교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의 기원이기 때문이다.

이 동양협회전문학교 경성분교에는 본교 조선어과 3학년 학생들이 파견 수학하였으며, 1915년 동양협회식민전문학교 경성분교를 거쳐 1918년 본교가 척식대학(구제전문학교)으로 개칭할 때 동양협회 경성전문학교로 독립하였고 고등상업과를 설치하였다. 그런데 1918년 12월 대학령이 공포되고 척식대학 역시 구제대학 승격을 위한 요건[6]을 갖추는 데 전력하게 되면서, 대학 인가 조건인 기본재산 50만 엔을 만들기 위해 대만의 제당회사 5곳에서[7] 기부를 받는 형편이라 신경써 줄 형편이 안 되었던 경성전문학교의 운영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러자 재정난에 빠진 경성전문학교를 1920년 조선총독부/조선은행/남만주철도주식회사 등 3자가 합자한 재단법인이에서 인수하여 사립 경성고등상업학교로 개편하면서 타쿠쇼쿠대학의 재단인 동양협회와 경성분교의 연은 끊어지게 되었다. 경성고등상업학교는 1922년 조선총독부가 조선은행과 만철 지분까지 완전히 인수하여 관립(官立) 경성고등상업학교가 되었고, 1944년에 경성법학전문학교[8]경성경제전문학교로 통폐합되었다가 광복 후 (미인가)경성경제대학을 거쳐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설립에관한법령에 의해 서울대학교상과대학으로 포괄되었다.

2.1.1. 서울대학교 경영대학[편집]


1907
동양협회전문학교 경성분교
1915
동양협회식민전문학교 경성분교
1918
동양협회경성전문학교 고등상업과
1920
경성고등상업학교(사립)
1922
경성고등상업학교(관립)
1944
경성경제전문학교
1946
경성경제대학 학부
경성경제대학 예과
경성경제대학 전문부
1946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상학과
1953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상학과 상학전공
1959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상학과
1962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상학과
1968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
1975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5.1;"
, 2.5.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5.1;"
, 2.5.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3. 입시[편집]


대학 자체 시험[9]과 면접으로 유학생을 선발한다.

기타 몇몇 아시아 국가의 유학원에도 추천입학 제도가 있으나 학원측이 홍보를 하지않는 이상 공개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현재는 학원측의 추천입학전형은 거의 없으며, 자기추천전형으로 입시를 치를수있도록 바뀌었다. 또한 입시 시험시 개인기록란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10] 일본 국내에는 동 학원법인의 고등학교-전문교를 통한 추천 편/입학 가능한 제도가 있다.

4. 캠퍼스[편집]


캠퍼스는 분쿄구 코히나타(小日向) 지역에 자리하는 분쿄 캠퍼스, 하치오지시에 있는 하치오지 국제 캠퍼스로 두 곳이 있다.

분쿄 캠퍼스 근처에는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묘가다니역이 있어서 이동하기가 용이하며 하치오지 캠퍼스 근처에는 JR그룹 츄오 본선/게이오 전철 타카오선이 도심까지 이어주고 있다. 또한 하치오지 캠퍼스는 NEW ORANG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부 학부의 캠퍼스 이동과 시설 리모델링 후 하치오지 국제 캠퍼스로 명칭이 바뀌었다.

5. 학풍[편집]


우익적인 이미지가 다소 강하긴 하나[11]일본 현지에선 인지도가 꽤 있는 대학이다. 최근 편차치도 상승세이다.

다만 역시나 관련 인물에 극우 성향을 띠는 인물이 꽤 있는편이며 새역모의 후지오카 노부카쓰(국제학부) 전 회장이나 고 젠카(국제학부), 다케시마 연구회 회장 시모조 마사오(국제학부)가 교수로 있다. 우습게도 일본 문화관련 수업이나 한국의 역사관련 교육을 담당하는데, 고 젠카의 경우 "한국에서는 웃어른 앞에서 안경을 끼면 실례다." 같은 조선시대 수준의 이야기나 "나는 한국사고려라는 나라가 있었다는 건 처음 듣는다."같은 망언으로 구설수에 오를 정도로, 아주 조악한 지식을 자랑한다.

하치오지 캠퍼스는 도쿄도내의 일본 사립대 면적 순위중 2, 3위를 다투며 분쿄 캠퍼스는 신식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고 묘가다니역에서 가깝고, 묘가다니역에서 이케부쿠로까지 5분이니, 도심 접근성이 좋다.

특히 정치경제학부는 일본 내에서 와세다대학메이지대학의 정치경제학부의 뒤를 이어서 3번째로 오래된 학부로 꽤나 간판 학부로 유명하다.

아지아대학고쿠시칸대학과 달리 한자가 달라서 대동아제국[12]으로는 묶이지 않고 있다. 단, 편차치는 대동아제국과 비슷한 수준 또는 하위.

학교 교직원 다수는 일본 극우 단체의 총본산인 일본회의에 몸담고 있다. 그런 만큼 일본 정계의 우익 인사들과 짙은 커넥션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학교의 120주년 기념 프로젝트 New Orange를 기점으로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데 열중하고 있다고 한다.

