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걸스

덤프버전 : r20230302




예은
선미
혜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color: #aaa; min-width: 100%"
[ 전 멤버 ]

[ 한국 음반 ]

파일:The Wonder Begins.jpg


파일:The Wonder Years.jpg


파일:So Hot.jpg


파일:Nobody.jpg

The Wonder Begins

싱글 1집

2007. 2. 13.
The Wonder Years

정규 1집

2007. 9. 13.
So Hot

싱글 2집

2008. 6. 3.
The Wonder Years - Trilogy

싱글 3집

2008. 9. 22.

파일:2 Different Tears.jpg


파일:Wonder World.jpg


파일:The DJ Is Mine.jpg


파일:Wonder Party.jpg

2 Different Tears

미니 1집

2010. 5. 16.
Wonder World

정규 2집

2011. 11. 7.
The DJ Is Mine

디지털 싱글

2012. 1. 12.
Wonder Party

미니 2집

2012. 6. 3.

파일:Like Money.jpg


파일:REBOOT.jpg


파일:Why So Lonely.jpg


파일:그려줘.jpg

Like Money

디지털 싱글

2012. 7. 10.
REBOOT

정규 3집

2015. 8. 3.
Why So Lonely

싱글 4집

2016. 7. 5.
그려줘

디지털 싱글

2017. 2. 10.
}}}

[ 해외 음반 ]

파일:WONDER GIRLS Taiwan Special Edition.jpg


파일:Nobody For Everybody.jpg


파일:WONDER BEST.jpg


파일:I Feel You (Chinese Ver.).jpg

Taiwan Special Edition

스페셜 에디션

2010. 2. 17.
Nobody For Everybody

미니 앨범

2012. 7. 25.
WONDER BEST

베스트 앨범

2012. 11. 14.
I Feel You (Chinese Ver.)

디지털 싱글

2015. 10. 23.
}}}





원더걸스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_멜론 뮤직 어워드.jpg
올해의 노래상[1]
백지영
사랑안해
{2006년)

원더걸스
<Tell Me>
(2007년)


원더걸스
<So Hot>
(2008년)

파일:seoulmusicawards2.png
서울가요대상 대상
BIGBANG
<마지막 인사>
(2007년)

원더걸스
<Nobody>
(2008년)


소녀시대
<Gee>
(2009년)

파일:엠넷 로고.svg KM 뮤직 페스티벌[2]
올해의 노래상

BIGBANG
거짓말
(2007년)

원더걸스
<Nobody>
(2008년)


2NE1
<I don't care>
(2009년)

파일:2008_멜론 뮤직어워드.jpg
올해의 노래상[3]
원더걸스
<Tell Me>
(2007년)

원더걸스
<So Hot>
(2008년)


소녀시대
<Gee>
(2009년)

파일:한국갤럽 CI.svg
올해를 빛낸 가수 1위

(2006년)


원더걸스
(2007년)


원더걸스
(2008년)
원더걸스
(2007년)


원더걸스
(2008년)


소녀시대
(2009년)
※ 매해마다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올해를 빛낸 가수 1위'를 선정.[4]




{{{#FFFFFF The 4th Single


파일:external/uhd.img.topstarnews.net/1467699625-48-org.jp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4A7B6, #E86891, #D8418B, #C71584)"
왼쪽부터 오른쪽 순으로
예은혜림유빈선미


원더걸스
Wonder Girls

그룹명
원더걸스
WONDER GIRLS (영어)
ワンダーガールズ (일본어)
奇迹女孩 (중국어)
장르
댄스, 발라드, R&B, 밴드
리더
없음[1]
데뷔일
2007년 2월 10일[2]

해체일
2017년 2월 10일
데뷔 음반
싱글 1집 [[The Wonder Begins|

<The Wonder Begins>
]] (2007년)
마지막 음반
디지털 싱글 [[그려줘|

<그려줘>
]] (2017년)
소속사
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svg}}}
(2007.02.10 ~ 2017.02.10)
유통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드림어스 로고.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 로고.svg}}}
팬덤
WonderFul (원더풀)
공식색
펄 버건디 #C71584}}}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폐쇄]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V LIVE 아이콘.svg
팬 사이트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 | 파일:logo_그린_원형.png

