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웃 베호르스트

최근 편집일시 : (♥ 0)



UEFA 유로 2024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No. 9
TSG 1899 호펜하임 No. 10
바웃 베호르스트
Wout Weghorst
출생1992년 8월 7일 (31세)
오버레이설주 보르너
국적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신체 197cm / 체중 84kg
포지션스트라이커
주발오른발
소속유스데토 트벤터란드 ( ~2011)
빌럼 II (2011~2012)
선수FC 에먼 (2012~2014)
헤라클레스 알멜로 (2014~2016)
AZ 알크마르 (2016~2018)
VfL 볼프스부르크 (2018~2022)
번리 FC (2022~ )
베식타스 JK (2022~2023 / 임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3 / 임대)
TSG 1899 호펜하임 (2023~ / 임대)
국가대표33경기 11골[1] (네덜란드 / 2018~ )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네덜란드 국적의 TSG 1899 호펜하임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2. 클럽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바웃 베호르스트/클럽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4년에 U-21 대표팀에 소집되며 처음으로 국가대표로 뛰었고, 포르투갈 U-21과의 경기에서 데뷔전 데뷔골까지 기록했다.

2018년 3월, 로날드 쿠만 감독에 의해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콜업되었으며, 잉글랜드와의 친선전에서 데뷔했다.

2021년 3월, A매치 기간에 뤽 더용, 라이언 바벨에게 밀리며 승선하지 못했고, 이에 네덜란드 축구 팬들은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유로 2020 본선 명단에 선발되었다.

2021년 6월 6일, 조지아전에서 멤피스 데파이와 최전방 투톱으로 선발 출전하였고, 55분 데파이의 키패스를 받은 뒤 좁은 각에서 감각적인 슈팅으로 추가골을 터뜨리며 6경기 만에 데뷔골을 기록했다.

UEFA 유로 2020, 조별리그 C조 첫 경기인 우크라이나전에 선발 출전하여 59분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수비가 걷어낸 공이 발 앞에 떨어졌고, 이를 밀어 넣으며 추가골을 성공시켰다. 네덜란드는 베흐호르스트의 골에 힘입어 우크라이나를 3:2로 잡고 쾌조의 출발을 알렸다.

조별리그 C조 2라운드 오스트리아전에서도 데파이와 투톱으로 선발 출전하였고, 39분 골문 앞에서 데파이에게 완벽한 오픈 찬스를 만드는 패스를 연결했으나 이를 데파이가 날려버리면서 공격 포인트를 적립하지 못했다. 이후 데파이와 조르지니오 베이날둠이 주도하는 공격 속에서 약간 겉도는 모습을 보였고 64분 도니얼 말런과 교체되면서 아웃되었다.

조별리그 C조 3라운드 북마케도니아전에서는 선발 명단에 포함되지 않아 벤치에서 시작했다. 64분 데파이와 교체되어 출전하였고,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지는 못했으나 골대를 한 번 맞히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UEFA 유로 2020이 끝나고도 지속적으로 대표팀에 뽑혔고 2022 카타르 월드컵 승선에도 성공했다. 다만 코디 각포, 멤피스 데파이, 스티븐 베르흐베인에게 밀리면서 조별리그 첫 경기인 세네갈전은 결장했고, 조별리그 2R 에콰도르전과 3R 카타르전, 그리고 16강 미국전까지 후반 막판 교체 투입되어 각각 단 10분, 8분, 1분 만을 뛰었다. 그래도 전경기 결장한 뤼크 더용보단 낫다

