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1. 개요
2. 당선인 결정 방식
2.1. 의석 할당 정당
2.2. 의석 수 배분
2.2.1. 30석(준연동형)
2.2.2. 17석(병립형)
2.3. 예시
3. 정당 기호
4. 개표 결과
4.1. 의석 수 배분
4.2. 계산
6. 광역자치단체별 개표 결과
6.1. 서울특별시
6.2. 부산광역시
6.3. 대구광역시
6.4. 인천광역시
6.5. 광주광역시
6.6. 대전광역시
6.7. 울산광역시
6.8. 세종특별자치시
6.9. 경기도
6.10. 강원도
6.11. 충청북도
6.12. 충청남도
6.13. 전라북도
6.14. 전라남도
6.15. 경상북도
6.16. 경상남도
6.17. 제주특별자치도
7. 시군구별 1위 정당
8. 기타


1. 개요[편집]


제21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

비례대표

비율

19석

40.4%


17석

36.2%


5석
10.6%

3석
6.4%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3E98; font-size: .9em"
열린민주당
3석
6.4%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국회의원 선출 방식을 설명하고 후보자 명단, 개표 결과를 서술하는 문서.

2. 당선인 결정 방식[편집]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계산기(엑셀)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계산기(사이트)

2.1. 의석 할당 정당[편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당(의석할당정당)에 대하여 비례대표국회의원의석을 배분한다.

1. 임기만료에 따른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에서 전국 유효투표총수의 100분의 3 이상을 득표한 정당

2. 임기만료에 따른 지역구국회의원선거에서 5 이상의 의석을 차지한 정당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동일하게 지역구 당선인을 5석 이상 배출하거나, 비례대표 득표율 3% 이상 득표하는 정당에만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도록 하는 봉쇄조항이 적용되었다.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의석 할당 정당에 대해서만 비례대표 의석이 배분된다.

2.2. 의석 수 배분[편집]



2.2.1. 30석(준연동형)[편집]


공직선거법의 개정으로 이번 선거부터 지역구 선거 결과가 비례대표 의석 배분에 제한적으로 연동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해서는 공직선거법 부칙에 의하여 연동형으로 배분되는 의석은 최대 30석으로 제한한다.

다음과 같은 계산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정한 연동 배분 의석 수만큼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을 각 의석 할당 정당에 배분한다. 이 경우 연동 배분 의석 수가 1보다 작으면 해당 정당의 연동 배분 의석 수는 0으로 한다.

  • 연동 배분 의석 수 = {(국회의원 정수 - 의석할당정당이 추천하지 않은 지역구(무소속) 국회의원 당선인 수) × 해당 정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득표비율-해당 정당의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인 수} ÷ 2

각 의석 할당 정당별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가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 정수에 미달할 경우 각 의석 할당 정당에 배분할 잔여 배분 의석 수는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정한다. 정수의 의석을 먼저 배정하고 남은 의석은 소수점 아래 숫자가 큰 순으로 각 의석 할당 정당에 1석씩 배분하되, 그 수가 같은 때에는 해당 정당 사이의 추첨에 따른다.

  • 잔여 배분 의석 수 = (30 - 각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 ×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득표비율

반면 각 정당별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가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 정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출된 조정 의석 수를 각 의석 할당 정당의 연동 할당 의석으로 한다.

  • 조정 의석 수 = 30 × 연동 배분 의석 수 ÷ 각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

2.2.2. 17석(병립형)[편집]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 정수에서 30석을 뺀 수(17석): 각 의석 할당 정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득표비율에 17을 곱하여 산출된 수의 정수의 의석을 해당 정당에 먼저 배분하고 잔여 의석은 소수점 이하 수가 큰 순으로 각 정당에 1석씩 배분하되, 그 수가 같은 때에는 해당 정당 사이의 추첨에 따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3.2.1;"
, 13.2.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3.2.1;"
, 13.2.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2.3. 예시[편집]


의석
할당
정당

새누리당(지역구 105석, 비례 33.5%)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10석, 비례 25.5%)
국민의당(지역구 25석, 비례 26.7%)
정의당(지역구 2석, 비례 7.2%)
비할당
기타(지역구 0석, 비례 7.1%)
무소속(지역구 11석)

국회의원
정수

-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
연동
대상

300
11
289

연동
대상

×
정당 득표율
=
비율에 따른
의석수

289
● 33.5%
● 25.5%
● 26.7%
7.2%
● 96.8
● 73.7
● 77.2
20.8

비율에 따른
의석 수

-
지역구
당선인

=
연동형
의석수

● 96.8
● 73.7
● 77.2
20.8
● 105
● 110
● 25
2
● 0
● 0
● 52.2
18.8

연동형
의석수

×
연동률
적용

=
준연동형
의석수

● 52.2
18.8
50%
● 26.1
9.4
(합 35.5)

CAP
적용 여부

(35.5)
30 이하

→적용 안 함
30 초과
🚩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
CAP
적용

=
조정
의석수

● 26.1
9.4
84.5%
● 22
8
(합 30)

