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군/교통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화순군




1. 개관
2. 철도
2.1. 일반철도
2.2. 광역철도
3. 도로
4. 버스


1. 개관[편집]


화순군의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화순은 광주광역시의 구도심과 아주 가까운 데다가[1] 너릿재터널 개통 이후로는 사실상 광주의 위성도시에 가까운 위치를 점하고 있다.[2] 이런 접근성 때문에 광주 소재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을 위한 향토학사인 전남학숙이 화순읍에 자리하고 있을 정도.

화순군은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초강세 지역이자 시외버스, 철도의 무덤에 속한다.


2. 철도[편집]



2.1. 일반철도[편집]


경전선 철도가 있지만 단선에 굴곡이 매우 심해 소요시간이 오래 걸린다[3]. 게다가 화순역은 읍내에서 좀 떨어져 있는 편이고 그 열차마저도 하루에 몇 대 운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고 대부분 버스를 이용한다. 화순선도 있지만 화물(석탄)철도이고 폐선되었다.[4][5]

간혹 현재 소태역(녹동역)에서 끊겨있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을 화순읍내까지 연장을 추진하겠다는 떡밥이 있기는 하다. 그럴 경우 광주를 오가는 편의가 높아지겠지만, 일단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완공되고 난 후 도시철도 수요와 화순읍내 인구 자체가 5만 명 이상이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경전선 광주-순천 구간 전철화가 2019년 12월 19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으로써 개량이 확정되었는데, 정작 화순군에 역이 없어져 철도가 없어질 예정이다.


2.2. 광역철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 때부터 계획만 해오던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화순군 연장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화순군민들이 광주 1호선 연장선으로 광주 도시철도 2호선과 빠른 광역환승 효과로 광주역광주송정역을 이용할 수 있게 방안이 된다고 하지만, 실제로 화순 연장이 이루어질지는 아무도 모르던 상황이었는데, 2021년 나주 - 광주 - 화순 광역철도가 언급되면서 재추진 되고 있다고 한다. 6월 지방선거에서 공약으로 광주 도시철도 화순 연장이 다시 언급되었다.

2023년 7월 14일, 화순군과 더불어민주당 화순지역위원회는 제2차 당정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협의회에서는 광주-화순 광역교통망 대책이 논의되었다. 이 자리에서 조영일 화순군 건설교통실장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광주시 소태역-화순읍-화순전남대학교병원-생물의약단지까지 연결하는 사업에 국회 차원의 관심을 요청했다. 그러면서 제5차 광역철도국가계획(2026~2035년)이 완성되는 기간이 너무 길다며 해당 사업과 함께 대안으로 '새로운 교통수단' 검토를 제안했다. 구복규 군수는 "화순전남대학교병원 1일 내방객이 6천명이다"라고 언급하며"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사업비는 적게 들면서 효율성은 높은 소태역을 출발하는 간선급행버스체계 또는 트램 등을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화순군의 지역유지가 광주송정~화순~순천간 KTX 반영돼야 한다며 승주읍 경유 광주송정역∼화순 전남대 병원역∼화순랜드∼순천 정원 국제박람회간 철도를 만들어 달라고 주장했다.

'주민 숙원' 광주~화순 광역철도 구축 사전 준비 돌입
화순군, 광주-화순 광역철도 사전 타당성 조사
광주∼화순 광역철도 재추진… “신도시 등 수요 충분”

2023년 10월 9일, 화순군은 광주 - 화순 광역철도에 대해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광주~화순간 철도 조성 사업을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절차를 시작했다. 화순군은 동구 소태역에서 용산차량기지∼너릿재∼화순읍∼화순전남대병원∼화순공설운동장∼생물사업단지(백신단지)를 잇는 16.4km 구간에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사업비 절감을 위해 선진국형 교통수단으로 트램이나 BRT 등 교통 수단도 함께 검토한다.

3. 도로[편집]






3.1. 고속도로[편집]


지금 없지만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가 계획 중이다. 다만, 남북축 노선방향으로는 한때 광주 - 고흥 간 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되었지만 27번 국도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선하게 되어 사실상 물거품이 되었다가, 최근 민선 7기에 들어서면서 광주~고흥 우주센터간 고속도로 사업을 재추진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3.2. 일반국도[편집]