1. 개요
2. 상세
2.1. 그룹명
2.2. 콘셉트
3. 멤버
3.1. 전 멤버
3.2. 인원 변천사
3.3. 멤버 간 케미
5. 특징
6. 인기 및 위상
7. 여담
7.1. 긴 공백기
7.2. 소속사 비화
7.3. 라이벌 구도
7.4. 미국 진출 관련
7.4.1. 미국 활동 관련 비판
7.4.2. 미국 현지의 실제 인지도
7.4.3. 미국진출이 준 원더걸스의 득
9. 논란 및 사건사고
10. 기록 및 수상경력
10.1. 시상식
10.2. 음악방송 1위
10.3. 음원 성적



1. 개요[편집]


안녕하세요, 원더걸스입니다!

Spread The Wonder! [3]

2007년 2월 10일 데뷔해서 2017년 2월 10일에 해체된, JYP엔터테인먼트 최초의 아이돌 걸그룹이자 대한민국의 2세대 대표 걸그룹 중 하나이다.

2. 상세[편집]


초기의 원더걸스는 선예를 중심으로 현아, 소희, 선미의 4인조로 준비되었다가 데뷔 직전 비공개 오디션[4]을 통해 마지막 멤버 예은이 발탁되며 5인조로 시작했다. 그러나 데뷔 해인 2007년 7월, 현아가 건강상의 문제로 그룹을 탈퇴하여 유빈이 투입되었고, 이후 2010년 1월 23일, 미국활동 중 선미가 활동 중단을 발표하여 새 멤버 혜림이 투입되었다. 추후 2015년 7월에는 3년만의 컴백 전, 결혼한 선예와 연기자 전향으로 소속사가 달라진 소희가 탈퇴함과 동시에 활동 중단 상태였던 선미가 재합류해 4인조가 되었다.

2007년 9월에 발매된 정규 1집 《The Wonder Years》의 타이틀곡 〈Tell Me〉가 범국민적으로 크게 히트하면서 2세대 아이돌 산업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So Hot」, 「Nobody」의 3연속 히트곡 라인[5]을 탄생시키며 발라드 위주의 가요계 흐름[6]을 뒤엎고 국민 걸그룹 으로서 압도적인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7] 2009년 초 2세대 걸그룹 중 가장 먼저 국제 진출에 나섰는데[8]「Nobody」가 아시아 전역에서 대히트[9]하여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지상파 TV 토크쇼 [10]에 출연하고, 빌보드 Hot 100 차트''' 진입에 성공하며 초창기 K-POP 열풍의 단연 선두에 섰다.

데뷔 10년차인 2016년, 걸그룹 세대교체의 흐름[11] 속에서도 멤버 4명 전원의 전곡 작사, 작곡, 악기 녹음으로 완성한 「Why So Lonely」로 3분기 디지털 음원 종합 1위를 차지하고, 2세대 걸그룹으로서는 유일하게 각종 연말시상식의 여자그룹상 후보에 오르며 [12] 아이돌 걸그룹을 넘어 셀프 프로듀싱 밴드로서 화려한 부활을 알렸다. 〈2 Different Tears〉, 〈Be My Baby〉, 〈Like This〉 등의 모든 활동곡들이 흥행을 했다. 그러나 2017년 1월 전속 계약 만료로 예은선미가 JYP엔터테인먼트를 떠나고, 유빈혜림은 JYP와 재계약하며 데뷔 10주년인 2017년 2월 10일 굿바이 싱글 「그려줘」를 끝으로 그룹 해체를 공식화했다.

해체 이후에도 멤버들은 서로 친분을 유지한 채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는 중이며, 현재까지도 대중들은 물론 많은 후배 아이돌들에게 레전드 걸그룹이자 롤모델로 회자되고 있다. 최근 2020년 6월, 부러우면 지는거다 방송을 통해 소희, 선미, 유빈혜림의 결혼을 축하하는 브라이덜 샤워 현장에 함께하였다. 사정상 선예, 예은은 영상 통화로 함께했으나 결혼식 당일에는 현장서 축가를 불러주었다.현아는 혜림과 같이 활동 한 적이 없어 나오지 않았다. JYP엔터테인먼트의 박진영 프로듀서까지 방송에 출연하며 여전히 끈끈한 인연을 자랑하는 모습에 팬덤을 넘어 대중들도 훈훈한 반응을 보였다.