정당
지역구
준연동형
(CAP 조정)

병립형
총합
새누리
105석
0석
6석
111석
더민주
110석
0석
5석
115석
국민
25석
22석
5석
52석
정의
2석
8석
1석
11석
무소속
11석
0석
0석
11석
합계
253석
30석
17석
300석

의석
할당
정당

새누리당(지역구 105석)
비례위성(비례 33.5%)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10석)
비례위성(비례 25.5%)
국민의당(지역구 25석, 비례 26.7%)
정의당(지역구 2석, 비례 7.2%)
비할당
기타(지역구 0석, 비례 7.1%)
무소속(지역구 11석)

국회의원
정수

-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
연동
대상

300
11
289

연동
대상

×
정당 득표율
=
비율에 따른
의석수

289
● 33.5%
● 25.5%
● 26.7%
7.2%
● 96.8
● 73.7
● 77.2
20.8

비율에 따른
의석 수

-
지역구
당선인

=
연동형
의석수

● 96.8
● 73.7
● 77.2
20.8
● 0
● 0
● 25
2
● 96.8
● 73.7
● 52.2
18.8

연동형
의석수

×
연동률
적용

=
준연동형
의석수

● 96.8
● 73.7
● 52.2
18.8
50%
● 48.4
● 36.9
● 26.1
9.4
(합 120.8)

CAP
적용 여부

(120.8)
30 이하

→적용 안 함
30 초과
🚩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
CAP
적용

=
조정
의석수

● 48.4
● 36.9
● 26.1
9.4
24.8%
● 12
● 9
● 7
2
(합 30)

정당
지역구
준연동형
(CAP 조정)

병립형
총합
새누리
105석
0석
0석
123석
위성
0석
12석
6석
더민주
110석
0석
0석
124석
위성
0석
9석
5석
국민
25석
7석
5석
37석
정의
2석
2석
1석
5석
무소속
11석
0석
0석
11석
합계
253석
30석
17석
300석

3. 정당 기호[편집]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투표용지에는 기호 1번기호 2번이 없다. 총선에 정당투표제가 도입된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원내 1당과 2당이 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은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다.

120석의 원내 1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자당의 비례대표 후보를 비례대표 위성정당더불어시민당에 파견했고 95석의 원내 2당 미래통합당은 단독 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고 위성정당미래한국당이 비례대표 전담 정당으로 후보를 냈다. 따라서 후보 등록 마감 시점의 20대 국회의원 현역 의석 수에 따라 20석을 보유한 민생당이 기호 3번이면서 정당투표 가장 윗 순번을 차지하게 됐다. 이어 17석을 보유한 미래한국당이 기호 4번, 8석을 보유한 더불어시민당이 기호 5번, 6석을 보유한 정의당이 기호 6번, 2석을 보유한 우리공화당이 기호 7번을 받게 됐다.

민중당, 한국경제당, 국민의당, 친박신당, 열린민주당 등 현역 의석이 1석인 정당들 중 지난 선거인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했던 민중당(전 민중연합당)과 한국경제당(전 친반통일당)은 비례대표 득표수 순에 따라 각각 8번과 9번으로 확정되었고, 그 외의 세 개 정당은 마감일 저녁에 추첨을 통하여 10번에 국민의당, 11번에 친박신당, 12번에 열린민주당이 배정받았다. 13번부터는 비례대표 후보를 낸 원외정당들이 가나다 순으로 배정된다.

4. 개표 결과[편집]


파일:국회휘장.svg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기호
정당
순위
할당
여부

득표수
득표율
3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6
X
758,778
2.71%
4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
O
(19석)
9,441,520
33.84%
5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2
O
(17석)
9,307,112
33.35%
6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3
O
(5석)
2,697,956
9.67%
7

[[우리공화당(2020년)|
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9
X
208,719
0.74%
8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8
295,612
1.05%
9

[[한국경제당|
파일:한국경제당 흰색 로고타입.svg
]]

18
48,807
0.17%
10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4
O
(3석)
1,896,719
6.79%
11

[[친박신당|
파일:친박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
X
142,747
0.51%
12

[[열린민주당|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5
O
(3석)
1,512,763
5.42%
13

[[가자코리아|
파일:가자코리아 로고타입.svg
]]

20
X
34,012
0.12%
14

[[가자!평화인권당|
]]

33
9,245
0.03%
15

[[가자환경당|
파일:가자환경당 흰색 로고타입.svg
]]


30
11,040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
200,657
0.71%
17

[[국민새정당|
파일:국민새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29
12,376
0.04%
18

[[국민참여신당|
]]

27
15,998
0.05%
19

파일:기독자유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
513,159
1.83%
20

28
14,242
0.05%
21

32
10,833
0.03%
22

19
34,272
0.12%
23

17
58,948
0.21%
24

35
4,855
0.01%
25

24
19,246
0.06%
26

15
71,423
0.25%
27

16
71,297
0.25%
28

14
80,208
0.28%
29

10
208,697
0.74%
30

34
6,773
0.02%
31

22
20,599
0.07%
32

13
101,819
0.36%
33

23
19,444
0.06%
34

31
10,841
0.03%
35

26
17,405
0.06%
36

25
19,159
0.06%
37

21
22,583
0.08%

선거인 수
43,994,247
투표율
66.21%
투표 수
29,126,396
무효표 수
1,226,532

4.1. 의석 수 배분[편집]



정당
조정
의석수

병립
의석수

총합
미래한국당
12석
7석
19석
더불어시민당
11석
6석
17석
정의당
3석
2석
5석
국민의당
2석
1석
3석
열린민주당
2석
1석
3석

30석
17석
47석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비교해 다음과 같은 변동이 있었다.

