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문서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번 문단을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대한민국
KOREA
운영 주체대한민국농구협회
대륙 연맹FIBA 아시아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추일승
주장김선형
월드컵[출전] 8회
[최고] 11위 (1970, 1986)
올림픽[출전] 6회
[최고] 8위 (1948)
아시아컵[출전] 25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69, 1997)
아시안 게임[출전] 16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70, 1982, 2002, 2014)
라이벌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FIBA 랭킹
51위 / 243.5점
(2023년 9월 10일 기준 / #)
FIBA 아시아 랭킹
9위
(2023년 9월 10일 기준 / #)
IOC 코드KOR
킷 스폰서파일:프로스펙스 로고.svg[[파일:프로스펙스 로고 화이트.svg

1. 개요
2. 역대 감독
3. 코칭 스태프
4. 문제점
5. 플레이 스타일
6. 역대 선수단
6.1. 2010년
6.1.1.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6.2. 2014년
6.2.1. 2014 FIBA 농구 월드컵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6.3. 2015년
6.3.1. 2015 윌리엄 존스컵
6.3.2. 2015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6.4. 2016년
6.4.1. 2016 윌리엄 존스컵
6.4.2. 2016 FIBA 아시아 챌린지
6.5. 2017년
6.5.1. 2017 윌리엄 존스컵
6.5.2. 2017 FIBA 아시아컵
6.5.3.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1R 윈도우 1
6.6. 2018년
6.6.1.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1R 윈도우 2
6.6.2.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1R 윈도우 3
6.6.3. 2018 존스컵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6.6.4.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2R 1윈도우
6.6.5.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2R 2윈도우
6.7. 2019년
6.7.1.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2R 윈도우6
6.7.2. 2019 FIBA 농구 월드컵
6.8. 2021년
6.8.1. 2021 FIBA 아시아 컵 예선 윈도우 3 및 2020 도쿄 올림픽 최종 예선
6.9. 2023년
7. 역대 성적
7.6. 동아시아 선수권 대회
7.7. FIBA 아시아 챌린지
7.8. 윌리엄 존스컵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농구협회 산하 대한민국농구 국가대표팀. 과거 아시아에서 중국, 이란, 필리핀과 함께 4대 강국으로 꼽혔다.


2. 역대 감독[편집]


}}} ||
[ 펼치기 · 접기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cb141d> ||
||<bgcolor=#ffffff> 1대 ||<bgcolor=#ffffff> 2대 ||<bgcolor=#ffffff> 3대 ||<bgcolor=#ffffff> 4대 ||
||<bgcolor=#ffffff><width=25%> 정상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width=25%> 이성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width=25%> 김정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width=25%> 변승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gcolor=#ffffff> 5대 ||<bgcolor=#ffffff> 6대 ||<bgcolor=#ffffff> 7대 ||<bgcolor=#ffffff> 8대 ||
||<width=20%><bgcolor=#ffffff> 박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김용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신봉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이경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gcolor=#ffffff> 9대 ||<bgcolor=#ffffff> 10대 ||<bgcolor=#ffffff> 11대 ||<bgcolor=#ffffff> 12대 ||
||<bgcolor=#ffffff> 강재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김영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김무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정주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4><bgcolor=#002a5b> ▶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1982년 뉴델리 AG 이후) ||


}}}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cb141d> ||
||<bgcolor=#ffffff> 13대 ||<bgcolor=#ffffff> 14대 ||<bgcolor=#ffffff> 15대 ||<bgcolor=#ffffff> 16대 ||<bgcolor=#ffffff> 17대 ||
||<bgcolor=#ffffff><width=20%> 방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width=20%> 김인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width=20%> 방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width=20%> 김인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dth=20%><bgcolor=#ffffff> 이인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gcolor=#ffffff> 18대 ||<bgcolor=#ffffff> 19대 ||<bgcolor=#ffffff> 20대 ||<bgcolor=#ffffff> 21대 ||<bgcolor=#ffffff> 22대 ||
||<bgcolor=#ffffff> 최인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김동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최부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전창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gcolor=#ffffff> 23대 ||<bgcolor=#ffffff> 24대 ||<bgcolor=#ffffff> 25대 ||<bgcolor=#ffffff> 26대 ||<bgcolor=#ffffff> 27대 ||
||<bgcolor=#ffffff> 최부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김남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유재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허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이상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gcolor=#ffffff> 28대 ||<-2><bgcolor=#ffffff> 29대 ||<bgcolor=#ffffff> 30대 ||<bgcolor=#ffffff> 31대 ||
||<bgcolor=#ffffff> 김동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허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김상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김상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조상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gcolor=#ffffff> 32대 ||<bgcolor=#ffffff> 33대 ||<bgcolor=#ffffff> 34대 ||<bgcolor=#ffffff> 35대 ||<bgcolor=#ffffff> 36대 ||
||<bgcolor=#ffffff> 추일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e0ffdb,#073300> 안준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gcolor=#ffffff>
||<bgcolor=#ffffff> ||<bgcolor=#ffffff> ||
||<-5><bgcolor=#002a5b> ◀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1982년 뉴델리 AG 이전) ||



