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이궁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 11월 23일 계해 5번째기사 1419년 명 영락 17년.

상왕이 영의정에게 포천과 풍양에 이궁 지을 뜻을 전해 말하다

상왕조말생과 원숙을 불러서 말하기를,

"근일에 부엉이가 와서 우는데, 내가 괴이하다고는 생각지 않지마는, 을 떠나 피해 있는 것은 옛부터 있는 일이다. 또 《운회》 에 '유'자를 풀이하기를, '유는 새 이름인데, 울면 흉하다.' 하였으니, 는 피해 있고자 한다. 개경 같은 데는 물을 건너야 하고 또 길이 멀어서, 내가 전년에 왕래할 때 폐단이 많은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포천풍양에 본궁 노자만으로 집 10여 간을 짓고, 낙천정에서 풍양을 거쳐 포천에 향하여 내왕하면서 〈흉한〉 방위를 피하고자 한다. 포천 같은 데는 본궁에 〈딸린〉 전토와 백성이 많아서 집 짓기 어렵지 않으므로, 내가 이미 집을 짓도록 명하였지마는, 풍양 같은 데는 노자는 있어도 전토가 없다. 옛 읍터에 집을 짓고, 또 묵은 밭을 노자에게 주어서 그들의 생계를 돕고자 한다. 그러나 집 짓는 일은 맹세코 국가의 힘을 괴롭게 하지 않겠으니, 너는 〈이 계획을〉 다 영의정에게 말하라."

하니, 영의정이 마침 부름을 받고 수강궁에 왔다가 명을 듣고 아뢰기를,

"상교(上敎)가 매우 좋으니, 신이 〈명을〉 받들어 거행하겠나이다." 하였다.


1. 개요[편집]


조선 초기의 이궁. 태종상왕이 된 후 지었던 이궁 4곳 중 포천에 지었던 이궁이다.


2. 상세[편집]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 12월 14일 甲申 4번째기사.

방패 보충군과 당령 선군에게 포천·풍양 이궁을 지을 재목을 벌채하게 하다.

○上王命兵曹: "送防牌補充軍及當領船軍于天寶山, 伐材輸于抱川及豐壤, 以起離宮。"


태종은 상왕으로 물러나서 자신이 머무를 곳을 창덕궁창경궁, 경복궁 만으로 삼지 않고, 이궁을 세워서 머물도록 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포천이궁이다. 완공 후 태종은 포천이궁에서 종종 유숙하기도 했다. 하지만 다른 이궁 3곳과는 달리, 태종 때 이후로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그나마 추정이 가능한 것은 《연산군일기》 속 금표가 세워져 있었다는 기록이 전부이기 때문에 태종이 죽은 직후부터 이미 황폐화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포천이궁은 언제 사라졌는지 알 수 없으며, 형태도 어떤지 전혀 알 수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4:48에 나무위키 포천이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