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M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2008년 9월 4일 데뷔한 JYP엔터테인먼트의 대표 6인조 다국적 보이그룹이다.
2. 멤버[편집]
2.1. 멤버 간 케미[편집]
3. 음반 목록[편집]

3.1. 한국[편집]
[1] 팬덤 HOTTEST 전용 계정이다.[2] 여담으로, 이 앨범에 박진영이 참여한 곡은 겨우 두 개다. 2PM의 일본 2번째 싱글 <I'm your man>과 4번째 싱글 <Beautiful>의 한국어 버전들. 사실 이전에 만든 곡들을 번안만 한거라 사실상 참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분류
3.2. 일본[편집]
4. 수상[편집]
- 2009년
- 20's Choice - 썸머 더위사냥 인기상, 퍼포먼스 스타상
-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 남자 그룹상, 올해의 가수상
- 골든디스크 본상
- 멜론 뮤직 어워드 TOP 10 (본상)
- KBS 가요대축제 최고 인기 가요상
- 2010년
- 아시아모델시상식 BBF 인기가수상
-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본상, 하이원 인기상
-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2009 본상
- 20's Choice 가장 영향력 있는 스타 20인, 다음 검색 핫 스타상
- MTV 뮤직 아너스 아시아 최고 인기가수상
-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남자가수 부문
-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 신라면세점 아시아 웨이브상, 남자그룹부문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상, 남자 그룹상
- 멜론 뮤직 어워드 TOP 10 (본상)
- 2011년
- 니켈로디언 코리아 키즈 초이스 어워드 좋아하는 남자가수상
- 2012년
- 일본 골드디스크상 아시아부문 - 베스트 3 뉴 아티스트, 올해의 뉴 아티스트
- 일본 MTV Video Music Awards 베스트 그룹 비디오상
- 2013년
- MBC 방송연예대상 가수부문 인기상
- 2014년
-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Youku Tudou 베스트 뮤직비디오상
- SBS 가요대전 글로벌 스타상
5. 활동[편집]

6. 공연[편집]
6.1. 2PM 단독 콘서트[편집]
- 2PM 1ST CONCERT "Don't Stop Can't Stop" (2010)
- 2PM 1st JAPAN TOUR 2011 "Take off" (2011)
- 2PM Hands Up ASIA TOUR (2011~2012)
- 2PM ARENA TOUR 2011 "REPUBLIC OF 2PM" (2011)
- 2PM "Six Beautiful Days" (2012)
- 2PM ASIA TOUR "WHAT TIME IS IT?" (2012~2013)
- 2PM ARENA TOUR 2013 "LEGEND OF 2PM" (2013)
- LEGEND OF 2PM in TOKYO DOME (2013)[5]
- 2PM ARENA TOUR 2014 "GENESIS OF 2PM" (2014)
- 2PM WORLD TOUR "GO CRAZY" (2014~2015)
- 2PM ARENA TOUR 2015 "2PM OF 2PM" (2015)
- 2PM CONCERT "HOUSE PARTY" (2015)
- 2PM CONCERT "HOUSE PARTY" in Japan (2015)
- 2PM Six "HIGHER" Days Tour (2015)
- 2PM CONCERT "HOUSE PARTY" in Bangkok (2016)
- 2PM ARENA TOUR 2016 "GALAXY OF 2PM" (2016)
- THE 2PM in TOKYO DOME (2016)
- 2PM "6nights" CONCERT (2017)
6.2. 멤버 솔로 콘서트[편집]
- JUNHO (From 2PM) 1st Solo Tour "キミの
声 (키미노코에 | 너의 목소리)" (2013, 준호)
- Jun. K (From 2PM) Solo Tour "LOVE & HATE" (2014, JUN. K)
- JUNHO (From 2PM) Solo Tour 2014 "FEEL" (2014, 준호)
- WOOYOUNG (From 2PM) Japan Premium Showcase Tour 2015 "R.O.S.E" (2015, 우영)
- JUNHO (From 2PM) Solo Tour 2015 "LAST NIGHT" (2015, 준호)
- JUNHO (From 2PM) SOLO CONCERT "LAST NIGHT IN SEOUL" (2015, 준호)
