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국회의원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1. 개요
3. 결과
3.1. 전국 개표 결과
3.2. 광역자치단체별 개표 결과
4. 정리


1. 개요[편집]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비례대표 개표 결과를 정리하는 문서.


2. 후보 목록 및 당선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국회의원/후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결과[편집]


파일: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 비례대표 결과.svg

3.1. 전국 개표 결과[편집]


일러두기
전국 비례대표
선거인수 : 42,100,398
투표수 : 24,430,476
투표율 : 58.0%
무효표수 : 669,499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1]비례대표
당선인 수
지역구
당선인 수[2]
1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7,960,27233.5017105
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69,74425.5413110
3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6,355,57226.741325
4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1,719,8917.2342
5
[[기독자유당|
파일:기독자유당 흰색 로고타입.svg
]]
626,8532.63
6
[[민주당(2014년)|
파일:민주당(2014년) 로고타입.svg
]]
209,8720.88
7
[[가자코리아|
파일:가자코리아 로고타입.svg
]]
27,1030.11
8
25,2270.10
9
11,9810.05
10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파일: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흰색 로고타입.svg
]]
12,1430.05
11
[[공화당(2014년)|
파일:공화당(2014년) 흰색 로고타입.svg
]]
12,2950.05
12
[[그린불교연합당|
]]
31,1410.13
13
[[기독민주당|
]]
129,9780.54
14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입.svg
91,7050.38
15
[[녹색당(대한민국)|
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입.svg
]]
182,3010.76
16
[[민중연합당|
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
145,6240.61
17
[[복지국가당|
파일:복지국가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670.08
189,7100.04
1916,4270.06
2016,4070.06
2186,4640.36

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비례대표 의석 수는 총 47석이다. 비례대표 의석은 정당 투표에서 3% 이상을 득표하였거나, 혹은 지역구에서 5석 이상의 의석을 획득한(=봉쇄조항을 넘긴) 정당만이 부여받는다. 비례대표 의석을 나누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직선거법 제189조에 근거함.)

  1. 봉쇄조항을 넘긴 각 당의 득표수를 분자로, 봉쇄조항을 넘긴 모든 정당의 득표수 총합을 분모로 하여 득표율을 재계산한다. 즉, 봉쇄조항을 넘기지 못한 정당이 받은 표는 계산에서 제외한다.
  2. 총 비례대표 의석 수에 1.에서 구한 환산 득표율을 곱한다. 이때, 소숫점은 5자리에서 반올림한다.
  3. 2.의 결과값에서의 정수부분만큼 각각 의석을 배분한다.
  4. 남는 의석을 소수부분이 큰 정당부터 차례대로 배분한다.

위의 방법을 이용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득표율 재계산 시의 분모는 22,105,479표. 새누리당: 47*(7,960,272/22,105,479) = 16.9249, 더불어민주당: 47*(6,069,744/22,105,479) = 12.9053, 국민의당: 47*(6,355,572/22,105,479) = 13.5130, 정의당: 47*(1,719,891/22,105,479) = 3.6568. 여기서 일단 정수부분만큼 각 정당에 의석을 배분해보면 새누리당 16석, 더불어민주당 12석, 국민의당 13석, 정의당 3석이다. 그러면 각 의석수의 합은 44석이다.

이는 비례대표 전체 의석수에서 3석이 부족한 숫자이다. 따라서 이 3석을 소수자리의 수가 큰 순인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순으로 하나씩 배분한다. 따라서 비례대표 득표율에 따른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새누리당 17석, 더불어민주당 13석, 국민의당 13석, 정의당 4석.


3.2. 광역자치단체별 개표 결과[편집]


서울특별시
선거인수 : 8,423,654
투표수 : 5,034,474
투표율 : 59.8%
무효표수 : 95,513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1,522,41730.8212
2더불어민주당1,280,88125.9335
3국민의당1,424,38328.832
4정의당420,2928.50
5기독자유당120,0132.42
6민주당27,1860.55
7가자코리아3,1300.06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4,4120.08
9개혁국민신당2,0010.04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1,9030.03
11공화당1,5600.03
12그린불교연합당3,6210.07
13기독민주당23,1880.46
14노동당13,6150.27
15녹색당56,0051.13
16민중연합당18,1290.36
17복지국가당2,9280.05
18친반통일당5340.01
19통일한국당2,3130.04
20한국국민당1,4320.02
21한나라당9,0180.18

