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역 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1. 본선 1구간
1.1. 1단계
1.2. 2단계
2. 본선 2구간 (서해선, 경강선 공용 구간)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1. 본선 1구간[편집]



1.1. 1단계[편집]


  • 2025년 4월 개통 예정인 우선 착공된 안산시~여의도 구간이다.
  • 장래역으로 장하역(2026년 이후 개통)이 추가되었다. 역 신설 비용은 지자체에서 부담하게 된다.
  • 급행 정차역은 빨간 글자로, 급행 통과역은 회색 글자로 표기하였다.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모두 가칭이다.
역번km역명승강장역 등급급행분기선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0.0여의도汝矣島■││■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서울특별시영등포구
1.8영등포永登浦■││■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3.2도림사거리道林四거리■││■
4.0신 풍新 豊■││■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5.2대림삼거리大林三거리■││■
6.1구로디지털단지[1]九老디지털團地■││■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관악구
7.8신독산新禿山■││││■금천구
9.6시흥사거리始興四거리■││■
11.5석 수[2]石 水■││■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14.4광 명[3]光 明■││■
(지하1층)
■││■
(지하4층)
시흥시청분기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4]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경기도광명시
18.8목 감牧 甘■││■시흥시
장 하獐 下■││■안산시 상록구
25.3성 포聲 浦■││■
27.0중 앙中 央■││■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안산시 단원구
28.3호 수湖水■││■
29.7한양대에리카캠퍼스漢陽大에리카캠퍼스■││■안산시 상록구


1.2. 2단계[편집]


  • 1단계 착공 이후 순차적으로 추진해나가기로 한 여의도~서울역 구간이다. 한강하저터널로 건넌다.
  • 수요는 있으나, 한강을 건너야 하고 도심지역을 통과해 1단계 사업과 동시에 진행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다고 판단해 1단계와 나누어 추진되고 있다.
  • 서울역공덕역 사이에 만리재역을 추가해 달라는 목소리가 있어 현재 타당성조사 중이다.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이 밝힌 역사 위치는 마포구 공덕동 4-11 부근이다. # 만리재역은 서울 지하철 10호선 추진 당시 계획에는 포함되어 있었으나, 신안산선으로 변경되어 추진되면서 낮은 경제성(B/C 0.57)으로 인해 2011년 최종적으로 제외된 바 있다. 당시 계획상 만리재역은 만리동고개 꼭대기에 위치해서 지하 5층 규모로 지어야 하기에 공사비가 많이 들어 제외되었다고 한다.
  • 이 구간이 건설된다면 GTX-A의 개통이 2024년 후반에 이루어졌을 경우 서울역은 6개, 공덕역은 5개 노선의 환승역이 된다.
  • 2020년 3월 국토교통부에서 기획재정부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기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발주하였다.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은 대한교통학회5월 수주하여, 계약 후 240일(8개월) 간의 과업을 진행한다. 2021년 2월 경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 결과를 가지고 2021년 상반기에 기획재정부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기사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는 3년 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 2023년 9월 27일, 넥스트레인의 모기업 포스코이앤씨국토교통부에 민자철도 사업의향서를 제출했다. 우선권을 받은 뒤 최초 제안서를 접수받으면 민자적격성 조사과정으로 넘어간다.
역번km역명승강장역 등급급행분기선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0.0서울역서울驛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GTX-A노선
서울특별시중구[5]
2.3공 덕孔 德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마포구
4.8여의도汝矣島■││■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영등포구


2. 본선 2구간 (서해선, 경강선 공용 구간)[편집]


시흥시가 주장한 노선안이 관철된 부분으로, 신안산선 열차만 단독으로 운영될 구간은 없고 타 노선, 타 열차와의 공용 구간으로 이루어져있다.



  • 원시~서화성남양의 경우 신안산선 열차의 차량기지 입고를 위해 필요한 구간으로, 서해선 소사~원시 구간과 서화성남양~홍성 구간 사이를 잇는다. 이 구간이 서해선이 아닌 신안산선으로 추진되는 것에는 나름의 사연이 있다. 서해선 전철 계획 3단계 고시에 들어있다가 해당 구간을 잘라다가 신안산선 시흥지선 사업고시로 넘긴 구간이다. 다만 서화성남양역~홍성역 구간이 간선철도 서해선 취급을 받는 것을 보아 실질적으로는 서해선을 공유하며 단지 건설사업 및 예산을 신안산선에 편입시켜놨다고 보는 게 맞다. 이렇게 꼬인 이유는 원래 신안산선은 2019~2020년 완공 예정이었고, 경강선 시내구간(판교~월곶)과 서해선 3단계구간(원시~소사선)은 2023~2025년 개통 예정으로 공사 스케줄이 신안산선과는 들어맞지 않았기 때문에 신안산선 시흥지선이 제때 개통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해당 구간을 잘라서 신안산선 사업고시쪽으로 넘긴 것이다. 한때는 신안산선이 오히려 티스푼 공사를 하고 있었기에 홍성까지의 서해선 일반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위해 다시 이 구간을 서해선으로 넘기자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서해본선사업이 먼저 진척되어 서화성남양역~원시역 사이가 끊어져 있으면 홍성에서 올라온 일반열차의 서울 진입이나 회차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장래역으로 매화역, 학온역이 추가되었다. 역신설비용은 지자체에서 부담하게 된다.
역번km역명승강장역 등급급행분기선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0.0광 명光 明■││■(지하1층)
■││■(지하4층)
본선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직결)
경기도 광명시
2.3학 온鶴 溫
3.9매 화梅 花경기도 시흥시
9.7시흥시청始興市廳│■││■│(지하2층)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직결)
파일:SeohaeLine_icon.svg






 11.0시흥능곡始興陵谷■││■ (지하3층)
 13.4달 미달 미■││■ (지하6층)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15.0선 부仙 府■││■ (지하3층)[6] 
 16.7초 지草 芝■││■ (지하3층)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18.1시 우時 雨■││■ (지하3층) 
 19.6원 시元 時■││■ (지하2층) 
 22.8국제테마파크國際테마파크│■││■│ (지상2층)경기도 화성시
 25.6서화성남양西華城南陽│││■││■│ (지상2층)
 33.1화성시청華城市廳■││■ (지상2층)
 44.4향 남鄕南■││││■ (지상2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문서의 r12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문서의 r12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29:43에 나무위키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로구의 경계에 있긴 하나 설계도상 관악구 신림동(행정동 조원동)에 위치할 예정이다.[2] 1호선과 달리 설계도상 신안산선 석수역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이 아닌 금천구 시흥동에 위치해 있다. 설계도로 봤을 때 역사의 대략적인 위치는 서울교통네트웍 시흥동차고지와 그 밑에 있는 원일스탠파이프 부지에 건설된다.[3] 통합 대합실이 지하 2층으로 설계되어 있어, 신안산선을 타려면 지상에서 대합실인 지하 2층으로 내려갔다가, 승강장인 지하 1층으로 올라가야 하는 특이한 동선 형태이다. 경의선, 공항철도 홍대입구역과 같은 형태이다.[4] 다만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적어도 1~2년 내로 폐지될 가능성이 높다.[5] 신안산선 서울역은 GTX 승강장과 함께 중구 봉래동2가에 만들어지며, 용산구 동자동이 아니다. 이렇게 되면 1,4호선과의 환승은 생각보다 무난해질 것이다. 통로만 잘 파면 경의선 플랫폼과도 연계가 가능하다. [6] 대피선 설치가 예정되어 있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