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654

덤프버전 :

||


파일:6654_5712.png
파일:6654_5266.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5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654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신풍역)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역)
종점
첫차04:50기점
첫차05:30
막차23:20막차00:00
평일배차11~14분주말배차11~14분
운수사명공항버스인가대수7대[1]
노선신풍역 - (→ 래미안에스티움 → 서울해군호텔 → 래미안에스티움 → 신풍역 →) - 신길5동주민센터 - 대영초중고 - 신길3동주민센터 - (→ 도림동자치회관 →/← 영등포푸르지오아파트 ← 영등포역후문 ←) - 대신시장 - 신길역 → 전경련회관 → 여의도환승센터 → 한국거래소 → 여의도지하차도입구 → 여의도공원 → 신길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공항버스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4.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영등포 16-9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당시 노선은 '영등포역후문 → 영등포푸르지오아파트 → 신길3동주민센터 → 도림사거리 → 우신초교앞 → 신길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역.신세계백화점 → 신길역 → 우신초교앞 → 영등포역후문' 이었고, 기점과 종점이 직선거리로 500m가 채 되지 않았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6654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9월 1일 회차 경로가 신길역 → 영등포역.신세계백화점 → 영등포시장 → 신길역으로 변경되었다.

  • 출발지점이 영등포역후문에서 영등포동.영등포푸르지오 아파트로 변경되었으나, 얼마 후 환원하였다.


  • 2017년 6월 26일에 다시 6649번이 나뉘면서 노선이 일부 부활했다. 영등포로터리에서 영등포역으로 가던 과거와 달리 6649번이 다니던 여의도 구간을 물려받았다. 또 해군회관, 신풍역 구간이 더해졌다. 관련 공지사항


  • 기존엔 해군회관(19-888) 정류소에서 운행을 마친 뒤 해군회관교차로앞 가마산로 79길에서 쉬었다 갔으나 주민들 민원으로 인해 바다마을아파트에서 운행이 끝난 뒤 바다마을아파트(19-338) 정류소에서 기다리다가 해군회관 회전교차로에서 회차하는 형식으로 변경했다.

  • 2019년 12월 7일에 기점이 해군회관에서 노선 중간에 있는 신풍역 3번출구로 변경되었고, 기점 첫/막차시각이 05:00/23:30에서 04:50/23:20으로 10분씩 앞당겨졌다. 관련 공문 그리고 여기서도 공회전 민원이 많이 나와 바다마을아파트(19-338) 대신 신풍역 3번 출구 남쪽에 있는 대방천로 이면도로에서 쉬었다 가는 걸로 바뀌었다.



4. 특징[편집]


  • 신길동 안쪽의 도신로를 지나 여의도로 가는 유일한 노선으로, 신길동과 여의도를 오갈 때 매우 편하다. 또한, 신길뉴타운, 해군회관 일대에서 신풍역을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다.

  • 다만 구 영등포구 마을버스 출신 버스답게 영등포동 일대 골목길을 경유하고, 전체적으로 굴곡 노선이며 느리게 다닌다. 예를 들어, 신길동과 여의도를 오갈 때 신길로나 도림로에 가까운 곳에서는 5618번, 5713번, 6713번을 타는 편이 낫다. 그 밖에도 해군호텔에서 여의도로 갈 때에는 영등포07번을 타고 다음 정류장에서 6713번으로 갈아타거나, 여의대방로 인근에서 여의도로 넘어가는 버스로 갈아타는 편이 다소 불편하더라도 훨씬 빠르며, 해군호텔 - 영등포역도 배차 간격에 맞추어 이동할 수 있다면 영등포06번을 타는 게 낫다.


  • 전기버스 충전소 확보 문제로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에서 예외로 인정받았다.

  • 상행노선은 신길동 행정동 전체(신길1,3,4,5,6,7동)를 경유한다. 하행노선은 영등포역 1,2,4번 출구(남쪽 출구 영신로 방면 출구, 이른바 영등포역 후문)앞에 정차하는 독점 경로를 가진다.

  • 공항버스 노선 중 2023년 9월 1일부터도 현금 승차가 가능하다. 신흥운수 출신노선은 예외로 두었기 때문이다.

  • 여담으로 고기집에서 잠깐 쉬다 다시 출발한다.[2]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5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7년1,839명-
2018년1,806명▽ 33
2019년1,891명△ 85
2020년1,469명▽ 422
2021년1,515명△ 46
2022년1,688명△ 173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7년 자료는 개통일인 6월 2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54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한국거래소
19158
유진투자증권
19283
여의도지하차도입구
19290
여의도환승센터
19007
이상 회차 구간
여의도공원
19152
전경련회관
19161
신길역5호선
19279
-
신길역1호선
19300
신길역1호선
19225
대윤병원
19229
-
대신시장
19230
대신시장
19228
영등포농협.신길2동새마을금고
19231
신길동홍어거리
19240
영등포역후문
19331
도림동자치회관
19236
꼬추말
19405
-
영등포동.영등포푸르지오아파트
19335
신길3동주민센터
19404
신길3동주민센터
19252
코끼리유통
19389
-
SG메디피움
19406
대영고등학교.신길센트럴아이파크
19827
대영초중고
19774
대영중학교.신길센트럴아이파크
19875
신길5동주민센터
19243
신길5동주민센터
19242
신풍역
19219
기종점신풍역
19289
래미안에스티움
19628
래미안에스티움
19304
-영진시장
19291
레미안에스티움북문
19353
레미안에스티움북문
19251
신길보라매sk뷰.바다마을아파트
19338
신길바다마을아파트.보라매sk뷰
19336
서울해군호텔
19880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A], 신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신길역, 여의도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여의도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A]


6. 둘러보기[편집]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 펼치기 · 접기 ]

103104172774
0017101410171114
1119112211261129
1130113111331136
1137114111421143
1162116412211226
2113211421154318
4433551956216617
6624664966547024
77268003
{{{-2 비고 * 2023년도 기준 38개 노선 * 시설개량 및 의견수렴 후 2024년도 재검토 예정
* 4318번은 풍납동 소속 차량만 해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17:15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665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6대 운행[2] 버스 주차하는 곳이 없어 고기 집 앞에서 몇 대 볼 수 있다.[A] A B 신풍역 방면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