4.2. 계산[편집]


의석
할당
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63석)
더불어시민당(비례 33.4%)
미래통합당(지역구 84석)
미래한국당(비례 33.8%)
정의당(지역구 1석, 비례 9.7%)
국민의당(비례 6.8%)
열린민주당(비례 5.4%)
비할당
기타(지역구 0석, 비례 10.9%)
무소속(지역구 5석)

국회의원
정수

-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
연동
대상

300
5
295

정당
득표율

÷
할당 정당
득표율
총계

=
비례대표
득표비율

● 33.4%
● 33.8%
9.7%
● 6.8%
● 5.4%
89.1%
● 37.4%
● 38.0%
10.9%
● 7.6%
● 6.1%

연동
대상

×
비례대표
득표비율

=
비율에 따른
의석수

295
● 37.4%
● 38.0%
10.9%
● 7.6%
● 6.1%
● 110.5
● 112.1
32.0
● 22.5
● 18.0

비율에 따른
의석 수

-
지역구
당선인

=
연동형
의석수

● 110.5
● 112.1
32.0
● 22.5
● 18.0
● 0
● 0
1
● 0
● 0
● 110.5
● 112.1
31.0
● 22.5
● 18.0

연동형
의석수

×
연동률
적용

=
준연동형
의석수

● 110.5
● 112.1
31.0
● 22.5
● 18.0
50%
● 55
● 56
16
● 11
● 9
(합 147)

CAP
적용 여부

(147)
30 이하

→적용 안 함
30 초과
🚩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
CAP
적용

=
조정
의석수

● 55
● 56
16
● 11
● 9
20.4%
● 11
● 12
3
● 2
● 2
(합 30)

비례대표
득표비율

×
병립형
의석수

=
병립
의석수

● 37.4%
● 38.0%
10.9%
● 7.6%
● 6.1%
17
● 6
● 7
2
● 1
● 1
(합 17)

정당
지역구
준연동형
(CAP 조정)

병립형
총합
더민주
163석
0석
0석
180석
더시민
0석
11석
6석
통합
84석
0석
0석
103석
한국
0석
12석
7석
정의
1석
3석
2석
6석
국민
0석
2석
1석
3석
열린
0석
2석
1석
3석
무소속
5석
0석
0석
5석
합계
253석
30석
17석
300석


5. 후보자 및 당선인[편집]




6. 광역자치단체별 개표 결과[편집]



6.1. 서울특별시[편집]


서울특별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8,477,244
투표수 : 5,775,433
투표율 : 68.37%
무효표수 : 213,102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135,434
2.43
4
미래한국당
1,841,544
33.10
5
더불어시민당
1,846,902
33.20
6
정의당
541,583
9.73
7
우리공화당
34,314
0.61
8
민중당
38,847
0.69
9
한국경제당
6,598
0.11
10
국민의당
459,479
8.26
11
친박신당
20,975
0.37
12
열린민주당
327,109
5.88
13
가자코리아
4,324
0.07
14
가자!평화인권당
1,305
0.02
15
가자환경당
1,690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31,826
0.57
17
국민새정당
1,846
0.03
18
국민참여신당
2,559
0.04
19
기독자유통일당
106,464
1.91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2,242
0.04
21
남북통일당
1,497
0.02
22
노동당
3,960
0.07
23
녹색당
15,180
0.27
24
대한당
522
0.00
25
대한민국당
2,297
0.04
26
미래당
12,686
0.22
27
미래민주당
11,116
0.19
28
새누리당
13,222
0.23
29
여성의당
58,011
1.04
30
우리당
973
0.01
31
자유당
2,876
0.05
32
자유의새벽당
22,652
0.40
33
중소자영업당
3,348
0.06
34
충청의미래당
1,054
0.01
35
통일민주당
2,155
0.03
36
한국복지당
2,460
0.04
37
홍익당
3,281
0.05

6.2. 부산광역시[편집]