2.1. 그룹명[편집]


'원더걸스'라는 이름은 Wonder의 단어 뜻 그대로 세상을 놀라게 하는 그룹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는 범 세계적인 그룹과 전 연령층을 공략하는 방향성을 드러낸다.


특이점이 있다면 'Wonder Girls'의 스펠링을 다시 조합해보면 'World Singer'라는 단어로도 재생성된다. 물론 이를 그룹명 작명 때 은연중에 노렸다고는 할 수 없고 그저 우연의 일치. 진짜로 그룹명에 애너그램을 적용한 대표적인 걸그룹으로는 LE SSERAFIM이 있다.

흔히 줄여서 ‘원걸’이라고 주로 불리우며 팬들 사이에서는 완도군수[13] 같은 은어로도 사용한다. 공식 영문명은 Wonder Girls. 하지만, 어느 곳에서는 The Wonder Girls라고도 불려지며 줄여서 WG라고도 많이 사용된다. 일본어로는 ワンダーガールズ로 불리며, 중국어로는 奇迹女孩(奇蹟女孩)로 불린다.

대표적으로 이름에서부터 Tell Me 뮤직비디오에서 소희가 원더우먼 콘셉트을 한 것을 보고 대중들은 당연히 원더우먼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라 생각한다.[14] 하지만 '원더걸스'라는 이름은 본래 정식 데뷔 전 MTV에서 방영한 멤버들의 일상생활과 데뷔 준비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의 제목[15]일 뿐이었고[16], 당시의 진짜 팀 이름은 Ladies City.[17] 줄여서 LC라는 박진영이 만든 해괴망측한 이름이었다.[18]

게다가 멤버들 이름도 본명이 아니라 예명으로 활동할 예정이었는데 선예는 써니, 예은은 실버, 현아는 민트, 선미는 베리, 소희는 IC였다. 허나 당시 MTV 원더걸스의 메인PD였던 마크PD[19]가 "원더걸스를 그대로 쓰자", "본명들도 예쁜데 왜 예명을 쓰냐"고 건의를 했고, 그로 인해 원더걸스란 이름과 성을 제외한 본명을 유지한 채 정식으로 데뷔를 하게된 것.[20]


2.2. 콘셉트[편집]




  • 메인 콘셉트는 레트로(복고). 한국의 걸그룹들이 매 앨범마다 다른 컨셉의 새로운 음악과 비쥬얼을 선보이는 것과 달리 원더걸스는 60~80년대의 미국 팝을 기반으로 하는 모습들만 보여주었다. 특히 원더걸스 사운드하면 레트로라고 알려질 정도로 레트로를 주로 하는 그룹인데 전성기를 함께한 Retro Trilogy(텔소노)를 비롯해 2DT까지 타이틀이 모두 레트로곡이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 데뷔 곡인 〈아이러니〉나 〈이 바보〉[21]를 보면 초기엔 복고 콘셉트를 지향하지 않았으나 '텔소노'의 메가히트로 인해 아예 팀 컬러를 복고로 잡아버린 듯한데, 상술했듯이 원더걸스란 이름이 박진영의 아이디어가 아닌 외부인의 아이디어였기에 초기 기획단계에서 '복고'는 의도치 않은 방향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확실히 데뷔곡인 '아이러니'를 보면 복고의 모습보다는 소녀시대와 같이 군무를 주로 이용한 춤이 돋보였는데 그 당시 소녀시대의 콘셉트이 청순 및 청량이었다면, 원더걸스는 요즘 말로 걸크러시가 메인 콘셉트였던 셈. [22][23] 2007년도 당시만 해도 여자아이돌로서는 도전적인 콘셉트였다. 이후 복고 콘셉트로 변신에 성공해 3연속 메가히트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미국 진출 후에는 레트로팝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울과 업템포를 믹스하거나(Be My Baby), 덥스텝과 셔플리듬을 가지고 나오기도 하고(The DJ Is Mine), 일렉트로 힙합과(Like This) 일렉트로닉 사운드곡까지(Like Money)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기도 했다.원더걸스의 이런 활동양상이 후배 아이돌들이 아이돌이라는 태생적 한계에 머무르지 않고 아티스트를 표방하며 다양한 장르와 콘셉트을 추구하게 되는 데에 있어 초석을 닦았던 것으로 평가를 받기도 한다.



