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걸스
덤프버전 : r2023030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color: #aaa; min-width: 100%"
[ 전 멤버 ]
[ 한국 음반 ] - }}}
[ 해외 음반 ] - }}}
[ 관련 문서 ]
1. 개요[편집]
2007년 2월 10일 데뷔해서 2017년 2월 10일에 해체된, JYP엔터테인먼트 최초의 아이돌 걸그룹이자 대한민국의 2세대 대표 걸그룹 중 하나이다.안녕하세요, 원더걸스입니다!
Spread The Wonder! [3]
2. 상세[편집]
초기의 원더걸스는 선예를 중심으로 현아, 소희, 선미의 4인조로 준비되었다가 데뷔 직전 비공개 오디션[4] 을 통해 마지막 멤버 예은이 발탁되며 5인조로 시작했다. 그러나 데뷔 해인 2007년 7월, 현아가 건강상의 문제로 그룹을 탈퇴하여 유빈이 투입되었고, 이후 2010년 1월 23일, 미국활동 중 선미가 활동 중단을 발표하여 새 멤버 혜림이 투입되었다. 추후 2015년 7월에는 3년만의 컴백 전, 결혼한 선예와 연기자 전향으로 소속사가 달라진 소희가 탈퇴함과 동시에 활동 중단 상태였던 선미가 재합류해 4인조가 되었다.
2007년 9월에 발매된 정규 1집 《The Wonder Years》의 타이틀곡 〈Tell Me〉가 범국민적으로 크게 히트하면서 2세대 아이돌 산업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So Hot」, 「Nobody」의 3연속 히트곡 라인[5] 을 탄생시키며 발라드 위주의 가요계 흐름[6] 을 뒤엎고 국민 걸그룹 으로서 압도적인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7] 2009년 초 2세대 걸그룹 중 가장 먼저 국제 진출에 나섰는데[8] 「Nobody」가 아시아 전역에서 대히트[9] 하여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지상파 TV 토크쇼 [10] 에 출연하고, 빌보드 Hot 100 차트''' 진입에 성공하며 초창기 K-POP 열풍의 단연 선두에 섰다.
데뷔 10년차인 2016년, 걸그룹 세대교체의 흐름[11] 속에서도 멤버 4명 전원의 전곡 작사, 작곡, 악기 녹음으로 완성한 「Why So Lonely」로 3분기 디지털 음원 종합 1위를 차지하고, 2세대 걸그룹으로서는 유일하게 각종 연말시상식의 여자그룹상 후보에 오르며 [12] 아이돌 걸그룹을 넘어 셀프 프로듀싱 밴드로서 화려한 부활을 알렸다. 〈2 Different Tears〉, 〈Be My Baby〉, 〈Like This〉 등의 모든 활동곡들이 흥행을 했다. 그러나 2017년 1월 전속 계약 만료로 예은과 선미가 JYP엔터테인먼트를 떠나고, 유빈과 혜림은 JYP와 재계약하며 데뷔 10주년인 2017년 2월 10일 굿바이 싱글 「그려줘」를 끝으로 그룹 해체를 공식화했다.
해체 이후에도 멤버들은 서로 친분을 유지한 채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는 중이며, 현재까지도 대중들은 물론 많은 후배 아이돌들에게 레전드 걸그룹이자 롤모델로 회자되고 있다. 최근 2020년 6월, 부러우면 지는거다 방송을 통해 소희, 선미, 유빈이 혜림의 결혼을 축하하는 브라이덜 샤워 현장에 함께하였다. 사정상 선예, 예은은 영상 통화로 함께했으나 결혼식 당일에는 현장서 축가를 불러주었다.현아는 혜림과 같이 활동 한 적이 없어 나오지 않았다. JYP엔터테인먼트의 박진영 프로듀서까지 방송에 출연하며 여전히 끈끈한 인연을 자랑하는 모습에 팬덤을 넘어 대중들도 훈훈한 반응을 보였다.