8강 아르헨티나전에서는 벤치에서 항의를 해 출전도 하기 전에 경고를 받았다. 그러다가 0:2로 뒤지고 있던 상황에서 장신 공격수들의 포스트 플레이를 활용해 공격에 치중하려는 루이 반할 감독의 전략에 따라 후반전에 교체 출전하였다. 이 전략은 크게 성공해서 투입 후 5분여 정도가 흐른 후반 38분 경, 오른쪽 사이드에서 스티븐 베르하위스가 올린 크로스를 헤더로 넣으면서 1골을 성공시켜 점수차를 1점차로 좁혔고, 17분 후, 후반 추가시간 10분이 이미 끝난 상황에서의 마지막 프리킥에서 직접 슈팅을 노리지 않고 패스를 선택한 퇸 코프메이너르스의 땅볼 패스를 받아 빠른 왼발 슛으로 동점골을 넣어 총 2골로 승부를 연장전까지 끌고 갔다. 하지만 결국 경기는 접전 끝에 승부차기까지 갔으며 승부차기에서 본인은 4번째 키커로 나서서 왼쪽 구석으로 침착하게 성공시켰으나, 네덜란드가 승부차기에서 4:3 으로 아쉽게 패배함으로서 탈락하게 되었다. 본인이 2골을 모두 넣어 경기를 승부차기까지 가도록 한 일등공신인만큼, 승부차기에서 패배가 확정되자 경기장에 엎드려서 오열하는 모습은 많은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여담으로 월드컵 사상 교체 투입되어 멀티골을 터뜨린 최초의 네덜란드 선수라고 하며 이번 대회에서 때린 2회의 슈팅 모두 골로 연결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2m의 가까운 피지컬을 보유한 전통적인 타겟맨 유형의 스트라이커로, 압도적인 피지컬을 바탕으로 전방에서의 경합 상황에서 우위를 손쉽게 점할 수 있다 전방에서 버텨주는 플레이가 능하고 헤더를 잘 따내다 보니, 전방에서의 포스트플레이나 헤더를 통해 동료들이 세컨볼을 따낼 수 있게 도와준다. 이를 통한 빌드업 상황에서의 연계 플레이에 적극 가담하고 공격에서의 영향력을 높인다. 연계 플레이가 안 좋다는 오해가 있었으나, 이는 번리 FC로 이적했을 당시에 2줄 수비로 내려앉은 번리의 사정 때문이라고 평가받고 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로의 임대 시절에는 특유의 연계 능력을 보여줄 기회와 상황이 늘어났다.[2]

또한 베호르스트는 오프더볼 상황에서의 위치 선정 능력이 좋은 선수로, 이를 바탕으로 세트피스 상황에서의 헤더 득점이나 옆에서 오는 컷백을 그대로 밀어넣는 득점 등 다양한 패턴의 득점을 만들어낸다. 다른 장점으로는 활동량이 많다는 것인데, 전방 공격수임에도 수비나 압박에 성실히 가담한다. 세트피스 수비도 적극 가담하고, 경기를 보다 보면 미드필더처럼 밑으로 내려와 수비를 도와주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다[3]. 드리블, 패스, 슈팅 등을 아우르는 기본기가 잘 잡혀있다는 것도 베호르스트의 장점.

다만, 큰 체구에 비례해 느린 발을 가지고 있다. 활동량 자체는 많고 둔한 선수는 아니지만, 다른 선수들과의 속도 경쟁에서는 확실하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많은 감독들이 그를 주로 최전방에 머물게 하며 압박이나 수비의 순도를 높이거나 신속하게 위치를 잡을 수 있게끔 한다. 하지만 마냥 느리다고 할 순 없는게, 큰 키와 호리호리한 체격답게 가속이 붙으면 꽤 빠른지라 상대 수비 뒷공간 뒤를 파고 달려들며 득점하는 경우도 제법 나온다.

또한 최전방 공격수로서 골 결정력이 좋은 편이 아니다. 에레디비시, 분데스리가에서는 앞선 장점들을 앞세워 골 폭격을 퍼부었으나, 유나이티드 이적 후 EPL에서는 이전의 네덜란드, 독일, 월드컵에서의 긍정적인 평가들을 안 좋은 의미로 완전히 뒤바꾸고 있다. 이전의 장점이었던 능력들이 PL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면서 장점이 하나도 드러나고 있지 않다. 타점이 높으나 몸싸움에 밀리는 장면을 연출하며 공중권을 전혀 장악하지 못하고 발이 상당히 느려 전개 속도가 빠른 프리미어 리그에서 압박 능력 또한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타겟형 스트라이커로 기용할 목적으로 데려온 맨유는 베호르스트를 현재 공격형 미드필더로 맡기며 중원에서 싸워 측면 자원들의 공간을 넓혀주는 역할로 사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전의 지목 되었던 단점들이 프리미어리그에서 극대화되면서 본인의 플레이의 방향도 난감해졌다고 볼 수 있다.