부산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958,290
투표수 : 2,001,838
투표율 : 67.67%
무효표수 : 89,855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41,614
2.17
4
미래한국당
836,599
43.75
5
더불어시민당
543,474
28.42
6
정의당
140,822
7.36
7
우리공화당
15,048
0.78
8
민중당
14,405
0.75
9
한국경제당
3,046
0.15
10
국민의당
118,570
6.20
11
친박신당
9,681
0.50
12
열린민주당
87,965
4.60
13
가자코리아
2,210
0.11
14
가자!평화인권당
590
0.03
15
가자환경당
720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15,878
0.83
17
국민새정당
723
0.03
18
국민참여신당
964
0.05
19
기독자유통일당
30,465
1.59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882
0.04
21
남북통일당
660
0.03
22
노동당
1,907
0.09
23
녹색당
3,579
0.19
24
대한당
317
0.01
25
대한민국당
1,252
0.06
26
미래당
4,905
0.25
27
미래민주당
4,127
0.21
28
새누리당
5,592
0.29
29
여성의당
12,169
0.63
30
우리당
425
0.02
31
자유당
1,410
0.07
32
자유의새벽당
6,913
0.36
33
중소자영업당
1,236
0.06
34
충청의미래당
217
0.01
35
통일민주당
1,016
0.05
36
한국복지당
1,196
0.06
37
홍익당
1,406
0.04

6.3. 대구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071,120
투표수 : 1,387,494
투표율 : 66.99%
무효표수 : 53,806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19,805
1.48
4
미래한국당
730,775
54.79
5
더불어시민당
216,496
16.23
6
정의당
84,986
6.37
7
우리공화당
23,828
1.78
8
민중당
6,769
0.50
9
한국경제당
3,455
0.25
10
국민의당
115,416
8.65
11
친박신당
9,287
0.69
12
열린민주당
40,487
3.03
13
가자코리아
1,755
0.13
14
가자!평화인권당
388
0.02
15
가자환경당
378
0.02
16
국가혁명배당금당
11,627
0.87
17
국민새정당
524
0.03
18
국민참여신당
746
0.05
19
기독자유통일당
27,418
2.05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560
0.04
21
남북통일당
435
0.03
22
노동당
1,123
0.08
23
녹색당
2,575
0.19
24
대한당
258
0.01
25
대한민국당
1,031
0.07
26
미래당
4,571
0.34
27
미래민주당
2,779
0.20
28
새누리당
5,920
0.44
29
여성의당
8,473
0.63
30
우리당
355
0.02
31
자유당
1,160
0.08
32
자유의새벽당
6,562
0.49
33
중소자영업당
901
0.06
34
충청의미래당
203
0.01
35
통일민주당
615
0.04
36
한국복지당
1,017
0.07
37
홍익당
1,010
0.07

6.4. 인천광역시[편집]


인천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500,690
투표수 : 1,581,223
투표율 : %
무효표수 : 70,344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34,978
2.31
4
미래한국당
473,343
31.32
5
더불어시민당
522,420
34.57
6
정의당
178,601
11.82
7
우리공화당
9,729
0.64
8
민중당
11,731
0.77
9
한국경제당
2,278
0.15
10
국민의당
101,062
6.68
11
친박신당
7,360
0.48
12
열린민주당
78,805
5.21
13
가자코리아
1,894
0.12
14
가자!평화인권당
460
0.03
15
가자환경당
587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11,390
0.75
17
국민새정당
650
0.04
18
국민참여신당
910
0.06
19
기독자유통일당
31,231
2.06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681
0.04
21
남북통일당
619
0.04
22
노동당
1,560
0.10
23
녹색당
2,534
0.16
24
대한당
234
0.01
25
대한민국당
1,025
0.06
26
미래당
4,373
0.28
27
미래민주당
4,255
0.28
28
새누리당
4,355
0.28
29
여성의당
12,632
0.83
30
우리당
366
0.02
31
자유당
1,184
0.07
32
자유의새벽당
5,631
0.37
33
중소자영업당
897
0.05
34
충청의미래당
325
0.02
35
통일민주당
895
0.05
36
한국복지당
936
0.06
37
홍익당
948
0.06

6.5. 광주광역시[편집]


광주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1,208,263
투표수 : 795,844
투표율 : %
무효표수 : 23,637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49,188
6.36
4
미래한국당
24,600
3.18
5
더불어시민당
470,698
60.95
6
정의당
76,042
9.84
7
우리공화당
1,062
0.13
8
민중당
22,581
2.92
9
한국경제당
506
0.06
10
국민의당
37,659
4.87
11
친박신당
610
0.07
12
열린민주당
63,203
8.18
13
가자코리아
792
0.10
14
가자!평화인권당
198
0.02
15
가자환경당
327
0.04
16
국가혁명배당금당
4,006
0.51
17
국민새정당
242
0.03
18
국민참여신당
315
0.04
19
기독자유통일당
5,614
0.72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1,358
0.17
21
남북통일당
229
0.02
22
노동당
1,130
0.14
23
녹색당
1,362
0.17
24
대한당
81
0.01
25
대한민국당
363
0.04
26
미래당
433
0.05
27
미래민주당
1,947
0.25
28
새누리당
523
0.06
29
여성의당
4,016
0.52
30
우리당
111
0.01
31
자유당
329
0.04
32
자유의새벽당
900
0.11
33
중소자영업당
425
0.05
34
충청의미래당
41
0.00
35
통일민주당
531
0.06
36
한국복지당
281
0.03
37
홍익당
504
0.06