2.1. 그룹명[편집]
'원더걸스'라는 이름은 Wonder의 단어 뜻 그대로 세상을 놀라게 하는 그룹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는 범 세계적인 그룹과 전 연령층을 공략하는 방향성을 드러낸다.
특이점이 있다면 'Wonder Girls'의 스펠링을 다시 조합해보면 'World Singer'라는 단어로도 재생성된다. 물론 이를 그룹명 작명 때 은연중에 노렸다고는 할 수 없고 그저 우연의 일치. 진짜로 그룹명에 애너그램을 적용한 대표적인 걸그룹으로는 LE SSERAFIM이 있다.
흔히 줄여서 ‘원걸’이라고 주로 불리우며 팬들 사이에서는 완도군수[13] 같은 은어로도 사용한다. 공식 영문명은 Wonder Girls. 하지만, 어느 곳에서는 The Wonder Girls라고도 불려지며 줄여서 WG라고도 많이 사용된다. 일본어로는 ワンダーガールズ로 불리며, 중국어로는 奇迹女孩(奇蹟女孩)로 불린다.
대표적으로 이름에서부터 Tell Me 뮤직비디오에서 소희가 원더우먼 콘셉트을 한 것을 보고 대중들은 당연히 원더우먼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라 생각한다.[14] 하지만 '원더걸스'라는 이름은 본래 정식 데뷔 전 MTV에서 방영한 멤버들의 일상생활과 데뷔 준비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의 제목[15] 일 뿐이었고[16] , 당시의 진짜 팀 이름은 Ladies City.[17] 줄여서 LC라는 박진영이 만든
게다가 멤버들 이름도 본명이 아니라 예명으로 활동할 예정이었는데 선예는 써니, 예은은 실버, 현아는 민트, 선미는 베리, 소희는 IC였다. 허나 당시 MTV 원더걸스의 메인PD였던 마크PD[19] 가 "원더걸스를 그대로 쓰자", "본명들도 예쁜데 왜 예명을 쓰냐"고 건의를 했고, 그로 인해 원더걸스란 이름과 성을 제외한 본명을 유지한 채 정식으로 데뷔를 하게된 것.[20]
2.2. 콘셉트[편집]
- 메인 콘셉트는 레트로(복고). 한국의 걸그룹들이 매 앨범마다 다른 컨셉의 새로운 음악과 비쥬얼을 선보이는 것과 달리 원더걸스는 60~80년대의 미국 팝을 기반으로 하는 모습들만 보여주었었다. 특히 원더걸스 사운드하면 레트로라고 알려질 정도로 레트로를 주로 하는 그룹인데 전성기를 함께한 Retro Trilogy(텔소노)를 비롯해 2DT까지 타이틀이 모두 레트로곡이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 데뷔 곡인 〈아이러니〉나 〈이 바보〉[21] 를 보면 초기엔 복고 콘셉트를 지향하지 않았으나 '텔소노'의 메가히트로 인해 아예 팀 컬러를 복고로 잡아버린 듯한데, 상술했듯이 원더걸스란 이름이 박진영의 아이디어가 아닌 외부인의 아이디어였기에 초기 기획단계에서 '복고'는 의도치 않은 방향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확실히 데뷔곡인 '아이러니'를 보면 복고의 모습보다는 소녀시대와 같이 군무를 주로 이용한 춤이 돋보였는데 그 당시 소녀시대의 콘셉트이 청순 및 청량이었다면, 원더걸스는 요즘 말로 걸크러시가 메인 콘셉트였던 셈. [22][23] 2007년도 당시만 해도 여자아이돌로서는 도전적인 콘셉트였다. 이후 복고 콘셉트로 변신에 성공해 3연속 메가히트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미국 진출 후에는 레트로팝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울과 업템포를 믹스하거나(Be My Baby), 덥스텝과 셔플리듬을 가지고 나오기도 하고(The DJ Is Mine), 일렉트로 힙합과(Like This) 일렉트로닉 사운드곡까지(Like Money)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기도 했다.원더걸스의 이런 활동양상이 후배 아이돌들이 아이돌이라는 태생적 한계에 머무르지 않고 아티스트를 표방하며 다양한 장르와 콘셉트을 추구하게 되는 데에 있어 초석을 닦았던 것으로 평가를 받기도 한다.
