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잠정목록

덤프버전 :




1. 개요
2. 한국의 잠정목록
2.1. 대한민국
2.2. 북한[1]
2.3. 등재 시도 중
2.3.1. 문화유산
2.3.2. 자연유산
2.3.3. 복합유산
3. 해외의 잠정목록
3.1. 미국
3.2. 프랑스
3.3. 일본


1. 개요[편집]


Tentative Lists

잠정목록이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희망하는 회원국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하는 자국의 세계유산 후보 목록이다. 세계유산 심사는 잠정목록을 대상으로 하므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려면 반드시 잠정목록을 거쳐야 한다.

이 중 등재 보류/불가 판정이 나온 유산들이 많고 오래 잠정목록으로 남아있으면 국가지자체에서 예산을 편성하여 대규모의 지원을 하지 않는 이상은 등재를 장담키가 어렵다. 이 때문에 등재 보류된 것들 정도라는 인식이 있지만, 애초에 모든 세계유산이 이 단계를 거쳐 등재된다.

이는 자격 있는 유산만이 올라가고 요건을 충족하지 못 하는 유산만 남아있어 보이는 오해에 가깝다. 잠정목록이란 등재 반려된 유산 모음집이 아닌 세계유산으로 가는 길의 중간단계이다.

2. 한국의 잠정목록[편집]



2.1. 대한민국[편집]




※ 볼드체 : 우선 등재목록 / 괄호 : 잠정목록 등재 시기
  • 강진 도요지[확대추진1](1994.9.)
  • 설악산 천연 보호구역(1994.9.)
  • 남해안 일대 공룡 화석지(2002.1.)
  • 울산 반구천 일대 암각화(2010.1.)
  • 중부내륙 산성군(2010.1.)
  • 염전(2010.1.)
  • 우포늪(2011.1.)
  • 외암마을[재추진](2011.3.)
  • 낙안읍성[확대추진2](2011.3.)
  • 조선 수도성곽과 방어산성(2012.11.)
  • 화순 운주사 석불석탑군(2017.1.) #
  • 양주 회암사지(2022.7.) #
  •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2022.12.) #
  • 여수/고흥/무안 갯벌[추가등재](2023.4.) #

2.2. 북한[2][편집]



2.3. 등재 시도 중[편집]


※ 실제로 정부나 공공기관, 민간단체에서 등재를 준비하겠다고 밝힌 유산만 기재

2.3.1. 문화유산[편집]


  • 서대문 형무소 #
  • 덕수궁 #
  • 서울 암사동 유적신석기 유적[3] #
  • 연천 전곡리 유적[4] # #
  • 망우리공원[5] #
  • 거제 포로수용소 # #
  • 충남 천주교 유적[6] #
  • 대구 팔공산 불교유산 #
  • 조선왕조 태실[7]
  • 강화, 김포 해양관방유적[8]
  • 남한강 유역의 불교사원 유적
  • 용산공원[9]
  • 성균관문묘[10]
  • 완도군 일대 문화경관 자원[11]
  • 강원도 석탄 산업 유산 #
  • 정조대왕 신도시 유적[12]
  • 마한역사유적지구 #
  • 강화도 고려왕릉(개성역사유적지구 추가)[13]
  • 소록도 #
  • 서산마애삼존불 등 마애불 #
  • 안성(#), 충남(#) 향교
  • 기독교 선교 유적[14]
  • 경북(#) 누각정자
  • 영천 청제[15] #
  • 의림지 #
  • 파주(#), 북한(#) 고인돌(고인돌 추가)
  • 영산강 고대 유적 #
  • 제주 돌 문화 경관 #
  • 원주 폐사지 #
  • 문경새재문경 문화유산 #
  • 청평사 고려선원[16]
  • 진도 운림산방[17] #
  • 대구 경상감영 · 달성 · 읍성 #
  • 종가 #
  • 벽골제 #
  • 한성백제 유적(백제역사유적지구 추가)[18] #
  • 통제영 #
  • 장수 삼봉리·동촌리 고분군(가야고분군 추가) #
  • 후백제역사유적지구 #
  • 항구도시 인천: 근현대 세계사의 증거[19] #
  • 부안 죽막동 고대해양제사유적 #
  • 팔만대장경 판각지 #
  • 아차산 일대 보루군 #
  • 광주 조선백자요지 #
  • 용인 고려백자요지 · 옹기가마터 #
  • 중도유적 #
  • 강화도 역사유적지구 #
  • 남해 죽방렴 어업 #