  • 2015년에 4인조로 개편하고 밴드와 댄스를 겸하는 그룹이 된 뒤에는 다시금 복고적 사운드로 돌아오게 되었는데, 1980년대의 일렉트로 펑크(funk) 팝 혹은 프리스타일(freestyle), 레트로 팝과 슬로우 잼을 선보였고 박진영이 타이틀곡 제작에서 손을 뗀 2016년 싱글에서는 레게팝이나 70년대 밴드사운드 또 팝 록 장르의 곡도 수록하는 등 곡에 따라 복고라는 메인콘셉트을 유지하거나 또는 변신해가면서 다양한 장르를 현대적으로 소화해내는 그룹이 되었다.

  • 비록 원더걸스 하면 떠오르는 대표 이미지는 복고이지만, 활동 곡 중 〈아이러니〉, 〈이 바보〉, 〈Like This〉를 보면 미국의 어반 힙합 스타일이 주를 이루는데 프로듀서인 박진영의 음악 취향이 강하게 반영되는 그룹이었다. 원더걸스의 데뷔 앨범부터 2015년 REBOOT 앨범까지의 타이틀곡을 다 박진영이 만들었던 것을 보면 이 그룹 자체에 박진영이 들인 노력을 알 수 있는 부분. 소속 가수였던 박지윤의 반전이미지메이킹에 성공해 프로듀서로서 역량을 인정받은 이후 데뷔와 동시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미쓰에이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까지, 부담없이 들을 수 있지만 음악성도 인정받는 박진영표 걸그룹 노래의 대표주자 격인 존재가 바로 원더걸스였던 것.[24]


3. 멤버[편집]



파일:external/wondergirls.jype.com/mainlogo.png





유빈
예은
선미
혜림

1988. 10. 04. (34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메인래퍼
서브보컬
(드럼)

1989. 05. 26. (34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메인보컬[25]
(키보드)

1992. 05. 02. (31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브보컬[26]
(베이스)

1992. 09. 01. (30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리드래퍼[27]
서브보컬
(기타)


3.1. 전 멤버[편집]


이름
생년월일
포지션
탈퇴일
현아
1992. 06. 06. (31세)
메인댄서, 메인래퍼, 서브보컬
2007. 07. 30.
선예
1989. 08. 12. (33세)
리더, 메인보컬
2015. 07. 20.
소희
1992. 06. 27. (30세)
서브보컬

3.2. 인원 변천사[편집]


  • 위 표는 정식 데뷔 이전부터의 합류순서에 따라 정렬되었습니다.
연도
07
08
10
11
12
15
16
활동
Irony
Tell Me
So Hot
Nobody
2 Different Tears
Be My Baby
Like This
I Feel You
Why So Lonely
선예