부산광역시
선거인수 : 2,952,961
투표수 : 1,636,061
투표율 : 55.4%
무효표수 : 49,022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3]비고
1새누리당654,21441.2212
2더불어민주당422,91626.645
3국민의당322,69320.33
4정의당95,6226.02
5기독자유당36,5772.30
6민주당9,8030.61
7가자코리아1,5600.09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1,7530.11
9개혁국민신당6640.04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8920.05
11공화당8170.05
12그린불교연합당3,0870.19
13기독민주당7,0010.44
14노동당4,8220.30
15녹색당10,2140.64
16민중연합당4,6290.29
17복지국가당1,4580.09
18친반통일당1490.00
19통일한국당1,3130.08
20한국국민당8960.05
21한나라당59590.37

대구광역시
선거인수 : 2,031,478
투표수 : 1,113,056
투표율 :54.8 %
무효표수 : 35,564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4]비고
1새누리당571,77553.068
2더불어민주당175,72616.301
3국민의당187,76517.42
4정의당65,5026.07
5기독자유당27,8502.58
6민주당8,2660.76
7가자코리아2,0870.19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1,4280.13
9개혁국민신당4280.03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7130.06
11공화당7640.07
12그린불교연합당2,5510.23
13기독민주당5,5210.51
14노동당4,7160.43
15녹색당8,9900.83
16민중연합당3,2210.29
17복지국가당1,3980.12
18친반통일당2910.02
19통일한국당5720.05
20한국국민당7610.07
21한나라당7,1670.66

인천광역시
선거인수 : 2,379,666
투표수 : 1,323,196
투표율 : 55.6%
무효표수 : 34,815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5]비고
1새누리당430,68333.424
2더불어민주당327,69025.437
3국민의당346,30026.87
4정의당96,5387.49
5기독자유당40,0333.10
6민주당9,0670.70
7가자코리아1,2830.09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1,3530.10
9개혁국민신당5750.04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6810.05
11공화당4750.03
12그린불교연합당1,1830.09
13기독민주당8,5740.66
14노동당4,2220.32
15녹색당7,6570.59
16민중연합당5,2170.40
17복지국가당1,1310.08
18친반통일당1670.01
19통일한국당6490.05
20한국국민당5710.04
21한나라당4,3320.33

광주광역시
선거인수 : 1,158,598
투표수 : 713,886
투표율 : 61.6%
무효표수 : 12,261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20,1242.86
2더불어민주당200,62828.59
3국민의당374,30853.348
4정의당51,3907.32
5기독자유당13,3211.89
6민주당10,6461.51
7가자코리아6790.09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4500.06
9개혁국민신당2740.03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2210.03
11공화당1720.02
12그린불교연합당5050.07
13기독민주당2,8710.40
14노동당1,8200.25
15녹색당3,8080.54
16민중연합당18,7252.66
17복지국가당4330.06
18친반통일당1040.01
19통일한국당3260.04
20한국국민당3720.05
21한나라당4480.06

대전광역시
선거인수 : 1,214,402
투표수 : 712,143
투표율 : 58.6%
무효표수 : 15,682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215,64530.963
2더불어민주당196,38228.194
3국민의당189,06227.14
4정의당52,7817.57
5기독자유당20,4602.93
6민주당4,1300.59
7가자코리아5300.07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6010.08
9개혁국민신당2780.03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3070.04
11공화당2470.03
12그린불교연합당7310.10
13기독민주당3,8690.55
14노동당1,8260.26
15녹색당3,5930.51
16민중연합당2,5010.35
17복지국가당5750.08
18친반통일당9220.13
19통일한국당3130.04
20한국국민당2760.03
21한나라당1,4320.20

울산광역시
선거인수 : 937,421
투표수 : 554,631
투표율 : 59.2%
무효표수 : 16,753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6]비고
1새누리당197,38836.693
2더불어민주당122,46822.76
3국민의당113,35021.07
4정의당46,9078.72
5기독자유당13,3452.48
6민주당11,1282.06
7가자코리아7470.13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7870.14
9개혁국민신당2830.05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5030.09
11공화당3240.06
12그린불교연합당1,5160.28
13기독민주당2,8320.52
14노동당15,6242.90
15녹색당3,0820.57
16민중연합당3,0030.55
17복지국가당7950.14
18친반통일당710.01
19통일한국당3300.06
20한국국민당3730.06
21한나라당3,0220.56