6.6. 대전광역시[편집]


대전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1,237,183
투표수 : 810,576
투표율 : %
무효표수 : 36,137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17,626
2.27
4
미래한국당
249,771
32.25
5
더불어시민당
260,908
33.68
6
정의당
75,933
9.80
7
우리공화당
5,300
0.68
8
민중당
6,902
0.89
9
한국경제당
1,159
0.14
10
국민의당
61,478
7.93
11
친박신당
3,585
0.46
12
열린민주당
42,323
5.46
13
가자코리아
902
0.11
14
가자!평화인권당
236
0.03
15
가자환경당
282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6,427
0.82
17
국민새정당
310
0.04
18
국민참여신당
490
0.06
19
기독자유통일당
18,754
2.42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390
0.05
21
남북통일당
276
0.03
22
노동당
681
0.08
23
녹색당
1,432
0.18
24
대한당
117
0.01
25
대한민국당
488
0.06
26
미래당
2,272
0.29
27
미래민주당
2,163
0.27
28
새누리당
1,930
0.24
29
여성의당
5,731
0.74
30
우리당
178
0.02
31
자유당
543
0.07
32
자유의새벽당
2,655
0.34
33
중소자영업당
537
0.06
34
충청의미래당
1,205
0.15
35
통일민주당
410
0.05
36
한국복지당
446
0.05
37
홍익당
599
0.07

6.7. 울산광역시[편집]


울산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953,648
투표수 : 654,379
투표율 : %
무효표수 : 25,458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13,090
2.08
4
미래한국당
249,046
39.59
5
더불어시민당
168,330
26.76
6
정의당
64,659
10.28
7
우리공화당
4,804
0.71
8
민중당
17,088
2.71
9
한국경제당
1,085
0.17
10
국민의당
38,945
6.19
11
친박신당
3,253
0.51
12
열린민주당
27,607
4.38
13
가자코리아
981
0.15
14
가자!평화인권당
228
0.03
15
가자환경당
216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6,383
1.01
17
국민새정당
275
0.04
18
국민참여신당
386
0.06
19
기독자유통일당
9,755
1.55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305
0.04
21
남북통일당
250
0.03
22
노동당
5,961
0.94
23
녹색당
1,548
0.24
24
대한당
115
0.01
25
대한민국당
466
0.07
26
미래당
2,099
0.33
27
미래민주당
1,572
0.24
28
새누리당
2,282
0.36
29
여성의당
3,701
0.58
30
우리당
135
0.02
31
자유당
506
0.08
32
자유의새벽당
2,008
0.31
33
중소자영업당
448
0.07
34
충청의미래당
93
0.01
35
통일민주당
366
0.05
36
한국복지당
450
0.07
37
홍익당
485
0.07

6.8. 세종특별자치시[편집]


세종특별자치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63,388
투표수 : 180,395
투표율 : %
무효표수 : 5,861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4,071
2.33
4
미래한국당
44,642
25.57
5
더불어시민당
63,761
36.53
6
정의당
21,423
12.27
7
우리공화당
776
0.44
8
민중당
1,187
0.68
9
한국경제당
191
0.10
10
국민의당
16,097
9.22
11
친박신당
630
0.36
12
열린민주당
12,780
7.32
13
가자코리아
185
0.10
14
가자!평화인권당
39
0.03
15
가자환경당
43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1,311
1.01
17
국민새정당
48
0.02
18
국민참여신당
95
0.05
19
기독자유통일당
3,179
1.82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53
0.03
21
남북통일당
31
0.01
22
노동당
110
0.06
23
녹색당
280
0.16
24
대한당
18
0.01
25
대한민국당
70
0.04
26
미래당
469
0.26
27
미래민주당
356
0.20
28
새누리당
306
0.17
29
여성의당
1,146
0.65
30
우리당
32
0.01
31
자유당
69
0.03
32
자유의새벽당
623
0.35
33
중소자영업당
88
0.05
34
충청의미래당
136
0.07
35
통일민주당
74
0.04
36
한국복지당
89
0.05
37
홍익당
126
0.07

6.9. 경기도[편집]


경기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1,067,819
투표수 : 7,193,937
투표율 : %
무효표수 : 287,235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164,774
2.38
4
미래한국당
2,168,605
31.39
5
더불어시민당
2,398,041
34.72
6
정의당
720,174
10.42
7
우리공화당
43,558
0.63
8
민중당
61,349
0.88
9
한국경제당
9,499
0.13
10
국민의당
502,491
7.27
11
친박신당
33,841
0.48
12
열린민주당
408,476
5.91
13
가자코리아
8,171
0.11
14
가자!평화인권당
1,860
0.02
15
가자환경당
2,320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46,629
0.67
17
국민새정당
2,690
0.03
18
국민참여신당
3,824
0.05
19
기독자유통일당
142,846
2.06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3,022
0.04
21
남북통일당
2,224
0.03
22
노동당
6,042
0.08
23
녹색당
13,265
0.19
24
대한당
874
0.01
25
대한민국당
3,978
0.05
26
미래당
17,179
0.24
27
미래민주당
17,235
0.24
28
새누리당
17,493
0.25
29
여성의당
55,946
0.81
30
우리당
1,370
0.01
31
자유당
4,474
0.06
32
자유의새벽당
28,001
0.40
33
중소자영업당
4,105
0.05
34
충청의미래당
1,303
0.01
35
통일민주당
3,335
0.04
36
한국복지당
3,514
0.05
37
홍익당
4,194
0.06