- 2015년에 4인조로 개편하고 밴드와 댄스를 겸하는 그룹이 된 뒤에는 다시금 복고적 사운드로 돌아오게 되었는데, 1980년대의 일렉트로 펑크(funk) 팝 혹은 프리스타일(freestyle), 레트로 팝과 슬로우 잼을 선보였고 박진영이 타이틀곡 제작에서 손을 뗀 2016년 싱글에서는 레게팝이나 70년대 밴드사운드 또 팝 록 장르의 곡도 수록하는 등 곡에 따라 복고라는 메인콘셉트을 유지하거나 또는 변신해가면서 다양한 장르를 현대적으로 소화해내는 그룹이 되었다.
- 비록 원더걸스 하면 떠오르는 대표 이미지는 복고이지만, 활동 곡 중 〈아이러니〉, 〈이 바보〉, 〈Like This〉를 보면 미국의 어반 힙합 스타일이 주를 이루는데 프로듀서인 박진영의 음악 취향이 강하게 반영되는 그룹이었었다. 원더걸스의 데뷔 앨범부터 2015년 REBOOT 앨범까지의 타이틀곡을 다 박진영이 만들었던 것을 보면 이 그룹 자체에 박진영이 들인 노력을 알 수 있는 부분. 소속 가수였던 박지윤의 반전이미지메이킹에 성공해 프로듀서로서 역량을 인정받은 이후 데뷔와 동시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미쓰에이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까지, 부담없이 들을 수 있지만 음악성도 인정받는 박진영표 걸그룹 노래의 대표주자 격인 존재가 바로 원더걸스였던 것.[24]
3. 멤버[편집]
3.1. 전 멤버[편집]
3.2. 인원 변천사[편집]
- 위 표는 정식 데뷔 이전부터의 합류순서에 따라 정렬되었습니다.
데뷔 당시 멤버는 89년생 고3이었던 예은, 선예, 92년생 중3이었던 선미, 현아, 소희로 중3 멤버가 3명이라는[28] , 평균나이 고1의 만 15세정도의 전무후무한 나이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다 현아가 건강상의 문제[29] 로 정규 1집 준비 중 탈퇴했고, 오소녀 출신의 88년생 유빈이 급하게 합류했다.[30] 이후 선미가 학업 관계로[31] 2010년 2월에 활동을 중단하였으며 동년 3월에 새 멤버 혜림이 들어왔다. 소희는 2013년 12월에 계약만료로 JYP를 떠난후 2014년 2월 11일에 BH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하였으나, 원더걸스 탈퇴는 하지 않는다 밝혀서 향후 언제든 원더걸스로서 활동할 수 있다고 했었으나... 2015년 7월 20일 자로 결국 소희는 탈퇴 입장을 밝혔다. 선예 역시 같은 날 탈퇴를 하였다. 그리고 활동중단 했었던 선미가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선미가 활동중단 시절로 나오지 않았을 때는 이른바 '6인걸스라고 해서 원더걸스 완전체로 돌아오길 바라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다. 대중들 사이에서 현아처럼 탈퇴로 인식되어 있든 간에 선미는 여전히 원더걸스 멤버(탈퇴가 아닌 활동중단)이고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완전히 0%였던 것은 아니기 때문. 혜림이 아리랑TV 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때, 팀의 멤버로 Sun, Yenny, Yu-bin, Mimi, Sohee, Lim라고 언급했는데 여기서 Mimi가 바로 선미인 것. 그리고 마침내 선미가 원더걸스 복귀가 확정되면서 드디어 6인걸스를 볼 수 있는 듯 했으나, 같은 날 선예와 소희의 탈퇴가 확정이 되어 결국 6인걸스는 꿈의 라인업으로 남게 되었다.