2.3.2. 자연유산[편집]


  • 소천굴 · 수월봉 · 차귀도 · 용머리해안[20], 용천굴#(제주 동굴·화산지형 추가)
  • 청송군 주왕산 일대 꽃돌[21] 형성지
  • 경기도 비무장지대[22]
  • 울릉도
  • 강화 · 영종 · 송도갯벌[23], 화성갯벌#, 광포만#, 아산만#(한국의 갯벌 추가)
  • 무등산권(#)
  • 울진 금강송 #
  • 계룡산 #
  • 지리산 #
  • 백두대간 #
  • 한강 하구 습지 #
  • 금강 하구 갯벌 및 철새도래지 #
  • 무등산 주상절리#
  • 부산 낙동강 하구 #

2.3.3. 복합유산[편집]


  • 오대산[24]
  • 한탄강 일대[25] #
  • 신안 당산림 #

3. 해외의 잠정목록[편집]



3.1. 미국[편집]


  • 민권운동 유적(2008년)
  • 데이턴 항공 유적(2008년)
  • 토머스 재퍼슨 빌딩(2008년)
  • 마운트 버논(2008년)
  • 서펜트 마운드(2008년)
  • 오케페노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2008년)
  • 페트리파이드 포레스트 국립공원(2008년)
  • 화이트 샌즈 국립기념물(2008년)
  • 브루클린 대교(2017년)
  • 앨리스 섬(2017년)
  • 센트럴파크(2017년)
  • 초기 시카고 고층빌딩(2017년)
  • 태평양 원거리 도서지역 해양 국립기념물(2017년)
  • 캘리포니아 해류 보존구역(2017년)
  • 마리아나 해구 해양 국립기념물(2017년)
  • 미국령 사모아의 해양 보호구역(2017년)
  • 빅벤드 국립공원(2017년)
  • 모라비아 교회 정착지(2022년)

3.2. 프랑스[편집]


  • 카르나크 거석 유적지(1996년)
  • 생드니 대성당(1996년)
  • 루앙:목재 골조 도시(1996년)
  • 보르 비콩트 성(1996년)
  • 유럽 북서부 저지대 요새도시(1996년)
  • 생 빅투아르 산과 폴 세잔 유적지(1996년)
  • 남프랑스 응결동굴 단지(2000년)
  • 바누아즈 국립공원(2000년)
  • 몽블랑 대산괴(2000년)
  • 카마르그 습지(2002년)
  • 보니파시오 해협(2002년)
  • 애크랭 국립공원(2002년)
  • 포트 크로스 국립공원(2002년)
  • 게랑드 소금습지(2002년)
  • 피레네 산맥의 지중해 해안(2002년)
  • 마르세유 만(2002년)
  • 나르보네즈 고대도시(2002년)
  • 세르다뉴선(2002년)
  • 프랑스 국립 항공우주 연구센터(2002년)
  • 생 호노라 섬(2022년)
  • 피크 뒤 미디 드 비고르 산(2022년)

3.3. 일본[편집]


