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심상정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제21대 대통령 선거/대권주자





1. 개요
2. 장점
2.1. 청년 여성에서의 선전
2.2. 진보 정당 유일 4선 의원
2.3.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도
3. 단점
3.1. 청년 남성에서의 부진
3.2. 4050대에서의 부진, 민주당 지지층의 외면
3.3. 군소정당으로서의 한계


1. 개요[편집]


정의당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심상정고양시 갑 국회의원에 대한 대권주자로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한 문서.


2. 장점[편집]



2.1. 청년 여성에서의 선전[편집]


심상정이 칩거를 한 시기를 제외하면 항상 1829 여성에서 10%를 상회하는 지지세가 나왔다. 20대 여성 인구가 그래도 전체 인구의 3% 정도가 된다는 걸 감안하면 이것도 영향이 없진 않다.

2.2. 진보 정당 유일 4선 의원[편집]


비례대표로 1번, 고양시 갑에서 3번을 했다. 특히 21대 총선에선 민주당 후보가 출마했음에도 7% 차이로 신승을 했을만큼 진보정당의 터줏대감으로 꼽히는 게 바로 심상정일 정도.

2.3.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도[편집]


노회찬, 조승수, 권영길, 강기갑 등이 정계 일선에서 벗어난 현 상황에서 소위 진보정당하면 십중팔구 심상정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선거에서 인지도가 영향력이 높다는 걸 감안하면 매우 좋은 이점이다.

3. 단점[편집]



3.1. 청년 남성에서의 부진[편집]


청년 여성층에서 선전한다는 점은 안철수와 같다 볼 수 있으나, 안철수와 달리 1829 남성에선 지지율이 처참하게 낮다. 1829 남성에서는 꽤 지지세가 나오고 1829 여성에서 부진하기 시작한 윤석열[1] 1829 남녀 모두에서 선전하던 안철수하고는 차이가 크다. 결정적인 원인은 정의당 및 심상정 후보의 강한 페미니즘 색채에, 메갈리아 옹호 논란에 대한 심상정 본인의 미흡한 대처다.

3.2. 4050대에서의 부진, 민주당 지지층의 외면[편집]


어쩌면 이재명·윤석열은 커녕 안철수에게조차 비비지 못하는 이유이자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4050대에서 지지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2] 심지어 육아 관련으로 여성의제에 관심이 많을 법한 40대 여성에서조차도 2~3% 정도에 그친다. 이들의 표심은 이번 대선에서는 이재명에게 압도적으로 쏠리고 있는 상태다. 두 정당의 이념차이가 확실히 갈라지며 민주당에서 정의당으로의 교차투표는 거의 멸종됐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19대 대선에서 심상정이 6% 정도로 선전한 건 40대 여성에서도 10%를 넘어서서였음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불리한 상황이다.

3.3. 군소정당으로서의 한계[편집]


안철수와 비슷한 이유인데, 만약 양당 사이에 접전이 심해지면 심상정 지지층의 일부가 민주당 이재명으로 교차투표를 할 수 있다. 이는 소위 군소정당으로써의 태생적 한계이다.

다만 위의 장점과 이재명의 1829 여성에서의 부진으로 이번엔 이런 교차투표가 안 일어날 가능성이 높았으나, 윤석열 캠프 측의 계속된 성별 갈라치기에 힘입어 선거 막판에는 1829 여성 표심도 이재명 쪽으로 대거 결집하였다. 거기다가 3040 여성에서도 부진하며 완전히 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7:39:39에 나무위키 심상정/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대표 이준석에 대한 비호감으로 1829 여성 지지층이 대거 이탈했다.[2] 안철수가 40대 부동층에게조차 일정 수준 소구력을 갖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초라하기 그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