이름연도 (대회) 소속팀
김인건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삼성전자
이인표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대한민국농구협회
최인선1996 애틀랜타 올림픽기아자동차
김동광1997 ABC 대회SBS 스타즈
최부영1998 방콕 아시안 게임경희대학교
김진2002 부산 아시안 게임동양 오리온스
전창진2004 올림픽 예선
2005 ABC 대회
TG 삼보 엑서스
최부영2006 도하 아시안 게임경희대학교
김남기2008 올림픽 예선대한민국농구협회[1]
유재학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모비스 피버스
허재2011 FIBA 아시아 선수권KCC 이지스
이상범2012 올림픽 예선KGC인삼공사
유재학2014 FIBA 농구 월드컵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모비스 피버스[2]
김동광2015 FIBA 아시아 선수권대한민국농구협회
허재2017년 FIBA 아시아 컵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농구협회
김상식2019년 FIBA 농구 월드컵대한민국농구협회
조상현대한민국농구협회
* 세부 사항은 1990년대 이후 기재했으며 최우선은 아시안 게임


3. 코칭 스태프[편집]


감독 추일승
코치 이훈재


4. 문제점[편집]


협회가 문제다. 수많은 병크가 있지만 대표적인 사안들을 짚어보면,

  • 전임 감독 문제
과거 김남기가 전임 감독을 맡았지만 금전적 문제로 사퇴했고, 그 이후에는 KBL의 우승팀 감독이 그 해 대표팀 감독을 맡는 주먹구구식 운영을 해왔다. 모비스가 2013~15년까지 챔피언 결정전 3연패를 달성하면서 유재학이 반쯤 강제로 전임 감독을 수행하며 인천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라는 성과를 거뒀으나, 유재학은 비시즌 훈련이나 외인 드래프트 등 소속팀의 중요한 업무는 반쯤 포기해야 했고, 개인 생활도 거의 포기해야 하는 강행군을 치러야 했다. 그럴 때마다 협회, 연맹은 '애국심' 운운하며 몰아세운 것은 덤. 국제 대회가 홈 앤 어웨이로 바뀌니 겨우 허재에게 전임 감독을 맡겼다.

  • 선수 선발 논란
선수가 부상이던 폼이 떨어졌건 그저 이름값으로 대표팀 선발을 하는 경우가 잦다. 과거 부상으로 거의 뛰지도 못한 방성윤, 하승진이나 미국에서 한창 적응 중이던 최진수, 폼이 완전 죽은 김태술 등. 그나마 이 문제는 추일승이 부임하면서 어느 정도 현재는 많이 해결된 편.

  • 부실한 지원
사실상 농구 국가대표팀 최악의 문제. 사실 좋은 환경 아래서 준비와 경기를 하는 종목이 많지는 않고, 그만큼 많은 지원을 바라기는 어려운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기존 규정조차[3]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기본적인 스태프 구성조차 못해주는 지원을 하면서 정작 기타 잡다한, 협회나 연맹이 주관하는 여러 대회들에 자신들의 면을 세우려고 대표팀 선수를 빼오는 등 행태가 만연하다. 나라를 대표해 출전하는 선수들이 직접 손빨래를 하는 모습은 오로지 농구 대표팀에서만 볼 수가 있다. 하승진은 유튜브를 통해 이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 정작 연맹에서는 원로들 의전에만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이면서 이와 대조된다.