6.10. 강원도[편집]


강원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323,766
투표수 : 874,184
투표율 : %
무효표수 : 43,835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19,570
2.35
4
미래한국당
324,873
39.12
5
더불어시민당
239,777
28.87
6
정의당
80,950
9.74
7
우리공화당
7,644
0.92
8
민중당
8,802
1.06
9
한국경제당
2,322
0.27
10
국민의당
48,542
5.84
11
친박신당
6,970
0.83
12
열린민주당
38,435
4.62
13
가자코리아
1,383
0.16
14
가자!평화인권당
377
0.04
15
가자환경당
409
0.04
16
국가혁명배당금당
7,693
0.92
17
국민새정당
523
0.06
18
국민참여신당
601
0.07
19
기독자유통일당
13,970
1.68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537
0.06
21
남북통일당
517
0.06
22
노동당
1,180
0.14
23
녹색당
2,175
0.26
24
대한당
257
0.01
25
대한민국당
971
0.11
26
미래당
2,273
0.27
27
미래민주당
2,923
0.35
28
새누리당
3,875
0.46
29
여성의당
4,972
0.59
30
우리당
301
0.01
31
자유당
873
0.10
32
자유의새벽당
2,921
0.35
33
중소자영업당
761
0.09
34
충청의미래당
257
0.03
35
통일민주당
815
0.09
36
한국복지당
999
0.12
37
홍익당
901
0.10

6.11. 충청북도[편집]


충청북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354,046
투표수 : 865,923
투표율 : %
무효표수 : 42,815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23,864
2.89
4
미래한국당
298,540
36.26
5
더불어시민당
254,085
30.86
6
정의당
85,282
10.36
7
우리공화당
7,222
0.87
8
민중당
6,837
0.83
9
한국경제당
1,887
0.22
10
국민의당
50,654
6.15
11
친박신당
6,115
0.74
12
열린민주당
38,211
4.64
13
가자코리아
1,250
0.15
14
가자!평화인권당
349
0.04
15
가자환경당
371
0.04
16
국가혁명배당금당
7,069
0.85
17
국민새정당
534
0.06
18
국민참여신당
540
0.06
19
기독자유통일당
13,596
1.65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473
0.05
21
남북통일당
459
0.05
22
노동당
1,085
0.13
23
녹색당
1,874
0.22
24
대한당
217
0.02
25
대한민국당
832
0.10
26
미래당
2,773
0.33
27
미래민주당
2,757
0.33
28
새누리당
2,605
0.31
29
여성의당
4,912
0.59
30
우리당
279
0.03
31
자유당
733
0.08
32
자유의새벽당
2,758
0.33
33
중소자영업당
795
0.09
34
충청의미래당
1,777
0.21
35
통일민주당
744
0.09
36
한국복지당
805
0.09
37
홍익당
824
0.10

6.12. 충청남도[편집]


충청남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781,956
투표수 : 1,112,253
투표율 : %
무효표수 : 60,994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26,742
2.54
4
미래한국당
372,229
36.40
5
더불어시민당
328,364
31.23
6
정의당
101,857
9.68
7
우리공화당
8,813
0.83
8
민중당
14,823
1.41
9
한국경제당
2,585
0.24
10
국민의당
67,228
6.39
11
친박신당
8,128
0.77
12
열린민주당
48,818
4.64
13
가자코리아
1,593
0.15
14
가자!평화인권당
457
0.04
15
가자환경당
507
0.04
16
국가혁명배당금당
9,150
0.87
17
국민새정당
646
0.06
18
국민참여신당
809
0.07
19
기독자유통일당
23,939
2.27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620
0.05
21
남북통일당
601
0.05
22
노동당
1,400
0.13
23
녹색당
1,612
0.15
24
대한당
275
0.02
25
대한민국당
1,026
0.09
26
미래당
3,310
0.31
27
미래민주당
3,602
0.34
28
새누리당
3,448
0.32
29
여성의당
6,685
0.63
30
우리당
351
0.03
31
자유당
1,012
0.09
32
자유의새벽당
4,002
0.38
33
중소자영업당
957
0.09
34
충청의미래당
2,535
0.24
35
통일민주당
953
0.09
36
한국복지당
1,092
0.10
37
홍익당
1,090
0.10

6.13. 전라북도[편집]