현아









소희









선미









예은









유빈









혜림










데뷔 당시 멤버는 89년생 고3이었던 예은, 선예, 92년생 중3이었던 선미, 현아, 소희중3 멤버가 3명이라는[28], 평균나이 고1의 만 15세정도의 전무후무한 나이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다 현아가 건강상의 문제[29]로 정규 1집 준비 중 탈퇴했고, 오소녀 출신의 88년생 유빈이 급하게 합류했다.[30] 이후 선미가 학업 관계로[31] 2010년 2월에 활동을 중단하였으며 동년 3월에 새 멤버 혜림이 들어왔다. 소희는 2013년 12월에 계약만료로 JYP를 떠난후 2014년 2월 11일에 BH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하였으나, 원더걸스 탈퇴는 하지 않는다 밝혀서 향후 언제든 원더걸스로서 활동할 수 있다고 했었으나... 2015년 7월 20일 자로 결국 소희는 탈퇴 입장을 밝혔다. 선예 역시 같은 날 탈퇴를 하였다. 그리고 활동중단 했었던 선미가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선미가 활동중단 시절로 나오지 않았을 때는 이른바 '6인걸스라고 해서 원더걸스 완전체로 돌아오길 바라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다. 대중들 사이에서 현아처럼 탈퇴로 인식되어 있든 간에 선미는 여전히 원더걸스 멤버(탈퇴가 아닌 활동중단)이고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완전히 0%였던 것은 아니기 때문. 혜림이 아리랑TV 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때, 팀의 멤버로 Sun, Yenny, Yu-bin, Mimi, Sohee, Lim라고 언급했는데 여기서 Mimi가 바로 선미인 것. 그리고 마침내 선미가 원더걸스 복귀가 확정되면서 드디어 6인걸스를 볼 수 있는 듯 했으나, 같은 날 선예와 소희의 탈퇴가 확정이 되어 결국 6인걸스는 꿈의 라인업으로 남게 되었다.

예은은 1기 체제에 가장 마지막으로, 팀 데뷔를 한 달여 앞두고 합류했으나 탈퇴나 활동 중지 없이 모든 원더걸스에 활동에 참여한 유일한 멤버이다. 마지막 멤버가 원더걸스의 역사가 되어버린 케이스.

2010년 2월에 합류한 혜림은 2013년 2월 이후로 원더걸스로 활동한 기간이 선미의 활동 기간을 뛰어넘었다. 선미는 2007년 2월 원더걸스의 데뷔와 함께 활동을 시작해 2010년 2월 데뷔 3주년 직전에 활동을 중단, 2015년 재합류 이전까지는 원더걸스로 2년 11개월 동안 활동했다.

정규 3집 이전까지 응원법에서는 민선예 박예은 선미짱[32] 안소희 김유빈 우혜림 순서로 불렸다.[33] 정규 3집부터는 박예은 이선미 김유빈 우혜림으로 바뀌었다.


파일:external/wondernostalgia.files.wordpress.com/fnnall1.jpg


파일:external/jypestorage.blob.core.windows.net/gallery_15013011220.jpg

{{{#FFFFFF The 1st Single (2007)
선미소희예은현아선예
{{{#FFFFFF The 2nd Single (2008)
예은유빈소희선예선미

파일:원더걸스 원더월드 단체 이미지.jpg


파일:external/uhd.img.topstarnews.net/1467645040-93-org.jpg

{{{#FFFFFF The 2nd Album (2011)
혜림소희유빈선예예은
{{{#FFFFFF The 4th Singl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DD70; font-size: .8em"
Why So Lonely (2016)
예은유빈혜림선미


3.3. 멤버 간 케미[편집]


원더걸스 나이별 라인
구분
생년
구성원
언니 라인
88년생
유빈
89년생
예은, 선예
막내 라인
92년생
선미, 현아, 소희, 혜림

  • 언니 라인
    • 유빈 & 예은 & 선예 : 언니 라인, 원성삼 라인 / 88년생 그리고 89년생 멤버들로 구성된 언니 라인으로 2008년에는 이 셋을 '원성삼' 라인으로 불렀다. 원더걸스 성인 3인방의 약어로 당시 예은과 선예가 성인이 되면서 원더걸스의 성인 멤버가 셋이었기 때문이다.
    • 예은 & 선예 : 89년생 동갑 라인, 메인보컬 라인, 투 커플 / 팀 내에서 메인보컬을 맡고 있기 때문에 무대에서 케미를 자주 볼 수 있는 라인이다.
    • 유빈 & 예은 : 언니 라인, 예빈 커플 / 원더걸스에서 최고 연장자와 두번째 연장자이다. 데뷔 초에는 서로 룸메이트이기도 했다. 서로 티격태격 하는 모습도 있으나 그만큼 친하게 지내기도 한다. 참고로 원더걸스에서 가장 오랫동안 활동했던 라인이기도 하다. 예은은 활동 종료까지의 모든 활동을 소화한 유일한 원년 멤버, 유빈은 원더걸스 두 번째 음반인 The Wonder Years때부터 활동 종료 때까지 모든 활동을 소화했었기 때문에 사실상 원년 멤버 취급을 받기도 한다.
    • 유빈 & 선예 : 단발 라인 / So Hot 활동 당시 둘 다 단발로 활동하였던 적이 있는데 단발을 함으로써 예뻐진 미모로 주목을 많이 받았던 멤버들이다.