  • 트렌드에 뒤쳐지는 전술
2020년대 들어 신장 열세에 놓인 팀들이 스피디한 농구로 좋은 성적을 내기 시작하면서 한국은 점점 더 아시아 변방으로 밀리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아시안게임에서 일본 3군에게 패배한 것[4]은 양 나라의 농구 실력 격차가 얼마나 벌어졌는지 그대로 보여준 수준이라 농구팬들이 할 말을 잃었을 정도. 지도자들이 여전히 2000년대 초반의 전술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5. 플레이 스타일[편집]


감독과 선수 구성에 따라 조금씩은 차이가 있을지라도 보통 양궁 농구라 불리며 외곽 찬스를 많이 노리고, 수비는 많은 활동량과 압박으로 메우는 스타일을 보여왔다. 이는 이충희, 문경은 등 뛰어난 슈터와 아시아에서는 수위급의 경쟁력을 가졌던 포인트 가드진 덕분이었다. 그에 반해 서장훈, 김주성, 하승진 등 한국 농구 역사에 손꼽는 빅맨들은 국제 대회에 나가면 왕즈즈, 야오밍, 이젠롄(이상 중국), 하메드 하다디(이란) 등 힘과 기술에서 몇 수는 더 위의 상대와 대적해야 했기 때문에 골밑은 항상 열세에 놓였다.

2017 아시아컵에서는 완전히 환골탈태한 스타일을 보여줬다. 장신 센터가 부족한 고질적인 약점과 많은 미스매치 발생을 극복하기 위해 스윙맨 라인에 임동섭, 전준범 등의 장신 슈터를 기용하고, 김선형, 박찬희 등 포인트 가드 역시 모두 185cm 이상의 장신으로 극복했다. 전체적인 활동량은 매우 많은데, 이를 수비보다는 공격으로 에너지를 돌려 쓰는 편.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체력 소모인데, 이를 커버하는 것이 바로 허재호의 장점인 벤치 생산력이다. 한국은 허웅, 이승현, 김선형, 전준범, 이정현, 임동섭까지 대부분의 1~3번 자원들이 3점슛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항상 높은 외곽 생산성을 보장한다. 이와 함께, 최준용을 이용한 드롭존 수비로 쏠쏠한 재미를 보기도 했다. 또한, 김선형과 박찬희를 중심으로, 이종현과 김종규가 롤맨을 맡는 속공은 큰 위력을 발휘한다. 빅맨들과의 핸드오프 후 외곽슛과 픽앤롤 생산성 역시 아시아 최상급이다. 애초에 아시아권에서조차 평균 정도인 신장이라 한국은 로우 템포+진흙탕 승부로는 중국, 이란 이상의 팀과의 대결에서 승산이 없다. 2017 아시아컵에서 FIBA 칼럼니스트들이 평했듯이, 월드클래스 센터가 나오지 않는 이상 대한민국은 빠른 템포 기반의 속공+높은 3점슛 생산성+골밑에서 장신 센터들을 어느 정도 상대할 수 있는 빅맨[5]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 비슷한 스몰라인업 패턴을 이용하는 수밖에 없다.

물론 수비 시에는 여전히 장신 센터들을 대적할 때의 한계가 있지만, 줄 점수를 주고 나머지 파생되는 공격을 막는다면 아시아 권에서는 센터진의 열세를 감당할만 하다. 하지만 농구 월드컵까지 시야를 넓힐 경우, 그리스의 괴물 센터 요아니스 보로우시스[6], 아이작 포투[7], 케빈 세라핀[8], 앤더슨 바레장 등 유럽 리그 네임드급~준 NBA급 빅맨들이 득실하며, 상위권 팀들의 경우 파우 가솔, 마크 가솔, 서지 이바카, 보리스 디아우, 앤드류 보것, 벤 시몬스,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루디 고베어, 자자 파출리아, 니콜라 요키치, 칼앤서니 타운스, 야니스 아데토쿤보 등 NBA에서도 준척에서 올스타, 혹은 그 이상의 All-NBA 팀 레벨의 특급 빅맨들이 있다. 이들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유망주들을 성장시켜 센터진을 탄탄하게 하는 것이 필수.

이런 장점은 2020년대 들어 완전히 사라져 라건아만 바라보고 경기하는 하이로우게임에 의존하는 상황이며 트렌드에 많이 뒤쳐진 상황이다. 오죽하면 일본이 옛날 농구를 한다고 한국팀과의 평가전을 꺼렸을 정도. 결국 트렌드에 맞춰 팀을 완전히 개선시킨 일본에게 무참히 무너졌으며 한국 농구 최악의 시기가 찾아온 상태다.

