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계 러시아인

덤프버전 :

파일:러시아 국장.svg 러시아의 민족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인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모르드바인카자흐
아제르바이잔인다르긴인우드무르트인마리인오세트인
벨라루스인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쿠미크인야쿠트인레즈긴인
부랴트인독일계 러시아인우즈벡투바인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페르시아인, 타지크
이란계 러시아인
칼미크인라크인
조지아인아슈케나짐몰도바인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터키인노가이인키르기스코미인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하카스인카렐인폴란드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야지디에벤키, 에벤족투르크멘사미족루툴인
아굴인리투아니아인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라트비아인에스토니아인
벱스인
축치인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쇼르인케레크압하스인나나이족
아시리아인아랍인나가이바크돌간인러시아 흑인
파슈툰인니브흐우디인인도계 러시아인샵수그인
위구르인케트인세르비아인이텔멘족몽골인
몽골계 러시아인
쿠만딘인헝가리인울치족텔레우트인탈리시인
체코인유카기르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타트인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슬로바키아인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티랑가
역사역사 전반
시대인더스 문명 · 베다시대 · 십육대국 · 마가다 · 난다 왕조 · 마우리아 왕조 · 쿠샨 왕조 · 굽타 왕조 · 팔라 왕조 · 델리 술탄국 · 무굴 제국 · 인도 제국 · 인도 자치령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인도 총리 · 인도/행정구역
외교외교 전반 · 영연방 · 상하이 협력기구 · Quad · BRICS · G20 · G4 · IPEF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경제경제 전반 · 인도 루피
사회사회 전반 · 카스트 제도
국방인도군 (인도 육군 · 인도 해군 · 인도 공군)
문화문화 전반 · 인도 신화 · 힌두교 · 요리 · 남인도 요리 · 커리 · 비르야니 · 인도/스포츠 · 인도 영화 · 인도 드라마 · 인도/관광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 · 힌디어 · 인도/언어 · 인도 공과대학교
인물고타마 싯다르타 · 아소카 대왕 · 찬드라굽타 1세 · 바부르 · 악바르 대제 · 샤 자한 · 아우랑제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 자와할랄 네루 · 마더 테레사 · 인디라 간디 · 나렌드라 모디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지리데칸 고원 · 인도 반도 · 히말라야 산맥
사회암살단
민족인도인 · 인도계 미국인 · 인도 유대인 · 인도계 영국인 · 인도계 프랑스인 · 인도계 러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계 캐나다인 · 재한 인도인 · 드라비다인
기타인도/인구 · 인도인 캐릭터


1. 개요
2. 역사
3. 문화
3.1. 언어
3.2. 종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인도계 러시아인러시아에 거주하는 인도인 또는 인도계 후손들이다. 생각보다 기원이 오래되고 역사가 깊은데, 1556년 아스트라한 칸국루스 차르국에 정복될 당시 아스트라한 시내에 소규모의 힌두교도 상인 공동체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러시아 제국의 창건자 표트르 대제는 아스트라한에 거주하는 힌두교도 무역상들을 만나서 대담한 후 힌두교도들도 러시아 제국의 신민으로 안전하게 사업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법을 제정했다고 한다. 참고로, 율리라는 이들을 따로 칭하는 명칭이 존재한다. 치가노프 또한, 인도인이라는 데서 유래한 성씨다.

집시계 러시아인들은 혈통상 인도계 러시아인과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인도계 러시아인으로 분류되는 것을 불쾌하게 여긴다. 집시계 영국인들과도 비슷한 경우다.


2. 역사[편집]


전통적으로 카스피 해를 거슬러 볼가 강 유역의 아스트라한 일대는 파슈툰인 등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 출신 무역 상인들이 종종 드나드는 지역이기도 했다. 러시아 제국은 인도와 18세기부터 공식적인 관계를 맺었다. 중앙아시아아프가니스탄를 통해 무굴 제국에서 러시아 제국과 교역을 한 적도 있었다. 무굴 제국이 영국에 의해 멸망하고 영국령 인도 제국이 세워진 뒤, 러시아 제국이 중앙아시아를 지배하면서 중앙아시아를 통해 인도와 러시아와의 교역은 잠시 줄어들었다.

1948년에 인도가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인도는 소련과 수교했다. 냉전당시에 소련으로 인도인 유학생들이 많이 왔고 소련에서 유학을 많이 했다. 90년대에 소련이 해체되고 러시아가 생겨나자 인도와 러시아는 수교했고 소련 해체 이후에도 인도인들이 러시아에 정착했다. 아프리카계 러시아인들과 다르게 인도계 러시아인들은 수가 적고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다. 오히려 러시아인들이 힌두교로 개종한 경우가 더 흔하다고 볼 수도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나 쿠바에서 소련으로 왔던 유학생들 및 1980 모스크바 올림픽 당시 모스크바를 방문했던 흑인들 상당수가 임신만 시켜놓고 잠적했던 것과 다르게 인도인 공산주의자들 중에는 이런 경우가 다소 드물었다.

인도계 러시아인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인물로는 블라디보스토크에 파견되어 소련군으로부터 잠수함 훈련을 받던 인도군 해군 장교 출신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스와티 레디(Swathi Reddy)를 들 수 있다.(혼혈 아님) 러시아에서는 스와티와 비슷한 "스베틀라나"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고 하며, 아버지가 훈련을 마치고 뭄바이로 돌아온 이후에는 톨리우드[1]에서 여배우로 데뷔하여 활약하고 있다.

3. 문화[편집]



3.1. 언어[편집]


인도계 러시아인들의 대부분이 북인도에서 온 경우가 많다 보니 힌디어화자들이 많은 편이다.[2] 그리고 영어러시아어를 대부분 구사한다.


3.2. 종교[편집]


인도계 러시아인들의 영향으로 러시아내에도 일부 힌두교 신자들이 존재한다. 러시아인들의 일부도 힌두교로 개종하는 경우도 있는 편이다. 일부 인도계 러시아인들 중에는 이슬람교시크교를 믿는 경우도 있고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한 경우도 있다. 특히 불가촉천민 출신 힌두교도 이민자가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2:09:53에 나무위키 인도계 러시아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인도 영화계[2] 다만, 남인도출신은 적은 편이라서 타밀어화자는 적다. 남인도계 러시아인들은 남인도 본토계 이민자보다는 인도와 러시아를 제외한 다른 나라(특히 냉전 시절 공산권이나 중립국이었던 나라)에 거주하다가 다시 러시아로 이주해온 남인도계 주민이 더 많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