15번 국도, 22번 국도, 29번 국도가 있어서 광주에서 장흥, 보성, 고흥 3군으로 가는 중간경유지이자 갈림길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15번 국도: 보성군 문덕면에서 넘어오며, 사평면, 동면, 동복면, 백아면을 거쳐 곡성군 오산면으로 넘어간다. 동부 산지를 지나다보니 왕복 4차로 구간은 사평리에서 구암IC까지이다. 그 외에는 모두 왕복 2차로이다. '"순천 송광면 - 화순 사평면" 구간이 확장 계획 대상으로 잡혀있다.
  • 22번 국도: 밑의 29번 국도와 더불어 광주를 연결하는 중요한 국도이다. 광주광역시에서 너릿재터널을 통해 화순읍으로 넘어오며, 화순IC에서 29번 국도를 보내고 화순읍내를 우회한 뒤 동면, 동복면을 지나 순천시 주암면으로 넘어간다. 너릿재구간은 교통량이 매우 많아 원래 왕복 2차로였던 것을 터널을 하나 더 뚫고 왕복 4차로로 만들었다. 그럼에도 터널을 하나 더 뚫어서 새로 뚫은 구간을 29번 국도로 넘겼다. 화순IC에서 동면 구암IC까지는 왕복 4차로이다. 구암IC - 동복 구간은 15번 국도와 중첩되며, 동복면소재지를 우회하는 구간이 다시 왕복 4차로이다. 동복면소재지를 우회하고 동복터널을 지나 유천리 구간부터 다시 왕복 2차로가 된다. 현재 '동면 복암리 - 동복 읍애리', '동복 유천리 - 순천 주암' 구간이 선형개량 공사중이다.
  • 29번 국도: 화순군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국도이자 위의 22번 국도와 더불어 광주를 연결하는 중요한 국도이다. 보성군 노동면에서 넘어오며, 이양면, 춘양면, 한천면, 능주면을 거쳐 화순IC에서 22번 국도와 만나 중첩되어 교리IC에서 갈라지고 너릿재로(신너릿재터널)를 통해 광주광역시로 넘어간다. 자동차전용도로급의 스펙을 가지고 있어서 제한 속도가 80km인데도 과속을 하는 차량들이 한 둘이 아니다.


3.3. 지방도[편집]


총 10개로, 그 중 나주로 가는 지방도는 55번, 818번, 822번이 있으며, 담양으로 가는 지방도는 887번897번이 있다. 58번은 보성으로, 839번, 817번은 장흥으로, 15번의 경우, 화순군 전체 구간은 아예 국도와 겹친다. 또한 22번 국도, 29번 국도 광주-화순 구간을 우회하며 광주대 방향으로 나오는 817번광주 남구로 이어진다.

이중 왕복 4차선으로 되어 있는 지방도는 55번 화순읍 구간, 839번 화순 청풍면 구간, 817번 '도곡면 원화리 - 칠구재터널' 구간으로, 55번화순군 전체 도로 중에서도 적지 않은 교통량을 자랑하고 있어 이미 2015년에 화순읍 앵남리 - 대리 구간은 왕복 4차선으로 개량했고, 2021년 현재 '나주 남평 - 화순 앵남' 구간이 선형개량 공사중이며, 839번2006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2022년을 목표로 왕복 4차선으로 선형개량 공사중이다. 817번 도곡면 원화리부터 화순읍 앵남리 구간은 원래 55번 지방도와 만나 앵남역을 거쳐 앵남교차로까지 가지만, 경전선 위로 다리를 만들어 왕복 4차선을 조성하고 바로 앵남교차로와 직결했다. 앵남교차로부터 광주까지는 이미 칠구재터널을 개통하면서 왕복 4차선으로 조성했다.

이 세 지방도를 제외하면 화순군 내의 모든 지방도는 왕복 2차선이며, 이중 817번2019년이 되어서야 화순 도암 - 장흥 유치를 터널로 뚫어 선형이 좋아졌다. 다만 843번 '장평 - 이양' 구간은 비포장으로 남아있는 상태고, 58번 '나주 - 화순' 구간이 미개통구간으로 남아있다가 최근 '나주 금천 - 화순 도암' 구간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으며, 897번 '순천 송광 - 동면 복암' 구간은 계획으로 남아있다.


4. 버스[편집]



4.1. 화순군 농어촌버스[편집]


파일:attachment/화순군/217.jpg
위 사진의 버스는 광주발 주암행 217번 버스이다.

화순군의 농어촌버스 전체를 화순교통에서 담당하고 있다. 노선정보나 시간표를 알고 싶다면 화순군 농어촌버스을 참고.

화순군과 가까운 주변 지역 버스들인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나주시 시내버스가 지간선제를 시행하고 있는 반면, 여기는 읍내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제외한 주요 노선이 광주-화순읍-면단위의 패턴을 갖고 있는 게 특징. 그 때문에 편도 운행 거리가 기본적으로 30km~40km가 넘고, 광주발 송단행의 경우는 편도 거리만 78km라는 길이를 자랑한다. 버스번호가 1번도 2번도 없고 바로 200번대부터 시작한다. 217, 217-1, 218, 218-1, 318 등등. 이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2006년 개편 전 117번, 118번 노선번호를 따라 한 흔적이다.

화순시외버스터미널과는 별개로 화순군내버스터미널이라는 이름의 정류장이 있다. 이곳에서는 모든 화순교통의 버스들이 필수정차하는 곳[6]이자 화순읍에서 출발하는 버스가 출발하는 곳이다. 어르신들은 '구 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 화순시외버스공용정류장이 1991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기 전까지 구 시외버스터미널이었기 때문, 그래서 이 군내버스터미널 근처에 5.18 기념비가 있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대인동 구터미널 시절에는 화순군 군내버스가 그 곳까지 다녔지만, 유스퀘어가 생기면서 졸지에 노선도 바뀜과 동시에 유스퀘어를 지나 덕흥동까지 연장되었다. 나름대로 광주 시민의 발.[7]

2017년 2월 25일에 광주 시내버스의 개편으로 인해 화순읍내에서 주도리를 가는 버스가 없어지자 대신 220번이라는 읍내 순환노선을 신규개통했다.

