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카리야킨

덤프버전 :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аря́кин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카랴킨
파일:Sergey Karyakin.jpg
출생1990년 1월 12일 (34세)
파일:소련 국기.svg

심페로폴
국적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이틀GM (2003)
Elo 레이팅2747 (2022년 9월 기준)
2788 (최고 레이팅, 2011년 7월 1일)
파일:Fide 아이콘.jpg

1. 개요
2. 경력
3. 기풍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аря́кин(러시아어: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카랴킨), Сергій Олександрович Карякін(우크라이나어:세르히 올렉산드로비치 카랴킨)

크림반도 태생의 러시아체스 기사.


2. 경력[편집]


5살 때 체스에 입문해 당시 역대 최연소인 11세 11개월이라는 나이에 인터내셔널 마스터 타이틀을 획득하고 2003년에는 역시 12세 7개월이라는 역대 최연소 기록으로 그랜드마스터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와 동갑인 체스 세계 챔피언 망누스 칼센은 13세 4개월이라는 나이에 GM타이틀을 획득했지만 카리야킨에게 밀려 2위가 되었다. 최연소 GM 기록은 2022년 인도계 미국인인 아비마뉴 미슈라에 의해 깨졌다.(12세 4개월)[1]

2015 FIDE 월드컵에서 Peter Svidler를 패-패-승-승-TB 승으로 꺾고 대역전 우승을 차지, 월드컵 우승자 자격으로 2016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하였다. 도전자 결정전에서도 이 기세를 이어가면서 4승 9무 1패로 우승을 차지하면서 망누스 칼센과 챔피언십을 치렀다. 스탠다드에서는 1승 10무 1패로 동률을 이뤘으나 타이브레이크에서 2무 이후 2패로 패배하며 타이틀을 가져오는데엔 실패했다. 대신 한 달 뒤에 있던 월드 블리츠 챔피언십에서 역시 칼센과의 타이브레이크 끝에 우승하며 절반의 설욕을 했다.

2021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에 타이틀 도전자로 나선 이안 네폼니아치의 세컨드로 활약하기도 했다.

체스 월드컵 2021에서 준우승을 거두며 2022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하였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며 FIDE에서 6개월 자격 정지라는 징계를 받아 출전 자격이 박탈되었으며, 빈 자리는 중국의 딩리런이 대타로 출전했다.

이런 FIDE의 조치에 대해 해외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되었다. 그동안 정치적인 입장을 표현했다는 사유로 체스계에서 출전 정지 조치를 취한 사례는 전무하며, 심지어 알레킨이나 바비 피셔와 같이 나치주의를 옹호하던 선수들도 스포츠맨쉽에 따라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는데, 이번 조치는 선수 개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했다는 것이 논점이다. 망누스 칼센 또한 이 조치의 모호함을 지적하면서 "모든 러시아 선수를 출전정지 시키든지, 모든 러시아 선수의 출전을 허용하든지 둘 중 하나만 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리고 대타로 출전한 딩리런이 러시아 선수인 이안 네폼니아치를 꺾고 제17대 세계 체스 챔피언에 등극하며, 의도하진 않았지만 러시아 출신 체스 챔피언의 탄생을 막는데 일조했다.


3. 기풍[편집]


방어에 능해 국방부 장관이라는 별명이 있다.

백으로는 거의 대부분 1.e4을 두며 흑으로는 e4 상대로는 베를린 디펜스, d4 상대로는 님조 인디언 디펜스를 선호한다.


4. 기타[편집]


푸틴 성향 때문에 다양한 구설수에 올랐다. 위의 우크라이나 전쟁 옹호도 그렇고, 2021년 월드 챔피언십(망누스 칼센 vs 이안 네폼니아치)에서 러시아의 GM 다닐 두보프가 칼센의 세컨드로 참여하자 매국 행위라며 두보프를 비판했다.

5. 둘러보기[편집]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 펼치기 · 접기 ]
연도장소디펜딩 챔피언도전자
1886파일:미국 국기(1877-1890).svg 미국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05파일:영국 국기.svg 요하네스 주커토르트
1889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파일:미국 국기(1877-1890).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0½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치고린
1890파일:미국 국기(1890-1891).svg 뉴욕파일:미국 국기(1890-1891).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0½파일:헝가리 국기.svg 이시도어 건즈버그
1892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2½10½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치고린
1894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미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몬트리올
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빌헬름 슈타이니츠712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1896파일:러시아 국기.svg 모스크바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12½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1907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10½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프랭크 J. 마셜
1908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뒤셀도르프
뮌헨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10½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지그베르트 타라시
1910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베를린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다비드 야노프스키
1921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파일:독일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59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192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부에노스아이레스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36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1929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15½10½파일:독일 국기.svg 에핌 보골류보프
1934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독일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15½10½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에핌 보골류보프
193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14½15½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오이베
193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오이베15½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FIDE 타이틀 (1948~1993) [ 펼치기 · 접기 ]
PCA 타이틀 (1993~2006) [ 펼치기 · 접기 ]
연도장소디펜딩 챔피언도전자
1993파일:영국 국기.svg 런던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가리 카스파로프12½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나이절 쇼트
1995파일:미국 국기.svg 뉴욕파일:러시아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10½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2000파일:영국 국기.svg 런던파일:러시아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
2004파일:스위스 국기.svg 브리사고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77파일:헝가리 국기.svg 페테르 레코
통합 타이틀 (2006~ )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3:24:11에 나무위키 세르게이 카리야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