5. 기록[편집]



5.1. 대회 기록[편집]



5.2. 개인 수상[편집]



6. 여담[편집]


  • 2020년 5대리그 빅찬스 미스 공동 2위에 이름을 올렸다.[4] #

  • 워낙 격했던 카타르 월드컵 8강전 아르헨티나 전이 끝난 후 리오넬 메시의 뒤를 지나가던 도중 메시에게 꺼지라며 욕을 먹었다. 서로간의 경합 도중 충돌했던 점이 큰 듯. 이후 베호르스트는 경기 후에도 자신을 그렇게 대한 메시에게 실망스러웠다고 밝혔다. #

  • 꽤 자주 팀내 여러가지로 트러블이 있었던 선수. 볼프스부르크에서는 감독과 트러블을 그리고 백신 무용론을 펼치면서 구단 입장을 난처하게 만들었다. 물론 백신을 안 믿는건 자유이나 상황이 분데스리가 전체에서 코로나 백신 캠페인이 있던 상황에서라 구단입장에서는 난감해졌다. 이런 여러가지 이유로 번리에 싼 값에 이적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적하고 번리에서도 팀내 인원과 마찰이 있었다고 한다. 여러모로 확실히 자기에고가 강한 타입의 선수이다.

2022년 6월 8일 열린 네이션스리그 웨일스전에서 극장골을 넣었는데 이 때 같은 번리 소속의 코너 로버츠가 '번리에 있을 때 그렇게 좀 하지 그랬냐'고 말하자 '그건 다른 이야기다.'라고 말하며 번리 팬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7. 같이 보기[편집]