- Jun. K (From 2PM) Solo Tour 2015 "LOVE LETTER" (2015, JUN. K)
- JUNHO (From 2PM) Solo Tour 2016 "HYPER" (2016, 준호)
- JUNHO (From 2PM) Special Encore Concert "LAST HYPER NIGHT" (2016, 준호)
- Jun. K (From 2PM) Solo Tour 2016 "NO SHADOW" (2016, JUN. K)
- TAECYEON (From 2PM) Premium Solo Concert “Winter
一人 (윈터 히토리 | 겨울의 외톨이)” (2017, 택연)
- JUNHO (From 2PM) Solo Tour 2017 "2017 S/S" (2017, 준호)
- WOOYOUNG (From 2PM) Solo Tour 2017 "まだ
僕 は・・・ (마다 보쿠와 | 아직 나는...)" (2017, 우영)
- WOOYOUNG 1st Solo Concert "엥? CALL!" (2018, 우영)
- JUNHO (From 2PM) Winter Special Tour “
冬 の少年 (후유노 쇼-넨 | 겨울소년)” (2018, 준호)
- Jun. K (From 2PM) Solo Tour 2018 "NO TIME" (2018, JUN. K)
- CHANSUNG (From 2PM) Premium Solo Concert 2018 “Complex” (2018, 찬성)
- JUNHO (From 2PM) Solo Tour 2018 “FLASHLIGHT” (2018, 준호)
- NICHKHUN (From 2PM) Premium Solo Concert 2018 “HOME” (2018, 닉쿤)
- JUNHO (From 2PM) Last Concert "JUNHO THE BEST" (2018, 준호)
- NICHKHUN SOLO CONCERT 'HOME' ENCORE IN JAPAN ~ Sweet 624 ~ (2019, 닉쿤)
- NICHKHUN (From 2PM) Premium Solo Concert 2019-2020 "Story of ..." (2019-2020, 닉쿤)
- JUNHO (From 2PM) SOLO CONCERT "JUNHO THE BEST IN SEOUL" (2019, 준호)
7. CF[편집]
- Bench (필리핀) (닉쿤)
- CJ그룹 ONE카드 (택연)
- EXR
- HANAMI Snack (태국 과자)
- OB맥주 카스 (윤은혜와 함께 출연)
- OPPO LOMO ME (태국 핸드폰)
- 금강제화 SPRIS
- 네파 (NEPA)
- 로사케이 (닉쿤)
- 롯데면세점
- 리복 (Reebok) (택연, 우영)
- 미스터피자
- 미츠비시 New Mirage (태국 자동차)
- 비알코리아 배스킨라빈스 31(닉쿤)
- 삼성전자 애니콜 코비 (Corby), 노리 F (Nori F), 갤럭시 U, 갤럭시S3
- 삼성전자 디카 (닉쿤)
- 에드윈 (닉쿤)
- 오리온그룹 마켓 오
- 오뚜기 보들보들 치즈라면(닉쿤)
- 웅진 코웨이
- 유니세프 (태국)(닉쿤)
- 에버랜드 캐리비안 베이, 호러메이즈
- 에비수진 (택연, 우영)
- 엘리트(교복 브랜드)
- 자연이 만든 레시피 (우영)
- 지히크 파렌하이트 (택연)
- 채리어트 (택연)
- 파리바게트
- 페리카나
- 코카콜라 미니코크, DK (택연), 미닛메이드 펄피 (닉쿤), 코카콜라 제로 (찬성)
- 캘빈클라인 진
- 토니모리
- 텐바이텐
- 한국관광공사
- 한국야쿠르트 '산타페' (캔커피)
- 한불화장품 잇츠스킨
- SK 브로드밴드 옥수수 (택연)
- 토니모리
- 살레와 (택연)
- 테이크핏 (택연)
- 젝시믹스
- 동원참치 (준호, 찬성)
- 삼성 갤럭시 Z 폴드3/Z 플립3 (준호)
- 록시땅 (준호)
- 페이퍼백 (준호)
- 젝시믹스 코스메틱 (준호)
- 고디바 (준호)
- 써브웨이 (준호)
- 도미노피자 (준호)
- 팔도 비빔면 (준호)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슈퍼 웹툰 프로젝트 세이렌 (준호)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슈퍼 웹툰 프로젝트 당신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준호)
- 대상 마이밀 (준호)
- 쿠쿠 CUCKOO(준호)
- 원스토어 (택연)
8. 방송[편집]
8.1. 예능[편집]
8.2. 라디오[편집]
9. 일본 인기[편집]
2세대 한국 보이그룹의 인기순으로 동방신기, BIGBANG, SHINee 다음으로 언급된다. 일본 5개 도시 16만 명 동원 아레나 투어에서 좌석의 급 매진으로 티켓을 구하지 못한 현지 팬들의 요청으로 시야제한석까지 오픈해 전석 매진시킬 정도이며 솔로로도 관객을 동원할 수 있다. 2016년 10월 26일, 10월 27일 양일 간에 열린 도쿄돔 공연이 일본에서 100번째 공연이었다. 양일 관객 동원 수는 10만 명으로 도쿄돔에서 콘서트가 가능한 몇 안되는 한국 아이돌 중 하나이다. 2016년 일본 콘서트 투어 관객동원 순위에서 BIGBANG, 샤이니, iKON 다음으로 26만 명을 기록했다.