예은은 1기 체제에 가장 마지막으로, 팀 데뷔를 한 달여 앞두고 합류했으나 탈퇴나 활동 중지 없이 모든 원더걸스에 활동에 참여한 유일한 멤버이다. 마지막 멤버가 원더걸스의 역사가 되어버린 케이스.
2010년 2월에 합류한 혜림은 2013년 2월 이후로 원더걸스로 활동한 기간이 선미의 활동 기간을 뛰어넘었다. 선미는 2007년 2월 원더걸스의 데뷔와 함께 활동을 시작해 2010년 2월 데뷔 3주년 직전에 활동을 중단, 2015년 재합류 이전까지는 원더걸스로 2년 11개월 동안 활동했다.
정규 3집 이전까지 응원법에서는 민선예 박예은 선미짱[32] 안소희 김유빈 우혜림 순서로 불렸다.[33] 정규 3집부터는 박예은 이선미 김유빈 우혜림으로 바뀌었다.
3.3. 멤버 간 케미[편집]
- 언니 라인
- 유빈 & 예은 & 선예 : 언니 라인, 원성삼 라인 / 88년생 그리고 89년생 멤버들로 구성된 언니 라인으로 2008년에는 이 셋을 '원성삼' 라인으로 불렀다. 원더걸스 성인 3인방의 약어로 당시 예은과 선예가 성인이 되면서 원더걸스의 성인 멤버가 셋이었기 때문이다.
- 예은 & 선예 : 89년생 동갑 라인, 메인보컬 라인, 투예 커플 / 팀 내에서 메인보컬을 맡고 있기 때문에 무대에서 케미를 자주 볼 수 있는 라인이다.
- 유빈 & 예은 : 언니 라인, 예빈 커플 / 원더걸스에서 최고 연장자와 두번째 연장자이다. 데뷔 초에는 서로 룸메이트이기도 했다. 서로 티격태격 하는 모습도 있으나 그만큼 친하게 지내기도 한다. 참고로 원더걸스에서 가장 오랫동안 활동했던 라인이기도 하다. 예은은 활동 종료까지의 모든 활동을 소화한 유일한 원년 멤버, 유빈은 원더걸스 두 번째 음반인 The Wonder Years때부터 활동 종료 때까지 모든 활동을 소화했었기 때문에 사실상 원년 멤버 취급을 받기도 한다.
- 유빈 & 선예 : 단발 라인 / So Hot 활동 당시 둘 다 단발로 활동하였던 적이 있는데 단발을 함으로써 예뻐진 미모로 주목을 많이 받았던 멤버들이다.
- 막내 라인
- 선미 & 현아 & 소희 : 92년생 동갑 라인 #1 / 청담중학교를 같이 다녔기도 한 이 셋은 데뷔 전 그리고 데뷔 초의 막내 라인으로 리얼리티에서 다양한 케미를 보여주었던 라인이기도 하다.
- 선미 & 소희 : 92년생 동갑 라인 #2, 미소 커플 / 원더걸스 전성기인 <Tell Me - So Hot - Nobody> 시절의 막내 라인으로 재밌는 모습을 많이 보여준 원더걸스를 대표했던 막내 라인이다. 이들에 케미는 2020년에도 계속되었다.
- 소희 & 혜림 : 92년생 동갑 라인 #3 / 2 Different Tears때 혜림이 합류하면서 생긴 라인으로 초반에는 이 둘의 분위기는 매우 어색하였으나 이후에 활동부터는 서로 친해진 듯한 모습이 많이 보였다.
- 선미 & 혜림 : 92년생 동갑 라인 #4 / 활동을 중단한 선미를 대신해 혜림이 합류하였던지라 선미의 복귀 전까지만 이들의 관계는 미스테리였으나 이후에 같이 활동을 하면서 비추어진 모습은 서로 굉장히 친한 것으로 밝혀졌다.[34]
- 선미 & 소희 & 혜림 : 92년생 동갑 라인 #5 / 단 한번도 다같이 무대를 섰던 적은 없는 라인이지만 2020년 혜림의 결혼식을 축하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모이면서 이들의 친목이 인증되었다.
