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최근 편집일시 :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역대

[ 펼치기 · 접기 ]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개최일까지
D-880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제20회 아시안게임
2026年アジア競技大会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XX Asian Games
Aichi·Nagoya 2026
파일: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로고.svg
대회 기간
2026년 9월 19일 ~ 2026년 10월 4일[1]
개최국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 아이치현·나고야시
슬로건
Imagine One Asia
ここで、ひとつに

(여기서 하나로)
마스코트

주제가

참가국

참가선수

경기종목

개회선언

선수 선서

심판 선서

코치 선서

성화점화

개·폐회식장
나고야시 미즈노공원 육상경기장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1. 개요
2. 개최 도시 선정 과정
3. 경기 종목
4. 경기장
5. 기타



1. 개요[편집]


2026년 일본 아이치현과 그 현청 소재지 나고야시에서 개최[2]될 예정인 제20회 하계 아시안 게임.


2. 개최 도시 선정 과정[편집]


2026년 하계 아시안 게임 유치 투표 과정
국가
도시
1차투표
결과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나고야
무투표 당선
유치 선정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유치전과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아시안 게임 유치에 나서는 나라가 없던 당시 상황에서 OCA는 마지막 보루인 동북아 3국에 기대를 걸었고,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이후 대회 유치가 없었던 일본의 유치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2016년 8월, 일본 아이치현에서 가장 먼저 발벗고 나서 나고야시를 개최지로 하여 일본올림픽위원회(JOC)에 신청서를 접수했다. 나고야의 경우 1988 올림픽 유치 실패 이래 국제스포츠대회 유치 실적이 없었기에 아시안 게임을 유치하고자 하는 열망이 높았고, 2027년으로 예정된 츄오 신칸센의 1차 개통 홍보 효과를 기대하는 바도 있었다.

사실상 나고야 유치가 확정적이었던 상황에서 후쿠오카가 유치의사를 표명하며 유치전에 뛰어들며 2파전 구도가 형성되었다. 큐슈 역시 일본의 주요 국제행사 유치에서 소외된 지역이라 아시안 게임 유치에 대한 열망이 강한 편이다. 타국에서는 여전히 유치 희망도시가 없기에 사실상 두 도시간 경쟁의 승자가 아시안 게임을 유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었다. JOC는 현장실사를 걸쳐 2016년 9월 25일에 유치도시를 확정하여 OCA에 최종 유치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나고야의 경우 일본의 수도 도쿄 및 제2의 도시 오사카와 도카이도 신칸센으로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나고야의 유치 목적 중 하나가 츄오 신칸센의 홍보인 만큼 츄오 신칸센도 있지만 대회가 있는 이듬해 개통하기 때문에 의미는 없다.

후쿠오카는 후쿠오카 공항이 24시간 운영이 불가하고 확장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의 경제 및 사회 중심지인 간토간사이에서 지나치게 멀다는 문제도 있다.

거기다가 후쿠오카는 경기 운영을 위한 재정이 확보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입후보를 보류한다고 JOC에 보고하였고, JOC는 아이치와 나고야를 후보로 OCA에 추천했다. 2016년 9월 25일 OCA는 베트남 다낭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아이치와 나고야의 대회 유치를 승인했고[3] 이로써 일본은 태국, 한국, 중국에 이어 하계 아시안 게임을 3회 개최한 네 번째 아시아 국가로 기록됐다.

후쿠오카는 향후 2021년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유치하는 것으로 결론이 정해졌다. 다만 코로나바이러스-19(2019-nCoV 창궐) 때문에 2020 도쿄 올림픽이 1년 연기되자 역시 2023년으로 개최 시기가 연기되었다. 해당 대회의 상세 정보는 2023 세계선수권 문서 내용을 참고.


3. 경기 종목[편집]


2023년 7월 8일 제42회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일반 총회를 통해 경기 종목이 선정되었다. # 총 41종목으로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무려 9개나 줄였다. 2024 파리 올림픽에 선정된 32개 종목[4]과 OCA 지역 내 5개 권역에서 한 종목씩 5종목[5], 그리고 조직위원회 제안 두 종목(야구, 가라테)과 OCA 제안 두 종목(스쿼시, e스포츠)이 선정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8;"
, 8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8;"
, 8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4. 경기장[편집]


경기장은 대부분이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쪽으로 잡히고 있다. 신설 경기장은 유도레슬링이 열리는 아이치현 신체육관[6]뿐이다. 대신 2020 도쿄 올림픽과 같이 전시 시설을 전용하는 등 경기장 투자는 최소화한 채로 있다.

주경기장은 나고야 시에 위치한 미즈노공원 육상경기장[7]으로 잠정 결정되었다. 다만 미즈호 스타디움이 대회 시점에서 개장 85년에 이르는 노후한 경기장이고 관중석이 27,000석에 불과하여 아시안 게임에 요구되는 주경기장의 규모에는 미치지 못한다. 나고야시는 미즈호 스타디움을 임시 스탠드 포함 35,000석으로 재건축하여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2021년부터 경기장을 폐쇄하였다. # 2021년 3월에는 재건축 및 위탁관리 사업권이 다케나카공무점, 미즈노 주축의 컨소시엄에 낙찰되었으며 2025년에 완공 예정이다. #