6. 역대 선수단[편집]



6.1. 2010년[편집]



6.1.1.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편집]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신장소속팀
4G박찬희1987년 4월 17일 (23세)190cm안양 한국인삼공사
5G이정석1982년 7월 6일 (28세)184cm서울 삼성 썬더스
6G양동근1981년 9월 14일 (29세)181cm울산 모비스 피버스
7C김주성1979년 11월 9일 (31세)205cm원주 동부 프로미
8C하승진1985년 8월 4일 (27세)221cm전주 KCC 이지스
9F이규섭1977년 7월 13일 (33세)198cm서울 삼성 썬더스
10G조성민1983년 12월 23일 (27세)190cm부산 kt 소닉붐
11F양희종1984년 5월 11일 (26세)194cm상무
12F함지훈1984년 12월 11일 (26세)198cm상무
13F김성철1976년 5월 16일 (34세)195cm안양 한국인삼공사
14C이승준1978년 3월 18일 (32세)205cm서울 삼성 썬더스
15C오세근1987년 5월 20일 (23세)200cm중앙대학교



6.2. 2014년[편집]



6.2.1. 2014 FIBA 농구 월드컵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5px-Spain_2014_FIBA_Basketball_World_Cup_logo.jpg 2014 FIBA 농구 월드컵 스페인 및
파일:2014 인천 아시안게임 로고.svg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명단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신장소속팀
4F문태종1975년 12월 1일 (38세)199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창원 LG 세이커스
5G박찬희1987년 4월 17일 (27세)19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양 KGC인삼공사
6G양동근 (주장)1981년 9월 14일 (33세)181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모비스 피버스
7G김태술1984년 8월 13일 (30세)18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KCC 이지스
8C이종현1994년 2월 5일 (20세)203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려대학교
9G김선형1988년 7월 1일 (26세)18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SK 나이츠
10G조성민1983년 12월 23일 (30세)19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kt 소닉붐
11F양희종1984년 5월 11일 (30세)194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양 KGC인삼공사
12C김주성1979년 11월 9일 (34세)205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주 동부 프로미
13F허일영1985년 8월 5일 (29세)195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양 오리온스
14C오세근1987년 5월 20일 (27세)20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상무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3세)20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창원 LG 세이커스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재학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훈재


6.3. 2015년[편집]



6.3.1. 2015 윌리엄 존스컵[편집]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신장소속팀
0C하승진1985년 8월 4일 (30세)221cm전주 KCC 이지스
1G김태술1984년 8월 13일 (31세)180cm전주 KCC 이지스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28세)191cm안양 KGC인삼공사
5G김선형1988년 7월 1일 (27세)187cm서울 SK 나이츠
6G양동근 (주장)1981년 9월 14일 (33세)181cm울산 모비스 피버스
7G박찬희1987년 4월 17일 (28세)190cm안양 KGC인삼공사
10F조성민1983년 12월 23일 (31세)190cm부산 kt 소닉붐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4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22F문태영1978년 2월 10일 (37세)194cm서울 삼성 썬더스
32C이종현1994년 2월 5일 (21세)203cm고려대학교
33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3세)197cm고양 오리온스
13F윤호영[9]1984년 6월 1일 (31세)197cm원주 동부 프로미



6.3.2. 2015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편집]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신장소속팀
1G김태술1984년 8월 13일 (31세)180cm전주 KCC 이지스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28세)191cm안양 KGC인삼공사
4F문성곤1993년 5월 9일 (22세)196cm고려대학교
5F최준용1994년 4월 4일 (21세)200cm연세대학교
6G양동근 (주장)1981년 9월 14일 (33세)181cm울산 모비스 피버스
7G박찬희1987년 4월 17일 (28세)190cm안양 KGC인삼공사
10G조성민1983년 12월 23일 (31세)190cm부산 kt 소닉붐
11C강상재1994년 12월 31일 (20세)200cm고려대학교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4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22F문태영1978년 2월 10일 (37세)194cm서울 삼성 썬더스
32C이종현1994년 2월 5일 (21세)203cm고려대학교
33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3세)197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6.4. 2016년[편집]


허재호 항목 참조.


6.4.1. 2016 윌리엄 존스컵[편집]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신장소속팀
1F최준용1994년 4월 4일 (22세)200cm연세대학교
3F최진수1989년 5월 11일 (27세)203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4G이재도1991년 8월 16일 (24세)179cm부산 kt 소닉붐
5G김선형1988년 7월 1일 (27세)187cm서울 SK 나이츠
6G허훈1995년 8월 16일 (20세)180cm연세대학교
7F변기훈1989년 1월 26일 (27세)187cm서울 SK 나이츠
9G허웅1993년 8월 5일 (22세)186cm원주 동부 프로미
11F허일영 (주장)1985년 8월 5일 (30세)195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5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23F강상재1994년 12월 31일 (21세)200cm고려대학교
31C김준일1992년 5월 7일 (24세)201cm서울 삼성 썬더스
32C이종현1994년 2월 5일 (22세)203cm고려대학교
33F이승현1992년 4월 16일 (24세)197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6.4.2. 2016 FIBA 아시아 챌린지[편집]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신장소속팀
1G김시래1989년 3월 22일 (27세)178cm상무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29세)191cm안양 KGC인삼공사
5G김선형1988년 7월 1일 (28세)187cm서울 SK 나이츠
6G허훈1995년 8월 16일 (21세)180cm연세대학교
9G허웅1993년 8월 5일 (23세)186cm원주 동부 프로미
10G조성민 (주장)1983년 12월 23일 (32세)190cm부산 kt 소닉붐
11F허일영1985년 8월 5일 (30세)195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2F정효근1993년 12월 14일 (22세)201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14C최부경1989년 6월 22일 (27세)200cm상무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5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31C장재석1991년 2월 3일 (25세)204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33F이승현1992년 4월 16일 (24세)197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6.5. 2017년[편집]