- 선미 & 현아 : 92년생 동갑 라인 #6 / 이들의 케미는 특이하게도 원더걸스 때 보다는 2017년 이후부터 주목을 받은 라인이다. 선미의 '가시나' 활동과 현아의 'Following' 활동이 2017년 8월 다섯째주에 겹치게 되면서 이들의 만남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 이외의 라인
- 선예 & 선미 : 투선 커플
- 유빈 & 혜림 : 맏언니 + 막내 라인, 래퍼 라인, rrr엔터테인먼트 라인 / 원더걸스 활동 기간 동안 유빈이 혜림을 많이 챙겨주면서 생긴 케미다. 원더걸스 단독 리얼리티에서 유독 유빈과 혜림이 붙어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으며 현재에도 방송에서 자주 같이 출연하기도 한다. 그리고 둘 다 래퍼 포지션이 때문에 무대에서도 그들만의 케미를 자주 뽑내기도 한다. 2020년부터 혜림이 유빈의 소속사인 rrr엔터테인먼트와 첫 아티스트로 계약을 하면서 JYP 소속 시절 이후로 다시 같은 소속사에서 재회하게 되었다. 이후 유빈의 말로는 혜림이 원더걸스에 늦게 합류를 하였고 활동도 얼마 못했기 때문에 무대에서 본인의 모습을 많이 보여주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고 느껴져서 더욱 챙겨주었다고 한다.
- 유빈 & 선미 : 뉴마 커플, You & Me[35] 라인
- 예은 & 선미 : 은선 커플, 장신 라인
- 예은 & 현아 : 선미와 현아처럼 이들도 원년 멤버였던만큼 팀이 달라져도 만남은 계속되는 듯하다. 2019년에는 같이 춤을 추는 영상을 업로드하기도 했다.
- 선예 & 소희 : 민안 커플. ,
4. 활동[편집]

4.1. 음반 목록[편집]

4.2. 콘서트 활동[편집]

4.3. 방송 출연[편집]

4.4. 광고 활동[편집]
- 당시 최고의 아이돌그룹 이었던 것 만큼 당연히 CF활동 역시 대단했다. 최연소랑 최초보다는 다양한 분야에 CF모델로 활동하였다. 휴대폰, 피자, 지역홍보모델, 게임, 교복, 비타500, 치킨, 공명선거, 커피, 화장품,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줬다. 2DT때까지는 자신의 그룹명을 건 화장품 모델을 하였다. 이때까지 JYP의
”그룹 광고 아니면 안한다”그룹 철칙이 지켜지다가 11년도 이후부터는 압도적 인기멤버 안소희가 뛰어난 사복패션을 바탕으로 하는 Reebok과, 에잇 세컨드, 슈에무라 등으로 단독 광고를 하며 잘 나가고 있다.
4.5. 단독 예능[편집]
- MTV 원더걸스 시즌 1 ~ 시즌 4
- 원더걸스의 Wonder Bakery
- Welcome To Wonder Land
- Made In Wonder Girls
- REAL WG
- Comeback to Wonder Girls
5. 특징[편집]
- 삼촌팬이라는 기존 가요계에 존재하지 않았던[38] 소비층을 오랜만에 텔레비전 앞과 음반매장 안으로 다시 끌어낸 걸그룹이다.[39] 10~20대 비롯한 삼촌팬 을 코어팬층으로 흡수했고 음악은 어린아이부터 할아버지 할머니까지, 남녀노소 모두에게 폭넓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다. 팬층의 성별로 따지면 다른 걸그룹과 달리 주로 남성보다 여성 쪽에서 상당히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전성기로 알려진 2007~8년에는 남녀 비율이 거의 4 : 6으로 여성이 조금 많은 편이긴 했지만, 지금은 여성 쪽의 비율이 더 늘어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