  • 막내 라인
    • 선미 & 현아 & 소희 : 92년생 동갑 라인 #1 / 청담중학교를 같이 다녔기도 한 이 셋은 데뷔 전 그리고 데뷔 초의 막내 라인으로 리얼리티에서 다양한 케미를 보여주었던 라인이기도 하다.
    • 선미 & 소희 : 92년생 동갑 라인 #2, 미소 커플 / 원더걸스 전성기인 <Tell Me - So Hot - Nobody> 시절의 막내 라인으로 재밌는 모습을 많이 보여준 원더걸스를 대표했던 막내 라인이다. 이들에 케미는 2020년에도 계속되었다.
    • 소희 & 혜림 : 92년생 동갑 라인 #3 / 2 Different Tears때 혜림이 합류하면서 생긴 라인으로 초반에는 이 둘의 분위기는 매우 어색하였으나 이후에 활동부터는 서로 친해진 듯한 모습이 많이 보였다.
    • 선미 & 혜림 : 92년생 동갑 라인 #4 / 활동을 중단한 선미를 대신해 혜림이 합류하였던지라 선미의 복귀 전까지만 이들의 관계는 미스테리였으나 이후에 같이 활동을 하면서 비추어진 모습은 서로 굉장히 친한 것으로 밝혀졌다.[34]
    • 선미 & 소희 & 혜림 : 92년생 동갑 라인 #5 / 단 한번도 다같이 무대를 섰던 적은 없는 라인이지만 2020년 혜림의 결혼식을 축하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모이면서 이들의 친목이 인증되었다.
    • 선미 & 현아 : 92년생 동갑 라인 #6 / 이들의 케미는 특이하게도 원더걸스 때 보다는 2017년 이후부터 주목을 받은 라인이다. 선미의 '가시나' 활동과 현아의 'Following' 활동이 2017년 8월 다섯째주에 겹치게 되면서 이들의 만남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 이외의 라인
    • 선예 & 선미 : 투 커플
    • 유빈 & 혜림 : 맏언니 + 막내 라인, 래퍼 라인, rrr엔터테인먼트 라인 / 원더걸스 활동 기간 동안 유빈이 혜림을 많이 챙겨주면서 생긴 케미다. 원더걸스 단독 리얼리티에서 유독 유빈과 혜림이 붙어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으며 현재에도 방송에서 자주 같이 출연하기도 한다. 그리고 둘 다 래퍼 포지션이 때문에 무대에서도 그들만의 케미를 자주 뽑내기도 한다. 2020년부터 혜림이 유빈의 소속사인 rrr엔터테인먼트와 첫 아티스트로 계약을 하면서 JYP 소속 시절 이후로 다시 같은 소속사에서 재회하게 되었다. 이후 유빈의 말로는 혜림이 원더걸스에 늦게 합류를 하였고 활동도 얼마 못했기 때문에 무대에서 본인의 모습을 많이 보여주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고 느껴져서 더욱 챙겨주었다고 한다.
    • 유빈 & 선미 : 뉴마 커플, You & Me[35] 라인
    • 예은 & 선미 : 은선 커플, 장신 라인
    • 예은 & 현아 : 선미와 현아처럼 이들도 원년 멤버였던만큼 팀이 달라져도 만남은 계속되는 듯하다. 2019년에는 같이 춤을 추는 영상을 업로드하기도 했다.
    • 선예 & 소희 : 민안 커플. ,