6.5.1. 2017 윌리엄 존스컵[편집]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나이)신장소속팀
1G허훈1995년 8월 16일 (21세)180cm연세대학교
2F최준용1994년 4월 4일 (23세)200cm서울 SK 나이츠
3G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6G허웅1993년 8월 5일 (23세)186cm상무
9G김선형1988년 7월 1일 (29세)187cm서울 SK 나이츠
13F임동섭1990년 12월 14일 (26세)198cm상무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6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17F전준범1991년 8월 27일 (25세)194cm울산 모비스 피버스
21F양홍석1997년 7월 2일 (20세)196cm중앙대학교
32C이종현1994년 2월 5일 (23세)203cm울산 모비스 피버스
33F이승현1992년 4월 16일 (25세)197cm상무
41C오세근 (주장)1987년 5월 20일 (30세)200cm안양 KGC인삼공사
43G이대성1990년 5월 30일 (27세)193cm울산 모비스 피버스 (임의탈퇴)




6.5.2. 2017 FIBA 아시아컵[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1987년 4월 17일 (30세)190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G최준용1994년 4월 4일 (23세)200cm서울 SK 나이츠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6G허웅1993년 8월 5일 (23세)186cm상무
9G김선형1988년 7월 1일 (29세)187cm서울 SK 나이츠
13F임동섭1990년 12월 14일 (26세)198cm상무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6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17F전준범1991년 8월 27일 (25세)194cm울산 모비스 피버스
21F양홍석1997년 7월 2일 (20세)196cm부산 kt 소닉붐
32C이종현1994년 2월 5일 (23세)203cm울산 모비스 피버스
33F이승현1992년 4월 16일 (25세)197cm상무
41C오세근 (주장)1987년 5월 20일 (30세)200cm안양 KGC인삼공사



6.5.3.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1R 윈도우 1[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1987년 4월 17일 (30세)190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G/F최준용1994년 4월 4일 (23세)200cm서울 SK 나이츠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5G김시래1989년 3월 22일 (28세)178cm창원 LG 세이커스
6G허훈1995년 8월 16일 (22세)180cm부산 kt 소닉붐
9G허웅1993년 8월 5일 (23세)186cm상무
11F양희종 (주장)1984년 5월 11일 (33세)194cm안양 KGC인삼공사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6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17F전준범1991년 8월 27일 (25세)194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32C이종현1994년 2월 5일 (23세)203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33F이승현1992년 4월 16일 (25세)197cm상무
41C오세근1987년 5월 20일 (30세)200cm안양 KGC인삼공사



6.6. 2018년[편집]



6.6.1.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1R 윈도우 2[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1987년 4월 17일 (30세)190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G/F최준용1994년 4월 4일 (23세)200cm서울 SK 나이츠
5F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30G두경민1991년 9월 22일 (26세)184cm원주 DB 프로미
6G허훈1995년 8월 16일 (22세)180cm부산 kt 소닉붐
3F/G허웅1993년 8월 5일 (24세)186cm상무
11F양희종 (주장)1984년 5월 11일 (33세)194cm안양 KGC인삼공사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6세)207cm창원 LG 세이커스
17F전준범1991년 8월 27일 (26세)194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28세)199cm서울 삼성 썬더스
41C오세근1987년 5월 20일 (30세)200cm안양 KGC인삼공사
14F/C최부경1989년 6월 28일(28세)200cm서울 SK 나이츠



