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 이씨(광화당)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또 다른 후궁에 대한 내용은 귀인 이씨(내안당) 문서
귀인 이씨(내안당)번 문단을
귀인 이씨(내안당)# 부분을
, 또 다른 후궁에 대한 내용은 귀인 이씨(영보당) 문서
귀인 이씨(영보당)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귀인 이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의 후궁
중종 ~ 고종
[ 펼치기 · 접기 ]
역대 국왕 · 역대 왕비 · 환조 ~ 연산군 후궁
※ 정식 후궁 첩지가 있는 사람만 기재
※ 고종의 후궁 보현당 귀인 정씨, 광화당 귀인 이씨, 복녕당 귀인 양씨, 삼축당 김씨, 정화당 김씨는 대한제국 멸망 이후에 후궁이 되었으므로 조선의 후궁이었던 적이 없다.





대한제국 고종의 후궁
귀인 이씨 | 貴人 李氏
조선 고종의 후궁
귀인 이씨 | 貴人 李氏
완덕(完德)
출생1885년
사망1967년 11월 10일 (향년 83세)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삼청동 사저
능묘광화당묘(光華堂墓)
배우자고종 태황제
자녀슬하 1남
장남 - 이육(李堉, 1914 ~ 1916)
봉작궁인(宮人) → 숙원(淑媛) → 귀인(貴人)
당호광화당(光華堂)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광화당 귀인 이씨(光華堂 貴人 李氏, 1885년 ~ 1967년 11월 10일[1])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의 후궁이다.

2. 생애[편집]


본명은 이완덕(李完德)으로 유복한 중인계급 출생이며 13세에 고모의 소개로 경복궁 지밀에 세수간 나인으로 입궁했다.[1] 덕수궁의 궁인이었던 1914년 고종의 승은을 입고 왕자를 낳아 광화당(光華堂)이라는 당호를 받았다.[2] 그러나 왕자 이육은 1916년에 죽었다. 이육 외에 어려서 죽은 딸이 하나 더 있었다고도 한다.[3] 귀인 이씨는 고종이 죽고 난 후 같은 고종의 후궁이었던 삼축당 김씨와 함께 사간동 집에서 살았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제정된 구황실재산법의 구황족 범위에 포함되어 매달 10만환을 지급받았다.[4] 죽은 뒤에도 삼축당 김씨와 나란히 묻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5 03:06:41에 나무위키 귀인 이씨(광화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신명호, 《조선공주실록》, 역사의 아침, 2009, p.307[2] 《조선왕조실록》, 순종실록부록 5권, 7년(1914) 7월 3일[3] 최선경, 《왕을 낳은 후궁들》, 김영사, 2007, p.227[4] ““황족의 품위가 말이 아니오””. 한겨레21. 2006년 8월 24일. 2014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