그리고 남성 아티스트로서는 최초로 일본 유명 패션지 바일라의 표지를 장식했다. 바일라는 일본 출판사 슈에샤에서 출간하는 여성 패션지로 여성들로부터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2001년 창간 이후 15년 간 여자가 표지 모델이었는데 바일라에 남성 아티스트로는 최초로 2PM이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10. 여담[편집]
- 멤버마다 상징적으로 쓰이는 이모티콘이 있다.[13]
- 멤버들이 전부 덩치도 크고 키도 큰 편이라 평균 키가 181cm이다. 단신라인인 우영, 준호의 키도 178cm. 때문에 다같이 모여 서 있으면 이 두 명이 무척 작아보이지만, 개인 활동 등에 나가 다른 연예인들과 서 있으면 확연히 큰 게 티가 난다. 팬들은 우스개소리로 여기선 조그마한데 밖에 나가면 거인들이다라고 할 정도.
- 탈 박진영을 시작한 이후 요즘이야 개성 넘치지만, 10년 전만 해도 JYP는 회사 색에 맞는 멤버만 뽑네, 모두를 박진영화시켜서 소속가수들의 개성이 없네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사실 2PM은 멤버별 개성이 장난 아니게 강한 팀이다.[26] 단순히 생긴 것만 봐도 모든 멤버들의 얼굴 카테고리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고[27] , 팬들에게 주로 어필하는 매력 역시 각각 다르며, 멤버들이 작사/작곡한 곡이나 콘서트에서 하는 개인무대들을 봐도 각자가 추구하는 음악적 색깔이 전혀 다르다. 춤 스타일 역시 멤버별 캠을 보면 각자 스타일이 매우 확고하다. 이렇게 멤버들의 개성이 많이 강하면 그룹으로서의 케미는 잘 안 맞지 않느냐고 할 수 있는데, 2PM은 모든 멤버들의 개성이 고스란히 팀의 색깔이 되고 그 개성들이 동시에 튀면서 엄청나게 시너지를 일으키며 치고 나간 팀이다. 그룹색을 너무 중시하다 보면 멤버 개개인의 매력이 묻히는 경우가 많고, 멤버 각각이 튀기 시작하면 정작 그룹색은 중구난방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2PM은 확고한 팀 컬러와 멤버별 개성을 동시에 잡은 성공적인 캐스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멤버들 모두 올라운더 포지션(보컬, 랩, 댄스)을 소화할 수가 있다.[28]
- 그 외 특이할 만한 사항으로는 멤버 전원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데뷔를 했고[29] , 맏형라인 3명이 모두 동갑이고, 막내라인 3명도 친구로 지내고 있다.[30] 리더가 없는 것과[31] 전 멤버가 연기 경력이 있으며[32] , 닉쿤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작곡 및 프로듀싱을 한다.[33] 닉쿤도 솔로 앨범 《Me》부터 작사와 작곡을 시작했다.
- 같은 소속사의 2AM과는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형제그룹이지만 모양새는 완전히 다르다. 박진영이 붙인 2PM이라는 그룹명은 “하루 중 가장 뜨거운 오후 두시에 듣기 좋은 음악을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연습생을 함께 거쳤고 비슷한 연령대의 같은 소속사 그룹이다보니 사적인 자리에서는 형제와 같은 친분을 유지하곤 했다.