2023년 11월에 화순교통스마트 110을 도입하면서 217번저상버스 운행을 개시했다.


4.2. 광주광역시 시내버스[편집]


1970년대에 너릿재터널이 뚫리면서 광주시내버스[8]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현재 화순군으로 넘어오는 광주시내버스는 3개의 노선 중 진월177칠구재터널로 넘어오고, 나머지 2개는 너릿재터널을 넘어 화순읍 시가지를 돌다가 사평리(사평면)[9], 화순전남대학교병원(228), 능주면[10], 도웅리(지원152)까지 운행한다.


4.3. 기타 지역 버스[편집]


화순군 농어촌버스화순군의 대중교통을 책임지기는 하지만, 화순군 인접 지역의 버스들도 화순군을 들어온다.
  • 문덕80(사평) : 하루 4회 사평면까지 들어온다. 아침 한정으로 광주 시내버스와 만날 수 있다.
  • 나주 버스 200 : 나주시 다도면을 통해 들어오며, 화순군 도암면 행산리까지 운행한다. '중장터 ~ 행산리'까지 이르는 구간이 한쪽은 나주, 한쪽은 화순으로 행정구역이 양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218번 행산행도 같이 들어온다.
  • 옥과-송단/이천/온천 : 곡성군곡성교통도 각각 화순군 백아면 송단리, 이천리(백아면소재지), 옥리의 금호리조트 화순아쿠아나까지 들어온다. 현재는 217번도 들어오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2012년까지는 다녔으나, 2013~2014년 그 즈음부터 안 다니기 시작했었다.) 2019년 10월 이전까지 백아면 남치리, 맹리, 서유리, 옥리 일대는 화순군 농어촌버스가 아닌 곡성교통이 이 일대의 대중교통을 책임지고 있었다!
  • 225번 : 하루 4.5회를 백아면 이천리(백아면사무소)까지 운행한다. 과거에도 다녔었지만 구산마을까지 단축되었는데, 화순군이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다시 연장되었다.


4.4. 시외버스, 고속버스[편집]


화순시외버스공용정류장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한다. 터미널이 위치한 화순읍이 인구가 많아 장사가 잘 될 것 같지만, 유스퀘어가 멀지 않아서 수요가 많지 않다. 실질적으로 화순시외버스공용정류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은 장흥, 보성, 고흥방면밖에 없다.

고속버스가 없다. 고속버스를 타고 싶다면 시내버스 타고 유스퀘어로 가자. 반면 고속버스 면허 보유대수가 가장 많은 특이한 지역. 이유는 금호고속의 차적지가 화순군 백아면이라 생긴 일이다. 정확히는 면허등록지가 백아면 옥리 금호화순리조트로 되어 있는데, 법률상 시외버스고속버스는 특별시나 광역시에 차적을 둘 수 없기 때문에 광주 옆 동네인 화순군 소재 금호 소유의 리조트에다가 차적을 등록해 놓은 것이다.[11] 광우고속도 물론 화순군에 차적을 두고 있지만, 주력노선인 보성착발 노선이 경유하긴 한다.[12]

2010년 금호고속에서 장성을 경유하여 센트럴시티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개설하면서, 전라남도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서울행 버스가 생긴 기초자치단체가 되었다. 그러나 장사가 안 되었던지, 2011년에는 기점을 능주면에서 장흥군으로 연장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2:38:33에 나무위키 화순군/교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전라남도청이 있었던 충장로를 기준으로 보자면 광산구송정리에서 오는 것보다 화순에서 오는 게 더 빠르다.[2] 심지어는 "광주광역시 화순군"으로의 편입을 공약으로 내세운 화순군수 후보도 있었다.[3] 경전선 철도 개통 이후 단 한 번도 개량화된 적이 없었다. 또한 단선, 비전철화 구간이어서 여객열차는 무궁화호만 운행할 수 있다.[4] 대한석탄공사 소속이다.[5] 시발역인 화순역제외한 모든 역이 폐역되었다.[6] 단 318번과 318-1번 제외[7] 그것은 지원25번이 차량 인가대수가 적어서 그런 것도 있다. 다만, 광주 관내에서 탈 때 화순교통은 환승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8] 준공영제 시행 후에는 차량이 중형화되면서 좀 불편해졌다. 전체 광주광역사 시내버스 900여대 중에서 현재 21대가(10+8+3) 화순군을 왕복하고 있다.[9] 오전 시간대 한정[10] 출퇴근시간 한정[11] 현재 금호리조트는 금호석유화학그룹에 편입되었지만, (갈등은 있었어도) 어차피 같은 집안인 만큼 차적지는 계속 금호화순리조트에 등록하는 것으로 협의가 된 듯하다.[12] 이와 비슷한 곳이 몇 군데 있긴 있다. KD 운송그룹의 차적지인 경기도 광주시, 그리고 FX212 최다 보유 업체 경북고속의 차적지인 경상북도 칠곡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