4. 활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더걸스/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 음반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더걸스/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음반
제목
발매일
타이틀곡 및 후속곡
싱글 1집
The Wonder Begins
2007.02.13
Irony
미안한 마음
정규 1집
The Wonder Years
2007.09.02
Tell Me
이 바보
싱글 2집
So Hot
2008.06.03
So Hot
싱글 3집
Nobody: The Wonder Years - Trilogy
2008.09.22
Nobody
미니 1집
2 Different Tears
2010.05.16
2 Different Tears
정규 2집
Wonder World
2011.11.07
Be My Baby
Girls Girls
미니 2집
Wonder Party
2012.06.03
Like This
정규 3집
REBOOT
2015.08.03
I Feel You
싱글 4집
Why So Lonely
2016.07.05
아름다운 그대에게[36]
Why So Lonely
디지털 싱글
그려줘
2017.02.10
그려줘

4.2. 콘서트 활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더걸스/콘서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방송 출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더걸스/방송 출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4. 광고 활동[편집]


광고명
연도
멤버
TBJ 의류
2007년~2008년
전원
크라운제과 "하임"
2007년
전원
1677 콜렉트콜
2007년
전원
베스킨라빈스31
2007년
전원
2008년 총선 홍보대사
2008년
전원
삼성전자 'SENS'
2008년
전원
프리샘 빨간펜
2008년
전원
광동제약 비타500
2008년~2009년
전원
피자빙고
2008년
전원
온라인 게임 TAAN
2008년
전원
온라인 게임 개구리 중사 케로로 파이터
2008년
전원
온라인 게임 FREE STYLE
2008년
전원
EVER 휴대폰
2008년~2009년
전원
아이비클럽 교복
2008년
전원
페리페라 원더라인
2008년
전원
크라운 베이커리
2008년~2009년
전원
BBQ 치킨
2009년
전원
카페모리
2009년
전원
EXR 의류
2009년
전원
WG by Wonder Girls
2010년
전원
소니에릭슨
2010년
전원
기아자동차 포르테
2010년
전원
KOWA 마슈퍼프 코와
2012년
전원


  • 당시 최고의 아이돌그룹 이었던 것 만큼 당연히 CF활동 역시 대단했다. 최연소랑 최초보다는 다양한 분야에 CF모델로 활동하였다. 휴대폰, 피자, 지역홍보모델, 게임, 교복, 비타500, 치킨, 공명선거, 커피, 화장품,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줬다. 2DT때까지는 자신의 그룹명을 건 화장품 모델을 하였다. 이때까지 JYP”그룹 광고 아니면 안한다”그룹 철칙이 지켜지다가 11년도 이후부터는 압도적 인기멤버 안소희가 뛰어난 사복패션을 바탕으로 하는 Reebok과, 에잇 세컨드, 슈에무라 등으로 단독 광고를 하며 잘 나가고 있다.


4.5. 단독 예능[편집]


  • MTV 원더걸스 시즌 1 ~ 시즌 4
  • 원더걸스의 Wonder Bakery
  • Welcome To Wonder Land
  • Made In Wonder Girls
  • REAL WG
  • Comeback to Wonder Girls


5. 특징[편집]


아이돌이라는 양식장을 벗어나 자생하는 그룹 - izm[37]