- 데뷔 당시에는 SM엔터테인먼트가 아이돌 시장 패권을 장악하고 YG엔터테인먼트의 BIGBANG이라는 그룹의 대성공으로 양강 체제가 굳어져 갔기에 원더걸스 주도 형태로 돌아가던 JYP엔터테인먼트에서는 남자아이돌의 성공 여부가 불확실했다. 그러나 SM의 미소년형의 실력파 아이돌, 빅뱅의 개성 강하고 재능 많은 악동 이미지 사이를 파고들어 SM 아이돌에게는 볼 수 없는 자유분방함과, YG엔터테인먼트 아이돌에게서 볼 수 없던 키와 몸매 및 아크로바틱 춤 등을 선보이며 박진영 스타일을 함축해 놓은 싱글 《Hottest Time Of The Day》으로 시작과 동시에 도약하게 된다. 일명 ‘체고생’ 이미지로, 이는 두번째 싱글의 발매와 더불어 “짐승돌”이라는 타이틀을 만들며 국내에서 새로운 입지를 선점하는데 성공했다.
- 10대들을 주 타겟으로 하는 아이돌이 하기에는 다소 과감한 혹은 솔직한 방송감과 공연 등이 오히려 2PM이 가질 수 있는 인기의 요소가 되었고, 이는 지상파보다는 다소 제약이 없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예능 프로들을 통해 확고한 매력으로 자리잡는다. 또한 두번째 싱글 《2:00PM Time For Change》의 성공으로 팬덤 또한 확고해지며 최정상급 아이돌의 하나로 올라선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온 박재범 2PM 영구탈퇴 사건을 전후한 후폭풍의 여파로 최정상의 자리를 그리 오래 지키지는 못하게 된다. 이후, 아이돌 시장의 엄청난 팽창으로 인한 3대 기획사 이외의 연예기획사 아이돌들의 성공, 오디션 프로그램의 활성화, 기존 음악 시장의 다양성 증대 등으로[34] 최전성기 시절에 비해 못 미치는 현재를 보내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그룹의 브랜드 밸류 유지 및 향상보다는 자신들만의 활동 영역을 구축하는 데 더욱 주력하고 있다. 일부 멤버들의 타 소속사 개인 매니지먼트 및 멤버들의 입대 러쉬에 따른 군백기가 신화, SHINee보다 더욱 길었던 점도 이를 시사하는 바.
- 짐승돌이라는 독보적인 컨셉으로 구축된 건강한, 건실한 이미지와 대중적인 인지도, 호감도를 바탕으로 굉장히 드물게 광고계를 휩쓸며 좋은 대우를 받는 보이그룹이며, 광고효과도 좋아 재계약률 또한 높다. TVCF 모델 랭킹에 그룹과 멤버 개개인이 모두 상위권에 진입한 적도 있다.# 코카콜라의 경우 북극곰을 제외한 전세계 모델 중 최초로 재계약을 달성했고, 아웃도어 브랜드인 NEPA와 안경점 브랜드인 룩옵티컬의 경우 2PM에게 절을 해야 할 수준으로, 카스맥주는 2PM을 모델로 기용할 당시 하이트를 제치고 업계 1위를 달성했다가 계약이 끝난 뒤 다시 2위로 내려가는 진기한 상황까지 나왔었다. 캐리비안 베이는 여성 모델이 1년마다 바뀔 때 3년을 연속으로 광고모델 자리를 지켰다. 찍기도 많이 찍었지만 보면 전부 굵직한 상표들의 모델을 해왔고 도맡고 있다.[36]
- 동년에 데뷔한 샤이니하고는 180도 다른 컨셉으로 인해 자주 비교되었으며 데뷔초에는 무개념팬들로 인해 갈등도 꽤 있었다고 전해진다. 다만 멤버들끼리는 그럭저럭 괜찮은 관계를 유지한 듯 하다.
- 멤버별로 자작곡을 할 때 각자 자기들만의 작곡 메이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1.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2PM/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고.