세종특별자치시
선거인수 : 167,798
투표수 : 106,587
투표율 :63.5 %
무효표수 : 2,680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7]비고
1새누리당29,75528.63
2더불어민주당29,59128.47
3국민의당27,61926.58
4정의당9,2018.85
5기독자유당2,3052.21
6민주당1,7981.73
7가자코리아930.08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1070.10
9개혁국민신당580.05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480.04
11공화당410.03
12그린불교연합당1250.12
13기독민주당5340.51
14노동당2660.25
15녹색당7010.67
16민중연합당9590.92
17복지국가당940.09
18친반통일당1480.14
19통일한국당490.04
20한국국민당560.05
21한나라당3590.34

경기도
선거인수 : 10,034,919
투표수 : 5,768,325
투표율 : 57.5%
무효표수 : 127,810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1,821,24632.2819
2더불어민주당1,513,84926.8340
3국민의당1,521,24026.96
4정의당439,0717.781
5기독자유당146,8022.60
6민주당34,3810.60
7가자코리아4,6120.08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5,0770.09
9개혁국민신당2,3640.04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2,3810.04
11공화당1,9160.03
12그린불교연합당4,7240.08
13기독민주당32,0130.56
14노동당14,4510.25
15녹색당44,1430.78
16민중연합당29,9760.53
17복지국가당3,7700.06
18친반통일당5410.00
19통일한국당3,1910.05
20한국국민당2,1840.03
21한나라당12,5830.22

강원도
선거인수 : 1,277,858
투표수 : 736,891
투표율 : 57.7%
무효표수 : 29,534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8]비고
1새누리당307,00743.406
2더불어민주당169,28823.931
3국민의당136,55919.30
4정의당40,4575.71
5기독자유당20,2712.86
6민주당7,2251.02
7가자코리아1,0020.14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8370.11
9개혁국민신당4170.05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4230.05
11공화당5010.07
12그린불교연합당1,2520.17
13기독민주당4,0460.57
14노동당3,3860.47
15녹색당4,2640.60
16민중연합당3,0140.42
17복지국가당7860.11
18친반통일당1750.02
19통일한국당7230.10
20한국국민당7230.10
21한나라당5,0010.70

충청북도
선거인수 : 1,287,549
투표수 : 737,249
투표율 : 57.3%
무효표수 : 26,260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274,49738.605
2더불어민주당196,05527.573
3국민의당152,41121.43
4정의당40,1475.64
5기독자유당16,8632.37
6민주당6,5150.91
7가자코리아8520.11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6480.09
9개혁국민신당4980.07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4490.06
11공화당4650.06
12그린불교연합당1,0360.14
13기독민주당3,7000.52
14노동당2,0660.29
15녹색당3,7140.52
16민중연합당3,1540.44
17복지국가당6620.09
18친반통일당2,5440.35
19통일한국당6820.09
20한국국민당7030.09
21한나라당3,3280.46

충청남도
선거인수 : 1,683,854
투표수 : 934,429
투표율 : 55.5%
무효표수 : 35,395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331,97636.926
2더불어민주당243,24527.055
3국민의당202,45722.51
4정의당50,4265.60
5기독자유당27,9293.10
6민주당8,6120.95
7가자코리아9750.10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9190.10
9개혁국민신당5790.06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5010.05
11공화당5480.06
12그린불교연합당1,2300.13
13기독민주당6,2590.69
14노동당3,0110.33
15녹색당5,9360.66
16민중연합당4,9350.54
17복지국가당8540.09
18친반통일당2,1880.24
19통일한국당7900.08
20한국국민당1,0740.11
21한나라당4,5900.51

전라북도
선거인수 : 1,520,032
투표수 : 956,033
투표율 : 62.9%
무효표수 : 30,761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69,8687.551
2더불어민주당298,53732.262
3국민의당395,98442.797
4정의당75,3618.14
5기독자유당29,1233.14
6민주당20,5612.22
7가자코리아1,1180.12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2,0810.22
9개혁국민신당8290.08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4250.04
11공화당5580.06
12그린불교연합당1,0330.11
13기독민주당7,0400.76
14노동당2,6560.28
15녹색당5,5500.59
16민중연합당8,4990.91
17복지국가당7850.08
18친반통일당5540.05
19통일한국당1,2180.13
20한국국민당1,6360.17
21한나라당1,8560.20