전라북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542,579
투표수 : 1,033,976
투표율 : %
무효표수 : 45,166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62,607
6.33
4
미래한국당
56,666
5.73
5
더불어시민당
553,967
56.02
6
정의당
118,783
12.01
7
우리공화당
5,908
0.59
8
민중당
15,607
1.57
9
한국경제당
1,588
0.16
10
국민의당
40,512
4.09
11
친박신당
2,039
0.20
12
열린민주당
89,212
9.02
13
가자코리아
1,270
0.12
14
가자!평화인권당
389
0.03
15
가자환경당
654
0.06
16
국가혁명배당금당
5,315
0.53
17
국민새정당
633
0.06
18
국민참여신당
677
0.06
19
기독자유통일당
11,145
1.12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411
0.04
21
남북통일당
474
0.04
22
노동당
1,203
0.12
23
녹색당
1,558
0.15
24
대한당
172
0.01
25
대한민국당
710
0.07
26
미래당
965
0.09
27
미래민주당
3,229
0.32
28
새누리당
1,164
0.1
29
여성의당
4,880
0.49
30
우리당
296
0.02
31
자유당
717
0.07
32
자유의새벽당
1,649
0.16
33
중소자영업당
932
0.09
34
충청의미래당
215
0.02
35
통일민주당
1,223
0.12
36
한국복지당
738
0.07
37
홍익당
1,302
0.13

6.14. 전라남도[편집]


전라남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592,850
투표수 : 1,079,454
투표율 : %
무효표수 : 50,201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76,298
7.41
4
미래한국당
43,122
4.18
5
더불어시민당
621,100
60.34
6
정의당
98,431
9.56
7
우리공화당
4,293
0.41
8
민중당
31,442
3.05
9
한국경제당
2,454
0.23
10
국민의당
39,862
3.87
11
친박신당
1,878
0.18
12
열린민주당
71,672
6.96
13
가자코리아
1,435
0.13
14
가자!평화인권당
517
0.05
15
가자환경당
1,018
0.09
16
국가혁명배당금당
4,594
0.44
17
국민새정당
711
0.06
18
국민참여신당
609
0.05
19
기독자유통일당
8,410
0.81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556
0.05
21
남북통일당
518
0.05
22
노동당
1,366
0.13
23
녹색당
1,434
0.13
24
대한당
226
0.02
25
대한민국당
807
0.07
26
미래당
793
0.07
27
미래민주당
3,159
0.30
28
새누리당
1,100
0.10
29
여성의당
4,054
0.39
30
우리당
335
0.03
31
자유당
633
0.06
32
자유의새벽당
1,413
0.13
33
중소자영업당
883
0.08
34
충청의미래당
271
0.02
35
통일민주당
1,502
0.14
36
한국복지당
678
0.06
37
홍익당
1,679
0.16

6.15. 경상북도[편집]


경상북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2,282,938
투표수 : 1,516,135
투표율 : %
무효표수 : 73,396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23,434
1.62
4
미래한국당
818,952
56.76
5
더불어시민당
232,923
16.14
6
정의당
94,251
6.53
7
우리공화당
19,419
1.43
8
민중당
12,392
0.85
9
한국경제당
5,235
0.36
10
국민의당
80,428
5.57
11
친박신당
15,966
1.10
12
열린민주당
41,334
2.86
13
가자코리아
2,341
0.16
14
가자!평화인권당
775
0.05
15
가자환경당
562
0.03
16
국가혁명배당금당
12,715
0.88
17
국민새정당
898
0.06
18
국민참여신당
1,010
0.07
19
기독자유통일당
32,821
2.27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899
0.06
21
남북통일당
871
0.06
22
노동당
1,835
0.12
23
녹색당
1,995
0.12
24
대한당
546
0.03
25
대한민국당
1,764
0.12
26
미래당
5,547
0.38
27
미래민주당
3,675
0.25
28
새누리당
7,895
0.54
29
여성의당
7,374
0.51
30
우리당
548
0.03
31
자유당
1,979
0.13
32
자유의새벽당
5,896
0.40
33
중소자영업당
1,113
0.07
34
충청의미래당
598
0.04
35
통일민주당
1,072
0.07
36
한국복지당
1,985
0.13
37
홍익당
1,691
0.11

6.16. 경상남도[편집]


경상남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2,823,511
투표수 : 1,914,323
투표율 : %
무효표수 : 89,498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38,262
2.09
4
미래한국당
813,958
44.60
5
더불어시민당
467,019
25.59
6
정의당
171,142
9.37
7
우리공화당
14,618
0.80
8
민중당
20,684
1.13
9
한국경제당
4,188
0.22
10
국민의당
98,610
5.40
11
친박신당
10,582
0.57
12
열린민주당
75,459
4.13
13
가자코리아
2,967
0.16
14
가자!평화인권당
952
0.05
15
가자환경당
818
0.04
16
국가혁명배당금당
16,600
0.90
17
국민새정당
926
0.05
18
국민참여신당
1,223
0.06
19
기독자유통일당
29,732
1.62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1,096
0.06
21
남북통일당
984
0.05
22
노동당
3,141
0.17
23
녹색당
3,249
0.17
24
대한당
540
0.02
25
대한민국당
1,858
0.10
26
미래당
5,563
0.30
27
미래민주당
5,037
0.27
28
새누리당
7,430
0.40
29
여성의당
11,723
0.64
30
우리당
609
0.03
31
자유당
1,797
0.07
32
자유의새벽당
6,319
0.34
33
중소자영업당
1,519
0.08
34
충청의미래당
509
0.02
35
통일민주당
1,365
0.07
36
한국복지당
2,143
0.11
37
홍익당
2,203
0.12