[5] 4월20일 21일 양일간 11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6] 11월 4일 방영분[7] 11월 28일 방영분[8] 8월 4일 방영분[9] 6월 2일 방영분[10] 안타까운건 준호의 분량이 통편집(...) 당했다.[11] 택연은 참 좋은 시절 쵤영으로 불참[12] 현재 시즌, 왓챠에서 스트리밍 가능[13] 하트는 상징 색을 의미하고, 동물은 일본에서 진행한 주피엠 컨텐츠에서 생긴 것이다.[14] 분홍색[15] 판다랑 닮아서[16] 빨간색[17] 코알라, 닉쿤 자신이 잘때 무언가를 끌어안고 잔다는 것에서 골랐다고 한다.[18] 초록색[19] 옥캣, 참고로 고양이 색이 상징색인 초록색이다.[20] 파랑색[21] 팬들이 예전부터 우영을 병아리 같다고 하기도 했으며, 드림하이 당시에 새 처럼 생겼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22] 노랑색[23] 황제라는 별명에서 나온것으로, 황제펭귄을 의미한다.[24] 보라색[25] 찬성의 에피소드 중 바나나 50개 중에서 49.5개를 먹은것으로 유래되었으며, 유일하게 동물이 아니다.[26] 비단 2PM만 그런 게 아니라 JYP가 이런 멤버별 개성이 강한 팀 구성을 많이 한다. 그리고 소속가수들의 개성이 없다기엔 소속 아이돌 그룹들의 팀 컬러가 겹치는 경우 또한 없다.[27] 그나마 비슷한 카테고리로 묶이는 얼굴이 우영과 준호인데,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하게 보일 순 있어도 정말 닮았다기엔 두 사람의 이목구비 특징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기엔 어폐가 있다.[28] 택연, 찬성, 닉쿤은 타이틀곡에서 랩파트를 소화했으며 나머지 멤버들도 본인의 솔로곡이나(참고로 JUN. K는 메인보컬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앨범에 랩만 하는 곡을 수록하기도 했다.) 팀의 수록곡에서 랩파트를 소화했다.[29] 준호와 찬성은 빠른년생이라 미성년자여서 초창기 카스맥주 광고에 함께하지 못했다.[30] 1990년생인 준호와 찬성은 각각 1월, 2월생으로 빠른년생이며 1989년생인 우영과 친구로 지내고 있다.[31] 일부 언론에서는 박재범의 탈퇴 이후 연장자이고 메인보컬인 JUN. K를 리더로 착각하기도 하는데, 공식적인 리더는 없다.[32] 2017년 현재 국내에서 활발한 연기활동을 하는 멤버는 택연, 준호, 찬성 3명이 있다. 해외에서는 닉쿤이 연기활동을 한다. 우영은 드림하이에서 연기 활동을 했었고, 준케이는 뮤지컬에 참여하고 있다.[33] 닉쿤도 자작곡이 있긴 하지만 2013년 'Let It Rain'을 발매한 뒤로 작곡 활동은 하지 않고 있다. 'Let It Rain'도 팬들을 생각하면서 유일하게 쓴 곡이고 본인도 작곡에 대해 큰 욕심은 없다고 한다...고 싶었으나 회사에서 닉쿤이 2018년 12월에 일본에서 공식적으로 솔로 데뷔 미니앨범을 발매하고 활동한다고 밝혔다. 일본 기사, 한국 기사[34] 좀 더 내부적으로 접근하면 2012년 닉쿤의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앨범 발매 연기 등으로 2년의 공백을 두고 발매된 정규 3집 《Grown》의 대중성을 배제한 전반적인 어두운 음악관 역시 하락세를 촉진시킨 발화점이 된 셈이다.[35] 개인 수입으로 따지자면, 당시 걸어다니는 중소기업으로 불리던 수지의 정확히 2배라고 라디오 스타에서 박진영이 밝혔다. 수지보다 더욱 수입이 큰 6명이 한 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36] 한창 악성 소문이 판치던 시절 “2PM이 광고모델 단가를 후려쳐서 박리다매로 광고를 찍는다”는 루머가 양산되기도 했는데, 그간 찍어온 진용만 봐도 이는 말터무니없는 루머일 뿐이다. 당장 위에서 든 예시만 보아도, 전부 후술되어 있지는 않지만 더 많은 예시들이 있는데 삼성전자, SPC 계열, 롯데칠성 등 대부분이 국내에서 내로라하는 상표들이다. 즉, 단가를 후려쳐서 찍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37] 아예 둘이서 143v라는 프로듀싱 팀을 결성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