전라남도
선거인수 : 1,567,192
투표수 : 997,524
투표율 : 63.7%
무효표수 : 36,392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54,3695.651
2더불어민주당289,79930.151
3국민의당458,77247.738
4정의당55,9525.82
5기독자유당28,6262.97
6민주당22,8722.37
7가자코리아1,8030.18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8490.08
9개혁국민신당7810.08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4240.04
11공화당6400.06
12그린불교연합당1,1620.12
13기독민주당6,2340.64
14노동당3,0690.31
15녹색당4,5070.46
16민중연합당24,1302.51
17복지국가당7600.07
18친반통일당5350.05
19통일한국당1,735(0.18
20한국국민당2,0740.21
21한나라당2,0390.21

경상북도
선거인수 : 2,242,016
투표수 : 1,270,113
투표율 : 56.7%
무효표수 : 58,796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703,92858.1113
2더불어민주당156,22712.89
3국민의당179,47714.81
4정의당63,0815.20
5기독자유당44,0013.63
6민주당11,2170.92
7가자코리아2,0410.16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1,5550.12
9개혁국민신당9550.07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9630.07
11공화당1,3410.11
12그린불교연합당3,1810.26
13기독민주당7,6100.62
14노동당4,8920.40
15녹색당6,7520.55
16민중연합당6,8060.56
17복지국가당1,5790.13
18친반통일당3880.03
19통일한국당9350.07
20한국국민당1,3930.11
21한나라당12,9951.07

경상남도
선거인수 : 2,719,668
투표수 : 1,549,255
투표율 : 57.0%
무효표수 : 53,039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658,36144.0012
2더불어민주당364,35424.353
3국민의당260,99917.44
4정의당97,6466.521
5기독자유당35,2322.35
6민주당13,8440.92
7가자코리아4,3010.28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2,0780.13
9개혁국민신당8410.05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1,1710.07
11공화당1,7580.11
12그린불교연합당3,8000.25
13기독민주당7,7640.51
14노동당10,1770.68
15녹색당10,5060.70
16민중연합당7,6060.50
17복지국가당1,9660.13
18친반통일당3350.02
19통일한국당1,1070.07
20한국국민당1,5070.10
21한나라당10,8630.72

제주특별자치도
선거인수 : 501,332
투표수 : 286,893
투표율 : 57.4%
무효표수 : 9,492표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 당선인 수비고
1새누리당97,01934.97
2더불어민주당82,10829.593
3국민의당62,19322.41
4정의당19,5177.03
5기독자유당4,1021.47
6민주당2,6210.94
7가자코리아2900.10
8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2920.10
9개혁국민신당1560.05
10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1380.04
11공화당1680.06
12그린불교연합당4040.14
13기독민주당9220.33
14노동당1,0860.39
15녹색당2,8791.03
16민중연합당1,1200.40
17복지국가당2930.10
18친반통일당640.02
19통일한국당1810.06
20한국국민당3760.13
21한나라당1,4720.53

4. 정리[편집]


새누리당은 비례대표에서마저도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역대 보수정당의 총선 득표율 중 최저 수준. 제 6공화국 성립 직후인 13대 총선 이후 최초로 범보수진영이 40%를 얻지 못하는 기록을 세웠다. 19대 총선때는 야권(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보다 2배 정도 많은 표를 받았던 부울경, 강원도에서도 야권(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이 새누리당을 앞섰다. 새누리당은 대구경북에서만 유일하게 야권에 앞섰다. 더불어민주당은 호남에서 득표율이 감소했지만, 부울경에서 약 3-5% 정도를 더 받았다. 국민의당은 호남에서 더민주에 승리했고, 부울경에서도 20%내외의 득표율로 선전하며 비례대표 득표율 2위라는 파란을 일으켰다.

[1]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비례대표 기준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셋째자리에서 반올림) 나온 것으로 판정.[2] 무소속 11석[3] 무소속 1석[4] 무소속 3석[5] 무소속 2석[6] 무소속 3석[7] 무소속 1석[8] 무소속 1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