>
1 바우만 (C) · 3 카데르자베크 (3C) · 5 카바크 · 6 프뢰멜 · 7 M. 베리샤 · 8 가이거 · 9 베부
10 베호르스트 · 11 그릴리치 · 14 바이어 · 15 아담스 · 16 슈타흐 · 17 유스트반 · 18 사마세쿠
20 베커 · 21 뷜터 · 22 포크트 · 23 브룩스 · 25 아크포구마 · 27 크라마리치 (VC) · 29 스코우
30 · 31 콘테 · 34 은소키 · 36 · 37 필리프 · 39 비쇼프 · 40 토움주 · 41 설러이 · 44 크바르지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2023-24 시즌 TSG 1899 호펜하임 1군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등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 월일비고
1파일:독일 국기.svgGK올리버 바우만Oliver Baumann1990년 6월 2일주장
3파일:체코 국기.svgDF파벨 카데르자베크Pavel Kadeřábek1992년 4월 25일
5파일:튀르키예 국기.svgDF오잔 카바크Ozan Kabak2000년 3월 25일
6파일:독일 국기.svgMF그리샤 프뢰멜Grischa Prömel1995년 1월 9일
7파일:독일 국기.svgFW머르김 베리샤Mërgim Berisha1998년 5월 11일
8파일:독일 국기.svgMF데니스 가이거Dennis Geiger1998년 6월 10일
9파일:토고 국기.svgFW일라스 베부Ihlas Bebou1994년 4월 23일
10파일:네덜란드 국기.svgFW바웃 베호르스트Wout Weghorst1992년 8월 7일[1]
11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MF플로리안 그릴리치Florian Grillitsch1995년 8월 7일
14파일:독일 국기.svgFW막시밀리안 바이어Maximilian Beier2002년 10월 17일
15파일:가나 국기.svgDF카심 아담스Kasim Adams1995년 6월 22일
16파일:독일 국기.svgMF안톤 슈타흐Anton Stach1998년 11월 15일
17파일:독일 국기.svgMF율리안 유스트반Julian Justvan1998년 4월 2일
18파일:독일 국기.svgMF디아디에 사마세쿠Diadié Samassékou1996년 1월 11일
20파일:독일 국기.svgMF핀 올레 베커Finn Ole Becker2000년 6월 8일
21파일:독일 국기.svgFW마리우스 뷜터Marius Bülter1993년 3월 29일
22파일:독일 국기.svgDF케빈 포크트Kevin Vogt1991년 9월 23일
23파일:미국 국기.svgDF존 브룩스John Brooks1993년 1월 28일
25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DF케빈 아크포구마Kevin Akpoguma1995년 4월 19일
27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FW안드레이 크라마리치Andrej Kramarić1991년 6월 19일부주장
29파일:덴마크 국기.svgFW로베르트 스코우Robert Skov1996년 5월 20일
30파일:독일 국기.svgMF마르코 욘Marco John2002년 4월 2일
31파일:독일 국기.svgFW밤바세 콘테Bambasé Conté2003년 7월 7일
34파일:프랑스 국기.svgDF스탠리 은소키Stanley N'soki1999년 4월 9일
36파일:독일 국기.svgGK나후엘 놀Nahuel Noll2003년 3월 17일
37파일:독일 국기.svgGK루카 필리프Luca Philipp2000년 11월 28일
39파일:독일 국기.svgMF톰 비쇼프Tom Bischof2005년 6월 28일
40파일:독일 국기.svgMF우무트 토움주Umut Tohumcu2004년 8월 11일
41파일:헝가리 국기.svgDF어틸러 설러이Attila Szalai1998년 1월 20일
44파일:독일 국기.svgDF요주아 크바르지Joshua Quarshie2004년 7월 26일
구단 정보
회장: 페터 호프만 / 감독: 펠레그리노 마타라초 / 홈 구장: 프리제로 아레나
[1] 번리 FC에서 임대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한글 이름영어 이름생년월일출장클럽비고
GK1유스틴 베일로브Justin Bijlow1998년 1월 22일50파일:Feyenoord.pn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3팀 크륄Tim Krul1988년 4월 3일150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노리치 시티 FC
요엘 드로멀Joël Drommel1996년 11월 16일00파일:PSV.png PSV 에인트호번
23마르크 플레컨Mark Flekken1993년 6월 13일00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 프라이부르크
DF2율리엔 팀버Jurriën Timber2001년 6월 17일60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AFC 아약스
3마테이스 더리흐트Matthijs de Ligt1999년 8월 12일312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유벤투스 FC
4버질 판데이크Virgil van Dijk1992년 7월 8일425파일:리버풀 FC 로고.svg 리버풀 FC주장
5타이럴 말라시아Tyrell Malacia1999년 8월 17일10파일:Feyenoord.pn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6스테판 더프레이Stefan de Vrij1992년 2월 5일543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7데일리 블린트Daley Blind1990년 3월 9일862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AFC 아약스
22덴절 뒴프리스Denzel Dumfries1996년 4월 18일283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네이선 아케Nathan Aké1995년 2월 18일222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맨체스터 시티 FC
MF8조르지뇨 베이날뒴Georginio Wijnaldum1990년 11월 11일8326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부주장
12휘스 틸Guus Til1997년 12월 22일41파일:Feyenoord.pn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4데이비 클라선Davy Klaassen1993년 2월 21일298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AFC 아약스
마르턴 더론Marten de Roon1991년 3월 29일270파일:AtalantaBC.png 아탈란타 BC
16라이언 흐라번베르흐Ryan Gravenberch2002년 5월 16일91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AFC 아약스
20퇸 코프메이너르스Teun Koopmeiners1998년 2월 28일20파일:AtalantaBC.png 아탈란타 BC
21프렝키 더용Frenkie de Jong1997년 5월 12일361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FC 바르셀로나
FW18도니얼 말런Donyell Malen1999년 1월 19일164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0멤피스 데파이Memphis Depay1994년 2월 13일7335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FC 바르셀로나
11스티븐 베르하위스Steven Berghuis1991년 12월 19일332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AFC 아약스
19바웃 베호르스트Wout Weghorst1992년 8월 7일122파일:VfL 볼푸스부르크 로고.svg VfL 볼프스부르크
9뤽 더용Luuk de Jong1990년 8월 27일388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FC 바르셀로나
7노아 랑Noa Lang1999년 6월 17일20파일:Club Brugge KV.png 클뤼프 브뤼허 KV
15아르나우트 단주마Arnaut Danjuma1997년 1월 31일32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비야레알 CF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1년 10월 12일





[1] 2024년 6월 11일 기준[2] 실제로 에릭 텐 하흐는 베호르스트의 뛰어난 피지컬과 연계 플레이를 높게 평가해서 그를 2선 중앙 세컨드 스트라이커 내지 공격형 미드필더로 뛰게 하면서 공을 받아주고 지켜내며 연계하는 플레이를 주문하기도 했다.[3] 이런 강점이 에릭 턴하흐가 2023년 겨울 이적시장에서 베호르스트 영입을 요청한 이유 중 하나다. 22-23시즌 전반기 맨유의 최전방을 책임졌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앙토니 마르시알이 전방압박 수행능력이 현저히 떨어졌던 데다가 2선 사이드 자원과의 연계도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했고, 그 와중에 앙토니 마르시알이 장기 부상까지 끊어버려서 이러한 유형의 공격수가 거의 무조건적으로 수급되어야 했었기 때문.[4] 1위는 에딘 제코, 공동 2위는 도미닉 칼버트르윈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2:21:10에 나무위키 바웃 베호르스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