6.6.2.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1R 윈도우 3[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 (주장)1987년 4월 17일 (30세)191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43G이대성1990년 5월 30일 (28세)193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G/F최준용1994년 4월 4일 (23세)200cm서울 SK 나이츠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6G허훈1995년 8월 16일 (22세)180cm부산 kt 소닉붐
9F/G허웅1993년 8월 5일 (24세)185cm상무
23F최진수1989년 5월 11일 (29세)203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2F정효근1993년 12월 14일 (25세)202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0C김준일1992년 5월 7일 (26세)201cm상무
13C/F강상재1994년 12월 31일 (24세)200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28세)199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33F/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6세)197cm상무


6.6.3. 2018 존스컵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 (주장)1987년 4월 17일 (30세)191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G김선형1988년 7월 1일 (30세)187cm서울 SK 나이츠
2G/F최준용1994년 4월 4일 (23세)200cm서울 SK 나이츠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6G허훈1995년 8월 16일 (22세)180cm부산 kt 소닉붐
11F허일영1985년 8월 5일 (32세)195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9F/G허웅1993년 8월 5일 (24세)185cm상무
17F전준범1991년 8월 27일 (26세)191cm상무
13C/F강상재1994년 12월 31일 (24세)200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0C김준일1992년 5월 7일 (26세)201cm상무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28세)199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33F/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6세)197cm상무



6.6.4.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2R 1윈도우[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 (주장)1987년 4월 17일 (30세)191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G김선형1988년 7월 1일 (30세)187cm서울 SK 나이츠
2G/F최준용1994년 4월 4일 (23세)200cm서울 SK 나이츠
23F최진수1989년 5월 11일 (29세)203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2F정효근1993년 12월 14일 (25세)202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8F안영준1995년 6월 28일 (23세)194.1cm서울 SK 나이츠
3F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17F전준범1991년 8월 27일 (26세)191cm상무
13C/F강상재1994년 12월 31일 (24세)200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0C김준일1992년 5월 7일 (26세)201cm상무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28세)199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33F/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6세)197cm상무



6.6.5.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2R 2윈도우[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1987년 4월 17일 (30세)191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G김선형1988년 7월 1일 (30세)187cm서울 SK 나이츠
30G두경민1991년 9월 22일 (27세)184cm신협 상무
3G이정현1987년 3월 3일 (30세)191cm전주 KCC 이지스
43G이대성1990년 5월 30일 (23세)190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12F정효근1993년 12월 14일 (25세)202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13F임동섭1990년 8월 29일 (28세)198cm신협 상무
11F양희종 (주장)1984년 5월 11일 (34세)194cm안양 KGC인삼공사
33F/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6세)197cm신협 상무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28세)199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41C오세근1987년 5월 20일 (31세)200cm안양 KGC인삼공사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7세)206cm창원 LG 세이커스



6.7. 2019년[편집]



6.7.1. 2019 FIBA 농구 월드컵 지역예선 2R 윈도우6[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1987년 4월 17일 (31세)191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G김시래1989년 3월 22일 (29세)178cm창원 LG 세이커스
3G이정현1987년 3월 3일 (31세)191cm전주 KCC 이지스
12F정효근1993년 12월 14일 (25세)202cm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13F임동섭1990년 8월 29일 (28세)198cm서울 삼성 썬더스
33F/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6세)197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30세)199cm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8세)206cm창원 LG 세이커스
6G이정현1999년 4월 14일 (20세)189cm연세대학교
8F안영준1995년 6월 28일 (24세)194.1cm서울 SK 나이츠
23F최진수1989년 5월 11일 (30세)203cm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1F양홍석1997년 7월 2일 (22세)195cm부산 kt 소닉붐


6.7.2. 2019 FIBA 농구 월드컵[편집]


파일:12034db2-e208-4c47-b633-20376987c03a.png 2019 FIBA 농구 월드컵 명단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 (나이) 신장 소속팀
1G박찬희1987년 4월 17일 (31세)19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G김선형1988년 7월 1일 (31세)18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SK 나이츠
6G허훈1995년 8월 16일 (23세)18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kt 소닉붐
43G이대성1990년 5월 30일 (29세)193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KCC 이지스
3G이정현1987년 3월 3일 (32세)191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KCC 이지스
2F최준용1994년 4월 4일 (25세)20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SK 나이츠
12F정효근1993년 12월 14일 (25세)201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상무
11F양희종1984년 5월 11일 (35세)194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양 KGC인삼공사
13F강상재1994년 12월 31일 (24세)20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33F이승현1992년 4월 16일 (27세)19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5C김종규1991년 7월 3일 (28세)20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주 DB 프로미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30세)199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KCC 이지스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상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상현


6.8. 2021년[편집]