6.17. 제주특별자치도[편집]


제주특별자치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554,956
투표수 : 349,029
투표율 : %
무효표수 : 15,192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A]
3
민생당
7,421
2.22
4
미래한국당
94,255
28.23
5
더불어시민당
118,847
35.60
6
정의당
43,037
12.89
7
우리공화당
2,383
0.71
8
민중당
4,166
1.24
9
한국경제당
731
0.21
10
국민의당
19,686
5.89
11
친박신당
1,847
0.55
12
열린민주당
20,867
6.25
13
가자코리아
559
0.16
14
가자!평화인권당
125
0.03
15
가자환경당
138
0.04
16
국가혁명배당금당
2,044
0.61
17
국민새정당
197
0.05
18
국민참여신당
240
0.07
19
기독자유통일당
3,820
1.14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157
0.04
21
남북통일당
188
0.05
22
노동당
588
0.17
23
녹색당
3,296
0.98
24
대한당
86
0.02
25
대한민국당
308
0.09
26
미래당
1,212
0.36
27
미래민주당
1,365
0.40
28
새누리당
1,068
0.31
29
여성의당
2,272
0.68
30
우리당
109
0.03
31
자유당
304
0.09
32
자유의새벽당
916
0.27
33
중소자영업당
499
0.14
34
충청의미래당
102
0.03
35
통일민주당
334
0.10
36
한국복지당
330
0.09
37
홍익당
340
0.10

7. 시군구별 1위 정당[편집]



파일: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 비례대표 결과.svg

시군구별 비례대표 1위 정당

8. 기타[편집]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인해 다음날 오전 11시 경에 개표가 마무리되었다. 신생 정당들이 많아 개표용지가 약 48cm가 되어 수개표를 해야 하고, 또 정당별 의석 산정과 배분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당선자 확정이 늦어진 것이다. #

비례대표 배분을 받은 정당 중에 지역구 당선인이 있는 정당은 정의당 뿐으로, 나머지 당 중 세 당은 위성 정당[1], 한 당은 비례대표 전용 정당이기 때문이다. 정의당도 피치 못하게 지역구를 배출하지 못할 뻔 했으나 심상정 대표가 가까스로 당선되며 지역구 의석을 배출하였다. 하지만 위성 정당의 난립으로 연동형 의석이 (당연히) 30석을 넘어가므로 결국 47석을 배분 의석으로 나누게 되었고, 기존 17석 배분에서 16석 배분으로 줄었으나 최종 결과에는 미미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결국 준연동형으로는 똑같은 3석을 얻게 되었다.

연동제 취지가 무색하리만큼 연동제를 적용하지 않은 21대 총선 결과와 비슷하게 나왔다. 그러나 1석 정도 득실차가 있는 경우도 있다.

여담으로 지난 총선의 비례대표 무효표가 67만여표 정도 나왔었지만 이번에는 그의 두배 가까이 되는 120만표가 조금 넘는 무효표가 나왔는데, 이는 위성정당의 난립으로 인해 유권자의 혼란이 가중된 반증으로 보인다.[2]

지도만 놓고 보면, 일부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이 2년 뒤에 치뤄지는 대선 결과와 일치하며[3][4] 모두 보수정당이 접전승을 거두었다.


[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비례대표 기준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셋째자리에서 반올림) 나온 것으로 판정.[1] 이러한 위성정당 난립으로 인해 군소정당들이 위축되고, 이로인하여 소수 의견이 제대로 제기되지 못해 민주주의를 해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 우려되었고,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그나마 더불어시민당같은 경우는 이런 비판을 감안해 소수정당 후보를 포함시키는 식으로 운영했으나 취지가 무색해진 것은 부정할 수 없다.[2] 실제로 선거 후 SNS 및 커뮤니티에서 '우리 어머니가 비례대표에 미래통합당이 없어서 그냥 안 찍으셨다더라(...)'는 식의 글이 많이 올라왔다.[3] 참고로 21대 총선 비례대표가 20대 대선과 불일치한 지역은 서울 동작구, 양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용인시 처인구, 고양시 일산동구, 덕양구, 평택시, 안성시, 양주시, 대전광역시 서구, 유성구, 대덕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울산광역시 북구 단 19곳에 불과하다. 이 19개 지역들 중 울산 북구와 경기도는 비례대표는 미래한국당이 승리했지만 대선에선 이재명이, 나머지 서울과 충청 지역에선 비례대표는 더불어시민당이 승리했지만 대선에선 윤석열이 승리한 지역들이다.[4] 광역단체로만 놓고 보면 서울, 대전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