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남권을 순환하는 광역철도 노선 계획에 대한 내용은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문서
동남권순환 광역철도번 문단을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파일:경상북도 휘장.svg 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1호선2호선3호선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건설 중인 노선건설이 확정된 노선
대구권 광역철도엑스코선대구산업선
추진 중인 노선
순환선대구경북선
회색: 노선색상 미확정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Mega-city Train eXpress, MTX
}}}
파일: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png
노선 정보
분류광역급행철도[1]
총사업비9656억 원[2]
구성노선경전선, 부전마산선(창원~부전)
동해선(부전~신경주)
중앙선(신경주~영천)
대구선(영천~동대구)
경부선(동대구~서대구)
대구산업선(서대구~대구국가산단)
대합산단산업선
(대구국가산단~대합산단)[미확정]
창원산업선(대합산단~창원)[미확정]
개업일미정
소유자대한민국 정부[3][4][5]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자미정
사용차량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297.3㎞
궤간1435㎜
선로구성복선, 단선[6]
사용전류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미정
최고속도미정
영업속도미정
표정속도미정
통행 방향좌측통행

1. 개요
2. 역사
3. 역 목록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ega-city Train eXpress, MTX)는 부울경이 일반선[7] 및 창원산업선을 활용하여 순환선 형태로 급행열차 운행을 중앙정부에 건의한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명칭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2. 역사[편집]


  • 2020년 1월 16일, 더불어민주당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비전위원회에서 '동남권 광역급행철도'(MTX)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
  • 2020년 2월 4일, 더불어민주당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동남권의 광역철도망 구축을 공약했다. #
  • 2020년 7월 30일, 제7회 부울경 광역교통실무협의회에서 '메가시티 급행철도' 건설을 논의했다. #
  • 2020년 8월 5일, 영남권 5개[8] 시도지사들은 제1회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에서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TX)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공동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영남권 5개 시도지사들은 이 노선이 영남권을 동일 생활권으로 묶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했다. #
  • 2020년 10월 27일, 부울경이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건설을 국토교통부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방문해 정부에 공동 건의했다. 부울경은 초광역 교통인프라 구축을 통해 동남권 경제공동체를 구축하고 영남권 1300만 명 인구의 교류 활성화로 국가 균형발전 기여 효과를 기대했다. #
  • 2021년 2월 5일, 경상남도가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라는 명칭을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로 바꿔 사용하기 시작했다. #
  • 2021년 3월 3일, 경남은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TX)를 포함한 17개 노선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켜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
  • 2021년 4월 22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공청회를 통해 MTX의 중요 구간인 창원산업선이 탈락하고 추가 검토 사업 17위로 나타나 사업 진행에 적신호가 켜졌다.[9]
  • 최근에 엑스포 유치를 위해 부산에서 부산형 급행철도, 일명BuTX를 제안했다. 논의된 노선들은 울산선, 창원선, 양산선, 대구선이다. 울산선은 태화강에서 좌천, 동부산, 북항, 가덕도신공항으로 가는 노선[10], 창원선은 동부산에서 부전, 에코델타시티, 창원, 마산으로 가는 노선, 양산선은 양산 북정에서 노포, 부전, 북항으로 가는 노선, 대구선[11]동대구에서 밀양, 진영, 에코델타시티, 가덕도 신공항으로 가는 노선이다. 다만 기존의 MTX 순환노선이 이에 따라 사업이 분리될지 아니면 같이 추진하게 될지는 미지수.#


3. 역 목록[편집]


기존 선의 역을 모두 표기했다. 미개통 및 신설 역명은 가칭이다. 급행철도 특성상 향후 정확한 계획이 나오면 역 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일러두기
[ 펼치기 · 접기 ]
여객, 화물 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X동해산타열차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T광역철도 급행 정차t광역철도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km역번역명환승노선경유노선소재지
0.0창 원경전선
부전마산선
경상남도창원시의창구
창원중앙
신 월김해시
장 유
부산경남경마공원부산광역시강서구
에코델타시티
강서금호
사 상파일:Busan2.svg 부산 2호선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파일:Busan5.svg부산 5호선
[12]
사상구
부 전파일:Busan1.svg 부산 1호선[13]부산진구
동해선
거제해맞이연제구
거 제파일:Busan3.svg 부산 3호선
교 대파일:Busan1.svg 부산 1호선
동 래파일:Busan4.svg 부산 4호선[14]동래구
안 락
부산원동
재 송해운대구
센 텀
벡스코파일:Busan2.svg 부산 2호선
신해운대
송 정
오시리아기장군
기 장
일 광
좌 천
월 내
서 생울산광역시울주군
남 창
망 양
덕 하
개운포남구
태화강 울산 1호선
북울산 울산 2호선북구
경 주경상북도경주시
중앙선
아 화
영 천영천시
대구선
금 호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하 양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경산시
동대구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파일:Daegu4.svg 대구 4호선
대구광역시동구
경부선
대 구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북구
서대구파일:Daegu5.svg 대구 5호선서구
대구산업선
서재세천달성군
계명대파일:Daegu2.svg 대구 2호선달서구
성서산단호림
설화명곡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달성군
달성군청
달성산단
테크노폴리스
대구국가산단
대합산단대합산단산업선경상남도창녕군
창 녕창원산업선
영 산
남 지
칠 서함안군
감 계창원시의창구
297.3창 원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06:34:03에 나무위키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남권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의 하나로 제시된 노선이 MTX이다.[2] 차량구입비 미포함, 사업노선 1개(창원산업선)[미확정] A B [3] 부전~마산 구간: 임대형 민자사업으로 건설[4] 임대형 민자사업 구간은 개통 후 대한민국 정부에 기부채납하기 이전까지는 관할 시행사가 소유하게 되며, 회계장부에는 '건설 중인 자산'으로 인식한다.[5] 대구산업선은 건설이 확정된 노선이고 창원산업선과 대합산단산업선은 2022년 기준으로 건설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노선이다.[6] 대구산업선.[7] 동해선, 중앙선, 대구선, 경부선, 대구산업선, 부전마산선[8]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9] 대구~창원~부산 간 연결을 포기하고 반쪽짜리 순환선으로 밀어붙이거나, 경부선을 통해 서대구역에서 김천으로 올라가고, 김천-성주-합천~진주 간 남부내륙선을 거친 뒤 경전선을 통해 마산으로 돌아가는 우회 경로를 택해야 한다. 전자는 부산과 대구의 연결을 통해 얻을 시너지가 퇴색되고, 후자의 경우 142.2km나 더 돌아가야 한다.[10] 동해선 광역전철과 겹치다보니 사실상 포항 - 경주 - 울산 - 부산 구간이다.[11] 일반철도 대구선과 다른 노선이며 경부선 구미 - 동대구 - 부산 구간과 같다. GTX와 별개로 동대구-창원 고속철도 사업도 있다.[12] 모두 간접 환승[13] 간접환승[14] 낙민역 간접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