6.8.1. 2021 FIBA 아시아 컵 예선 윈도우 3 및 2020 도쿄 올림픽 최종 예선[편집]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 2020 도쿄 올림픽 최종 예선 명단
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 (나이) 신장 소속팀
2G변준형1996년 3월 11일 (25세)185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양 KGC인삼공사
4G김낙현1995년 3월 12일 (26세)184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3G전성현1991년 11월 5일 (29세)189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양 KGC인삼공사
43G이대성1990년 5월 30일 (31세)193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F이현중2000년 10월 23일 (20세)202cm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슨 칼리지
10F문성곤1993년 5월 9일 (28세)196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양 KGC인삼공사
11F양홍석1997년 7월 2일 (24세)196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kt 소닉붐
8C하윤기1999년 3월 12일 (22세)204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려대학교
13C강상재1994년 12월 31일 (26세)20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상무
20C라건아1989년 2월 20일 (32세)199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 KCC 이지스
22C여준석2002년 3월 19일 (19세)203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용산고등학교
33C이승현1992년 4월 16일 (29세)19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상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우


6.9. 2023년[편집]



6.9.1.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편집]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명단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신장소속팀
0센터하윤기1999년 3월 12일(24)204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kt 소닉붐
1가드이정현1999년 3월 3일(24)18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가드허훈1995년 8월 16일(28)180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상무
3가드변준형1996년 3월 11일(27)185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상무
5가드김선형 (C)1988년 7월 1일(35)18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SK 나이츠
7가드이우석1999년 7월 10일(24)196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11포워드양홍석1997년 7월 2일(26)195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창원 LG 세이커스
12포워드문정현2001년 7월 30일(22)194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kt 소닉붐
15센터김종규1991년 7월 3일(32)20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주 DB 프로미
20센터라건아1989년 2월 20일(34)199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KCC 이지스
23포워드전성현1991년 11월 5일(31)189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33포워드이승현1992년 4월 16일(31)197c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KCC 이지스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추일승 |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훈재


7. 역대 성적[편집]



7.1. FIBA 농구 월드컵[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50불참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4진출 실패
파일:칠레 국기.svg 1959
파일:브라질 국기.svg 1963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67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19701라운드11위734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1974진출 실패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81라운드13위716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1982진출 실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61라운드11위73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901라운드22위505
파일:캐나다 국기.svg 19941라운드13위514
파일:그리스 국기.svg 19981라운드16위505
파일:미국 국기.svg 2002진출 실패
파일:일본 국기.svg 2006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0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41라운드23위505
파일:중국 국기.svg 20191라운드26위514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실격[10]
합계출전 8회46937


7.2. 올림픽[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베를린 1936년불참 (일제 강점기)[11]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1948년8강8835
파일:핀란드 국기.svg 헬싱키 1952년불참 (6.25 전쟁)
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1956년조별리그147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 1960년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1964년조별리그1690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시티 1968년조별리그14927
파일:독일 국기.svg 뮌헨 1972년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 1976년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1980년
파일:미국 국기.svg LA 1984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1988년조별리그9725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르셀로나 1992년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애틀랜타 1996년조별리그12707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2000년예선 탈락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테네 2004년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2008년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2012년
파일:브라질 국기.svg 리우데자네이루 2016년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2020년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2024년예선 불참
파일:미국 국기.svg LA 2028년?????
파일:호주 국기.svg 브리즈번 2032년?????
합계8강 (1회)6/3147839


7.3. FIBA 아시아컵[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1960년4강4936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 1963년4강3107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콸라룸푸르 1965년4강396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1967년준우승2981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969년우승1880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1971년4강3862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1973년준우승21091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975년4강386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콸라룸푸르 1977년준우승2871
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1979년4강3761
파일:인도 국기.svg 콜커타 1981년준우승2761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1983년4강375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콸라룸푸르 1985년준우승2651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987년준우승2871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1989년준우승2871
파일:일본 국기.svg 고베 1991년준우승298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자카르타 1993년4강365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1995년준우승286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1997년우승1871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오카 1999년준우승2862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2001년준우승2871
파일:중국 국기.svg 하얼빈 2003년준우승2871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2005년4강4853
파일:일본 국기.svg 도쿠시마 2007년4강3862
파일:중국 국기.svg 톈진 2009년8강7963
파일:중국 국기.svg 우한 2011년4강3972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2013년4강3972
파일:중국 국기.svg 창사 2015년8강6954
파일:레바논 국기.svg 베이루트 2017년4강375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자카르타 2022년8강6431
합계우승 (2회)31/3125519164