6. 조직[편집]



6.1. 학부[편집]


  • 상학부
    • 경영학과
    • 국제비지니스학과
    • 회계학과

  • 정경학부
    • 법률정치학과
    • 경제학과

  • 외국어학부
    • 영미어학과
    • 중국어학과
    • 스페인어학과
    • 국제 일본어학과

  • 공학부
    • 기계시스템공학과
    • 전자시스템공학과
    • 정보공학과
    • 디자인학과

  • 국제학부
    • 국제학과

6.2. 대학원[편집]


  • 경제학연구과
    • 국제경제전공
  • 상학연구과
    • 상학전공
  • 공학연구과
    • 기계 · 전자시스템공학전공
    • 정보 · 디자인공학전공
  • 언어교육연구과
    • 영어교육학전공
    • 일본어교육학전공
    • 언어교육학전공
  • 국제협력학연구과
    • 국제개발전공
    • 안전보장전공
  • 지방정치행정연구과
    • 지방정치행정전공(석사과정)

6.3. 부속연구기관[편집]


  • 국제협력연구기구
    • 언어문화연구소
    • 해외사정연구소
      • 타이완연구센터
    • 일본문화연구소
    • 국제개발연구소
      • 아시아정보센터
      • 국제개발정보센터
    • 일본어교육연구소
    • 이슬람연구소
  • 경영경리연구소
  • 정치경제연구소
  • 이공학종합연구소
  • 인문과학연구소
  • 지방정치행정연구소
    • 방재교육연구센터

6.4. 별과[편집]


  • 유학생별과

7. 대외 관계[편집]



7.1. 한국 대학 · 연구 기관과의 관계[편집]


의외로 한국 대학 · 연구 기관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한국 대학들과 해외 교류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20년도는 코로나로 인해 중지)

8. 관련 인물[편집]


출신 인물
교직원
  • 신친일파 고 젠카가 교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 국방부에서 장교로 근무하면서 일본기자에게 군사기밀 수십건을 팔아먹은 간첩 고영철도 현재 이 대학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중이다.

9. 기타[편집]


  • 교내 ID 발급후 학교 Wi-Fi를 이용할 수 있다. 과거에는 수강신청 등 인트라넷 페이지만 접속이 가능했지만 Wi-Fi 단말기를 교내 대부분의 건물에 확장설치후 완전 개방되었다. 그 외 일부 건물에서는 소프트뱅크 Wi-Fi가 설치되어있다.
  • 교내 화장실이 호텔 리조트급 수준의 고퀄리티를 자랑한다고 한다.
  • 분쿄 캠퍼스의 경우, 학교 내에 계단이 아니라 에스컬레이터가 설치 되어 있다고 한다.
  • 중국인 유학생 비율이 높다.
  • 2018년도 기준으로 QS 세계 대학 랭킹, Times Higher Education (THE) 세계대학순위에는 랭크인되지 못하고 있다.
  • 유학생 장학금 지원제도가 잘 되어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3:48:52에 나무위키 타쿠쇼쿠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학부 전임 교원 1인당 학생 수 43.4명[2]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제국동인도회사를 본따 만든 수탈기업인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척식도 이와 같은 의미이다. 다만 동양척식주식회사와 해당 학교와의 연관은 없다.[3] 당시 동양협회는 척식대학의 구제대학 설립 인가를 신청하기 위한 조건을 맞추는 데 여념이 없었다.[4] 1922년 4월 입학한 척식대학 1학년은 동양협회대학 예과 1학년으로 옮겨졌고, 척식대학은 1921년 신입생이 모두 졸업하는 1925년 폐교.[5] 당시 구제전문학교. 후일 타쿠쇼쿠대학으로 개칭하나, 이름은 대학이지만 이 역시 구제전문학교. 다만, 동양협회대학구제대학이었고, 당시 구제전문학교 신분의 타쿠쇼쿠대학을 병설.[6] 학교 조직을 재단법인으로 할 것, 학교 기본재산으로 최저 50만엔을 공탁금으로 납부할 것, 구제고등학교에 상응하는 대학예과를 설치할 것, 상당한 전임교원 숫자를 갖출 것, 교육•연구에 필요한 면적 요건의 교사와 도서관 등을 구비할 것 등 무척이나 가혹한 조건이었다.[7] 엔스이코제당 20만 엔, 동양제당 7.5만 엔, 대만제당 7.5만 엔, 대일본제당 7.5만 엔, 메이지제당 7.5만 엔 등[8] 해방 후에는 다시 분리되어 경성법학전문학교와 서울법정학교로 나뉘어진다.[9] 문과의 경우 보통 일본어와 영어. 일본어는 EJU 일본어 성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10] 유학생 별도 입시 시험시에만 기록란이 있으며 일반입시 때는 알 수 없다.[11] 구글 등지에 拓殖大学 暴力나 拓殖大学 右翼등으로 검색만 해 봐도 알 수 있다. 물론 대구대학교와의 연구 교류 기사처럼 한국에 마냥 적대적이지는 않다.[12] 일본 우익~극우 세력이 일본을 지칭할 때 쓰는 용어(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에서 자주 나왔던 말이었다.)이자 위 두 대학을 포함한 도쿄 도내 사립대학교 5개교의 교명 앞글자만 따와서 부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