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별궁

덤프버전 :




조선의 별궁
안동별궁
安洞別宮





위치
한성부 북부 안국방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3길 4)
설립시기
1881년
해체시기
1936년

파일:안동별궁 현재.png}}}
충청남도 부여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경내로
옮겨 복원한 안동별궁의 현광루와 경연당

1. 개요
2. 역사
3. 건물들의 수난



1. 개요[편집]


조선시대별궁. 구 풍문여자고등학교 자리[1]에 있었다.

정식 명칭은 '안국동별궁(安國洞別宮)'이었으며, '동별궁'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름 발음이 같은 안동시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2. 역사[편집]


원래 이 자리는 명당으로 유명해[2] 조선 초기부터 왕실에서 사용한 땅으로 세종 때에는 왕자 영응대군대저택이 있었으며 세종은 1450년(세종 32년)에 이곳에서 승하했다. 1471년(성종 2년)부터는 연경궁(延慶宮)으로 불리며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이 살기도 했다. 월산대군이 그 집 안에 정자를 하나 세웠는데 성종이 직접 풍월정(風月亭)이란 이름을 내려줄 정도로 관심을 가졌다. 또한 인조 때에는 선조의 적녀 정명공주와 그 남편 영안위 홍주원[3]의 집이 되어 크게 넓어졌는데, 그 무렵 헐었던 인경궁의 남은 자재 약 170칸 분을 옮겨 규모를 키웠다. 이후 홍주원의 자손들이 크게 번창하여 사람들은 이곳을 더욱 명당으로 여겼다. 숙종 때에는 이를 사들여 막내 아들 연령군의 집으로 삼기도 했다.[4] 철종 즉위 후에는 철종의 아버지 전계대원군의 신주를 모시는 공간이 되었다. 신주는 고종 즉위 후인 1869년(고종 6년)에 누동궁으로 옮겨졌다.

19세기 이후 임금이었던 헌종철종후사가 없었던 반면, 적장자를 얻어 매우 기뻤던 고종원자왕세자 책봉 및 가례소를 마련하기 위해 1879년(고종 16년) 11월에 이곳을 본격적으로 왕실 직속 별궁으로 만드는 공사를 시작했다. 고종은 단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왕실 의례를 행할 의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별궁의 규모를 꽤 크게 지었다. 1881년(고종 18년)에 완공했고 안국방 소안동에 있다 하여 '안국동 별궁'이라 했다. 일상에서는 줄임말인 '안동별궁'으로 많이 불렀다.

1882년(고종 19년) 2월, 왕세자 이척(순종)세자빈 민씨(순명효황후)가례를 여기서 올렸다. 하지만 순명효황후는 1904년(광무 8년) 사망했고, 1906년(광무 10년) 황태자 이척은 새 황태자비 윤씨(순정효황후)와 2번째 가례를 치뤘는데 그때 가례도감을 설치한 곳 역시 안동별궁이었다.

파일:475e36fed1027.jpg

일제강점기 안동별궁 전경을 찍은 사진
1910년 경술국치 이후에는 잠시 상궁들이 모여 살기도 했다가 1936년 큰 길에 면해 있는 768평이 최창학[5]에게 15만원에 낙찰되었다. 1937년에는 명성황후의 먼 일족이자 휘문의숙의 설립자 민영휘의 아내 안유풍이 당시 돈 30만환으로 부지 4천여평과 함께 부속 건물을 매입한 뒤, 이 자리에 경성휘문소학교를 세웠다. 7년 뒤 증손자 민덕기가 폐교된 다른 여학교의 학생들을 모아 증조모의 이름 '풍' 자와 휘문의 '문'을 따 풍문여학교로 개편했고 8.15 광복후 풍문여자중학교와 풍문여자고등학교로 나누었다. 1992년 풍문여중은 폐교되었고#, 풍문여고는 계속 그 자리에 있다가 2017년 강남구 자곡로로 이전한 뒤 풍문고등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서울시에서 부지를 매입해 공예박물관을 만들고 있다.

안동별궁 건물 자체는 일부 남아있었다. 그래서 1940년대에 사동궁을 매각한 의친왕 가족이 이곳에서 잠시 머물기도 했다. 의친왕의 5녀 이해경은 그때 모습을 이렇게 회고했다.

풍문여중고는 원래 별궁 땅에다가 지은 학교여서, 그 학교와 내가 살고 있던 별궁 사이에는 담이 하나 막혀 있었을 뿐이었다.

이해경 著, 《나의 아버지 의친왕》#


파일:근대 안동별궁건물.jpg

일제강점기 학교 건물로 쓰일 당시의 안동별궁 현광루[6]


3. 건물들의 수난[편집]



파일:안국동별궁(풍문여고)copy.jpg

풍문여고 내에 있던 안동별궁 건물
상술했듯, 몇몇 건물들은 풍문여고가 들어선 뒤에도 한동안 대부분 제 자리에 남아있었다. 그러나 학교의 부지확보와 건물 신축을 위해 남아있던 정화당과 경연당, 그리고 현광루를 해체해 다른 곳으로 매각했다.


파일:정화당.jpg

정화당
정화당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으로 옮겨갔다. 군사정권이 들어선 뒤 요정 '선운각'으로 변했고[7] 김성곤 쌍용그룹 회장이 별장으로 쓰기도 했다. 1975년 김성곤 사후 '쌍용중앙연수원'이 되었다가 1997년 동양화재로 매각돼 현재 메리츠화재 연수원으로 존속 중이다.


파일:11908-1-6831.gif

한양컨트리클럽에 있을 당시 현광루와 경연당
현광루와 경연당은 풍문학원 이사장 민병도[8]의 개인 별장과 자신이 회장으로 있었던 골프장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한양컨트리클럽 신코스 18번 홀로 옮겨져 수영장 관련 건물로 사용되다가 2006년 무렵 존재가 확인되었고 이후 문화재청에서 매입 후 복원하여 현재는 충청남도 부여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경내에 있다.

파일:정관루.jpg

정관루
그리고 민병도가 설립한 또 다른 관광지 남이섬 유원지 동쪽 끝에 있는 ‘정관루’라는 목조 건물이 안동별궁의 건물 일부라는 설이 있다. 남이섬 유원지 측은 이 건물이 1965년 남이섬을 구매 할 무렵 서울에서 옮겨온 것이라고 하는데, 2006년 당시 강우현 남이섬 사장은 풍문여고에서 옮겨왔다는 얘기를 들었다했지만, 당시 공사에 참여한 한 목수포도청 건물을 옮겨와 지었다고 주장해 아직 확실하게 결론짓지는 못한 상황이다.

그나마 앞서 말한 건물들은 사정이 나은 편이다. 《고종실록》에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정상루(定祥樓)'의 경우 어디 있는지 모른다. 만약 남이섬 정관루가 만약 안동별궁 건물이 맞다면, 정상루가 옮겨와 정관루가 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0:17:02에 나무위키 안동별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7년 3월에 강남구 자곡로 152로 이전[2]운현궁의 북서쪽, 경복궁창덕궁 사이에 있다.[3] 혜경궁 홍씨의 6대조.[4] 원래 연잉군이 갖고 싶어했는데 숙종이 무시하고 연령군에게 주었다고.(...)[5] 일제강점기 광산업으로 조선에서 손꼽히는 부자가 된 친일부호. 김구 선생에게 경교장을 마련한 그 인물 맞다.[6] 사진 출처 - 서울역사아카이브[7] 김재규중앙정보부장의 애인 장정이가 마담으로 있었다는 곳. 정인숙 사건과 관련된 그곳 맞다.[8] 민영휘손자. 민덕기의 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