7.4. 아시안 게임[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
파일:인도 국기.svg 뉴델리 1951년불참 (6.25 전쟁)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1954년4위4624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1958년4위4844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자카르타 1962년동메달3862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966년동메달3761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970년금메달1871
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1974년은메달2743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978년은메달2981
파일:인도 국기.svg 뉴델리 1982년금메달199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1986년은메달2761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1990년동메달3752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시마 1994년은메달2651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998년은메달276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2002년금메달1770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2006년8강[12]5853
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2010년은메달276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2014년금메달177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자카르타·팔렘방 2018년동메달3651
파일:중국 국기.svg 항저우 2022년8강[13]7743
파일:일본 국기.svg 아이치·나고야 2026년?????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2030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2034년?????
합계금메달 (4회)12/131249826


7.5. 동아시안 게임[편집]


대회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1994년준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1997년준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오사카 2001년4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2005년4위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2009년우승[14]
파일:중국 국기.svg 톈진 2013년3위

2013년 톈진 대회를 끝으로 대회가 폐지되었다.


7.6. 동아시아 선수권 대회[편집]


대회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코마키 2009년우승[15]
파일:중국 국기.svg 난징 2011년우승[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 2013년우승[17]

FIBA 아시아 선수권의 동아시아 지역예선 개념으로 2009년부터 열렸으나, 2013년 인천 대회를 끝으로 더이상 열리지 않는다. 어차피 1위부터 4위까지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전부 FIBA 아시아 선수권까지 나갈 수 있다보니, 지역예선으로서의 권위가 없다.


7.7. FIBA 아시아 챌린지[편집]




7.8. 윌리엄 존스컵[편집]




8. 유니폼[편집]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유니폼 참고.


9. 둘러보기[편집]





[1] 대표팀 첫 전임 감독[2] 방열 회장으로 인해 경기이사직으로 2014년 이후 위성우와 함께 퇴임 이후 대표팀 행정 포함[3] 최준용을 199cm로 기재해 이코노미를 태워 보낸다던가.[4] 이 팀은 나중에 8강에서 대만한테 완패했다. 즉 이젠 대만보다 한국이 못하다고 해도 변명거리가 없다.[5] 라건아의 경우 어지간한 아시아권 빅맨들과는 수준 자체가 다르며, 실제로 이란의 하다디나 일본의 파지카스는 물론 뉴질랜드의 7푸터들과 같은 대형 센터들을 상대로도 꾸준히 좋은 활약을 펼쳐왔고, NBA에서도 수준급 센터로 평가받는 요나스 발렌슈나스와의 매치업에서도 파울 트러블에 걸리기 전까지는 대등한 활약을 보여줬다. 오세근은 건강하기만 하다면 라건아를 제외한 빅맨들 중 가장 완성도가 높은 플레이를 보여줄 수 있고, 이승현은 위 둘보다 작지만 강한 힘과 수비력을 바탕으로 가자미 역할을 톡톡히 해주며 외곽슛도 갖췄다. 여기에 림프로텍팅이 뛰어난 이종현과 신장 대비 훌륭한 기동성의 김종규 등, 적어도 아시아권 내에서는 나름대로 경쟁력 있는 골밑을 갖춘는 상황이다.[6] 그리스 대표팀 센터로, 2016년 리가 ACB MVP다.[7] 뉴질랜드 대표팀 센터로, 독일 리그 소속이다. 2017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이름값에 다소 못 미치는 활약을 보였다.[8] 프랑스 대표팀 센터로 FC 바르셀로나 소속의 센터.[9] 최종 엔트리에 뽑혔지만 부상으로 대회 참가는 못했다.[10] 1차예선 원정 포기로 인한 징계.[11] 공식적으로는 불참이었지만 일본 대표로 조선인 선수 장이진(1917-), 염은현(1914-1999), 이성구(1911-2002) 세 명이 참가했다.[12] 도하 참사라 불린다. 세대교체 실패, 안일한 선수 구성, 중동의 귀화 러쉬 등으로 역대 최악의 성적을 기록한다.[13] 2006년 도하 참사를 넘어서는 역대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14] 박찬희(경희대), 김선형(중앙대), 김현민(단국대), 김승원, 박형철(이상 연세대) 등 대학 선수들과 김봉수, 유병재 등 상무 선수들로 구성된 사실상 대표팀 2진이 출전하여, 결승에서 2009 톈진 FIBA 아시아 선수권 5위팀 타이완을 꺾고 우승했다.[15] 2위 일본 / 3위 중국.[16] 2위 일본 / 3위 중국.[17] 2위 중국 / 3위 일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2:05:45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