  • 고도 가마쿠라의 신사와 사원 등(1992년)
  • 히코네 성(1992년)
  • 아스카-후지와라 고대 일본 수도 유적군(2007년)
  • 사도광산 유적군(2010년)[26]
  • 히라이즈미 - 불국토를 나타내는 건축·정원 및 고고학적 유적군(2012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2:54:15에 나무위키 세계유산 잠정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북한의 5개 잠정목록 유산들은 모두 2000년에 등재된 것이다. 북한은 1989년 백두산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시켰으나, 어째서인지 세계자연유산 잠정목록에는 등재시키지 못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단독으로 'Vertical Vegetation Landscape and Volcanic Landscape in Changbai Mountain'라는 이름으로 백두산을 잠정목록에 등재시켰다.[확대추진1] 항목에 나오듯 부안군, 해남군도 함께 추진하고 이름도 고려청자요지로 바꾸려 하나 아직 잠정목록 상 명칭은 안바뀜. 항목 참조.[재추진] 2021년 재추진에 들어갔다.#[확대추진2] 21세기 들어 수차례 시도하다가 2022년 순천시가 진주시, 서산시, 고창군을 끌어들여 진주성, 해미읍성(서산), 고창읍성•무장읍성(고창)을 함께 추진하고 추가 지역도 모집해서 협의체를 만들겠다고 한다. 추진명은 '한국의 읍성'#[추가등재] 한국의 갯벌 추가등재[2] 참고로 북한의 5개 잠정목록 유산들은 모두 2000년에 등재된 것이다. 북한은 1989년 백두산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시켰으나, 어째서인지 세계자연유산 잠정목록에는 등재시키지 못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단독으로 'Vertical Vegetation Landscape and Volcanic Landscape in Changbai Mountain'라는 이름으로 백두산을 잠정목록에 등재시켰다.[3] 암사동 유적은 신석기시대 최대의 마을 유적 중 하나로,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 전역과 시베리아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뾰족한 기형상의 특징과 정교한 시문양식은 한반도 중서부지역, 즉 암사동에서 완성된 것으로 후빙기인류 예술 발달과정을 볼 수 있는 하나의 초석이 되는 유적. 이후 부산 동삼동 패총과 양양 오산리 주거지 유적도 합세하기도 했다.[4] 1978년 동아시아 최초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발견돼 세계 구석기 연구의 대전환을 가져온 유적.[5] 서울의 페르라쉐즈묘지한국 근현대사에 발자취를 남긴 독립운동가, 문학인 같은 유명인사들의 묘소가 밀집한 곳이다. 이와 같은 사례가 드문 만큼 인문학적, 역사적 보존가치가 높다. 만해 한용운을 비롯하여 이중섭, 방정환의 묘소가 이곳에 있다.[6] 천주교 대전교구공세리성당 등 근대 성당건축과 해미읍성 성지, 솔뫼성지를 비롯한 종교박해와 건축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유적들이 즐비하다.[7]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등 경기, 경북, 충남#, 충북 지역 수십곳. 지자체 간 협의중.#[8] 주민재산권 문제로 강화군이 미적지근한 행보를 보이자, 김포시에서 단독 등재추진 중이다.[9] 일제강점기의 건물과 미군의 건물이 동시에 공존하는 것으로 가치가 높다.[10] 서울에서 베트남과 중국의 문묘와 함께 공동등재를 추진하고 있다.[11] 보길도 윤선도 원림, 청산도 구들장 논(#), 청산 상서리, 여서리 돌담, 완도수목원, 보길도 해변 상록수림 등#[12] 화성행궁 등 6곳을 왕릉과 수원화성을 엮어 올렸다가 반려됨.# 여기 포함된 독산성#이 이전 단독 추진한 바 있다.[13] 북한의 개성 고려왕릉 등재 때에도 함께 올리려다 실패한 후 2023년 또 말이 나오지만 남북관계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어 미지수다.#[14] 전남충북[15] 신라가 판 저수지 및 기록비[16] 현존 유일한 고려 정원이며 일본 선(禪) 정원보다 이르니 원조라는 주장도 나온다.#[17] 200여년 5대에 걸쳐 화가가 배출된 곳.[18] 풍납토성몽촌토성, 방이동 고분군, 석촌동 고분군, 삼성동토성 # 위의 반대 운동 문단에 나오는 건이다.[19] 앞서 일본군 식민지배 시설을 올리려다 무산 #[20] # 이후 2018년 웃산전굴·북오름굴·대림굴이 추가등재돼 나머지는 다음 기회를 노리게 된다.#[21] 주왕산 항목 참조[22] 아직은 계획에 불과하기에 어떤 방식으로 어떤 지역으로 할지 정해지진 않았지만 복합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식과 북한과의 공동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23] 다만 많은 주민들이 반대하는 중이고 강화갯벌도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의 반대로 추진을 엎은 적이 있다.#[24] 월정사, 상원사 등 복합#[25] 구석기 유적 포함 복합[26] 다만 등재 가능성이 낮은데, 타국의 반대가 있으면 등재가 막히는 안건이 통과됐고, 근대유산이 등재됐을 때 약속한 조선인 징용 명시도 안지켜서 한국 등이 분노하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