미즈호 스타디움을 포함한 미즈호 공원 또한 중심 단지로서는 좁고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에 육상과 럭비, 축구를 제외한 종목은 모두 단지 밖에서 개최된다.(조직위원회 링크) 나고야시 이외에도 축구의 결승전 장소가 될 도요타 스타디움을 비롯해 아이치현 전역에 경기장이 퍼져 있다. 또한 하키(기후현 카카미가하라시), 사이클(시즈오카현 이즈시), 아티스틱 스위밍[8](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는 현외 개최가 결정되어 있으며, 가장 규모가 큰 축구의 경우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나가이 육상경기장 등 9개 경기장 중 5개가 현외로 분산된다. # 수영은 도쿄 아쿠아틱 센터, 승마JRA 승마 공원에서 개최된다. #

야구는 개최 여부가 미정이나 야구에 대한 일본의 애정과 관심 수준을 고려한다면 야구 종목의 개최 가능성은 높다. 개최될 경우 나고야 돔나고야 구장, 미즈호공원 야구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정후가 기적적으로 와일드카드 선수에 선발된다면[9] 생애 처음으로 자신이 태어난 고장에서 정식 경기를 하게 된다.[10]

선수촌은 미즈호 스타디움에서 서쪽으로 8km 정도 떨어진 옛 나고야 경마장 부지에 세워진다. 1만여 명에 달하는 선수단을 수용하기에는 턱도 없기 때문에 공공 연수시설이나 숙박시설로 대거 분산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존 나고야시에 있던 나고야 경마장이 2022년 3월 11일 73년 만에 폐장 후 3월 22일부로 아이치현 야토미시의 야토미 경마 트레이닝 센터 부지로 이전하였다.


5. 기타[편집]


  • 나고야시는 아이치현으로부터 약 850억 엔의 비용을 받으며, 이 중 30%는 후원 및 기타 수입으로 충당될 것으로 보인다. #


  • 직전 대회인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이 코로나19 여파로 2023년으로 연기됨에 따라 만일 당초 계획대로 2026년에 대회가 진행된다면 1,000일이 안 되는 3년 만에 짧은 주기로 열리게 될 아시안 게임이 되어 아시아 각국의 예선전이 빠듯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 그렇지만 OCA가 최근 동계올림픽과 월드컵을 같은 년도에 개최하여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아시안게임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두 대회를 피하여 홀수 년도에 개최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홀수 년도에 개최가 확정된다면 2027년에 개최될 가능성이 있다. # 원래는 2019년에 개최 예정이었던 하노이 아시안 게임부터 이렇게 될 예정이었으나 하노이가 개최권을 반납한 후 대신 개최하게 된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이 인도네시아의 대통령 선거 일정으로 인하여 예년처럼 2018년에 개최되면서 한 번 흐지부지되었었으나, 아무도 예상 못한 팬데믹으로 그 다음 대회인 항저우 아시안 게임이 1년 밀리면서 이 움직임이 다시 활성화된 것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0:25:22에 나무위키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때와 개최 날짜가 똑같다.[2] 다소 이례적이지만 상급 지방정부인 현이 먼저 입후보했고 나고야시가 그 다음에 나섬으로써 공동개최 형식이 되었다. 이해가 안 되면 대한민국 경기도수원시가 공동개최하는 것과 거의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3] 단, 어디까지나 개최 주체가 두 단계의 지방정부일 뿐 개최지 자체는 나고야를 중심으로 하므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과 같은 분산개최 개념은 아니다.[4] 수영, 양궁, 육상, 배드민턴, 농구, 권투, 카누, 사이클, 승마, 펜싱, 축구, 골프, 체조, 핸드볼, 필드 하키, 유도, 근대 5종, 조정, 럭비, 요트, 사격,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배구, 역도, 레슬링, 브레이킹, 스케이트보드, 스포츠 클라이밍, 서핑[5] 우슈(동아시아), 세팍타크로(동남아시아), 카바디(남아시아), 쿠라시(중앙아시아), 주짓수(서아시아)[6] 가칭이며 현재 있는 아이치 체육관(통칭 돌핀아레나)을 신축 이전하는 곳이다. 메이죠공원 내 야구장에 지을 예정이다.[7] 2015년부터 명명권 적용으로 파로마 미즈호 스타디움 명칭을 사용하지만 국제대회에는 용인되지 않으며, 재건축 후 위탁운영이 예정되어 있어 재개장 후에는 공식명칭이 바뀔 가능성이 높다.[8] 이전에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이라고 하던 종목으로, 2017년에 변경되었다.[9] 이미 이정후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예술체육요원 편입 혜택을 받았다. KBO 리그에서 계속 뛴다면 차출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겠지만 MLB로 진출한다면 차출 가능성은 0%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MLB 구단에는 아시안 게임에 대한 선수 차출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유럽 리그에서 뛰는 축구 선수들이 아시안 게임 차출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와 똑같다.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추신수가 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대회가 비시즌 기간인 11월에 열렸고 추신수의 병역 면제 여부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게도 상당한 관심사였기 때문에 차출을 허용해준 것이다. 막바지 순위 싸움이 한참일 시점에 이미 병역 문제까지 해결한 선수를 보름 이상 국가대항전에 순순히 보내줄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10] 이정후는 아버지 이종범주니치 드래곤즈에서 뛰던 1998년 나고야에서 태어났다. 다만 2001년 아버지가 KIA 타이거즈로 복귀하면서 만 3세를 갓 넘긴 이정후도 대한민국으로 영구 귀국했고 중학교 2학년 때까지 아버지의 고향인 광주광역시에서 자랐다. 그리고 아버지의 현역 은퇴와 동시에 서울특별시로 이사를 갔고 휘문고를 졸업한 덕에 서울 연고팀인 넥센 히어로즈의 1차 지명을 받아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