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차강

덤프버전 : (♥ 0)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 아시아 ]
아시아
중국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아이허
동남아시아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아프리카 ]

[ 아메리카 ]



테차강
Techa river | река Теч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obol_basin.png
빨간 글씨로 쓰인 ЧЕЛЯБИНСКАЯ ОБЛАСТЬ(첼랴빈스크주) 근처에서 Теча 글씨가 쓰여 있는 강이다.

1. 개요
2. 방사능 오염
3. 관련 외부 링크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테차강은 토볼강의 지류이며, 러시아첼랴빈스크주쿠르간주에 위치한 강이다.


2. 방사능 오염[편집]


파일:external/s21.postimg.org/Chelyabinsk.jpg
파일:external/www.tipazheleznogorsk.narod.ru/026.jpg
파일:external/www.greenpeace.org/cows-graze-in-polluted-flood-l-2.jpg

이 지역에는 예로부터 강가를 따라 40개의 마을이 있어왔다. 이 강이 흘러드는 오조르스크시에 마야크 재처리 공장이 들어서고 난 후, 공장에서 방출된 방사능 폐기물로 인해 이 중 23개의 마을이 심각하게 피폭당하면서 약 45만 명의 주민들이 모두 마을을 떠났다. 이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피폭자의 20배가량이다.

러시아 정부는 키시팀 사고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중저준위 방사능 폐기물을 이 강에 버려 왔으며, 2001년에서 2004년 사이에만 해도 3-4억 리터가량의 스트론튬-90을 포함한 방사능 폐기물을 방사했다. 참고 기사.

현재는 민간인 출입이 허용된 지역에서도 대량의 방사능이 검출 중이다. 위 사진이 테차강 주변에서 가이거 계수기로 측정한 결과며, 눈금은 시간당 3밀리렘(30마이크로시버트가량에 해당한다.)[1]을 가리키고 있다. 이 정도면 자연 방사선량의 최소 100배다.

여기서 30μSv/h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262.8mSv/yr(0.26Sv/yr)이며, 몇 년씩 살 경우 피폭량이 시버트 단위로 올라간다. 급성 피폭의 경우 2~3시버트면 한 달 후에 숨질 가능성이 35%로 증가하며 4시버트면 반수치사량에 해당될 정도로 많은 양이다. 단, 이것은 급성 피폭 기준이며 가령 3~4시버트가 오랜 시간동안 조금씩 피폭이 누적되어 달성된 경우는 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고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줄어든다. 그렇지만 저 방사능이 절대 적은 것은 아니며, 저 지역에서 4~5개월가량만 머물러도 영구적인 발병 확률 증가 수치인 100밀리시버트에 도달한다.

공간 방사선량뿐만 아니라, 강에서 잡힌 생선과 주변 지역에서 재배된 채소에서 모두 허용치를 초과할 만큼의 방사능 수치가 나타나고 있다.


3. 관련 외부 링크[편집]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9 23:16:55에 나무위키 테차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반적으로 자연에서 나오는 방사능은 많아야 0.003Sv/yr 정도인데, 저 수치를 연간 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0.26Sv/yr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