  • 삼촌팬이라는 기존 가요계에 존재하지 않았던[38] 소비층을 오랜만에 텔레비전 앞과 음반매장 안으로 다시 끌어낸 걸그룹이다.[39] 10~20대 비롯한 삼촌팬 을 코어팬층으로 흡수했고 음악은 어린아이부터 할아버지 할머니까지, 남녀노소 모두에게 폭넓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다. 팬층의 성별로 따지면 다른 걸그룹과 달리 주로 남성보다 여성 쪽에서 상당히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전성기로 알려진 2007~8년에는 남녀 비율이 거의 4 : 6으로 여성이 조금 많은 편이긴 했지만, 지금은 여성 쪽의 비율이 더 늘어난 편.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1A923C-804F-41B1-8167-05358D310595.jpg }}} ||
파일:65976BB0-CD34-484A-9124-7ED67E1C4482.jpg
[1] 원래는 선예가 공식적으로 리더를 맡았으나 선예가 탈퇴한 후 부터는 암묵적으로 예은이 리더였고 이후에 '이달의 반장'을 통해 '예은 → 선미 → 유빈 → 혜림' 순서대로 멤버들이 리더를 번갈아가며 맡았다.[2] 음원 발매일 기준으로는 4일 전인 2007년 2월 6일.[폐쇄] [3] 2009년 미국 진출 후, 무대에 오르기 전 줄곧 사용했던 구호이다.[4] MTV 원더걸스 시즌1 참고[5] 일명 '텔쏘노 라인'[6] 당시 댄스 후크송 자체가 생소하여 텔미도 저조한 초기 반응 후 역주행(노래 용어)하였다.[7] 동시기 전성기를 구가하던 동방신기BIGBANG을 제치고 여성 그룹 최초로 단독 대상을 수상하며 그 정점을 찍었다. 이후 원더걸스의 새로운 히트 공식, 문화를 철저히 답습한 소녀시대Gee를 시작으로 2009년부터 댄스 후크송과 포인트안무, 걸그룹이 대거 등장했고, K-POP의 메인스트림으로 자리하며 2022년 현재까지도 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8] K-POP이라는 용어조차 거의 쓰이지 않았던 시기로, 이후 2010년 하반기 소녀시대, 카라 등이 국제 진출을 공식화했다.[9] 한국에서의 텔미급 인기와 그 상징성으로 엠카운트다운 노바디 무대 영상이 초창기 유튜브 조회수 압도적 1위를 유지했으며, 필리핀에서는 노바디를 모른다는 이유로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0] ‘The Wendy Williams Show’, 'So You Think You Can Dance'[11] 2015년 MAMA 여자그룹상 후보는 원더걸스, 소녀시대, 씨스타, 미쓰에이, 에이핑크, AOA 였으나 불과 1년 후 2016년 같은 상에 원더걸스만 2년 연속 후보에 오른 반면 남은 후보는 트와이스, 여자친구, 레드벨벳, 마마무로 채워졌다.[12] 지난 2016년 이후로 2022년 현재까지 MAMA와 MMA 여자그룹상에 노미네이트된 그룹 중 3세대가 아닌 2세대 걸그룹은 원더걸스가 유일하다.[13] 줄여서 완도.[14] 원더걸스 데뷔 후에 박진영은 원더우먼에서 Tell Me 안무를 구상해 급하게 미국에서 자신이 구상한 안무를 멤버들에게 보낸 적이 있다.[15] 내레이션을 맡은 성우가 원더걸즈라고 읽는 경우도 있었지만 원더걸스가 맞는다.[16] 물론 당연하지만 이 제목 자체가 원더우먼에서 따왔을 것이다.[17] 과거에는 Ladies Club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2016년 9월 11일, 연예가중계에 출연한 예은이 클럽이 아니라 시티였다고 밝혔다.[18] 다큐멘터리에서 아이러니의 인트로 부분을 연습하는 장면을 보고 있으면 박진영이 Introducing~ LC! 하고 우렁차게 외치는 것이 아주 잘 들린다. 이런 박진영의 작명센스는 원더걸스의 후배 그룹에게 그대로 옮겨지게 된다.[19] 이 PD는 후에 오소녀의 다큐멘터리인 오소녀 다이어리도 찍게 된다. 즉 2007년에 이미 원더걸스 6명을 전부 다큐멘터리로 찍었다는 이야기.[20] 실제로 원더걸스 팬들은 마크 PD에게 아주 좋게 평가하고 있다. MTV 원더걸스 시리즈가 시즌3까지 나와 시즌1, 2에 나올 수 없던 유빈까지 다큐멘터리를 찍었고 Made in by Wonder Girls를 통해 혜림까지 다큐멘터리를 찍었다. 즉, 지금까지 원더걸스를 거친 7명의 멤버들을 전부 찍었다는 것. 게다가 원더걸스가 출연한 예능 프로그램은 재미가 없기 마련인데 마크 PD가 촬영한 다큐멘터리 시리즈들은 하나같이 전부 재미있다. 원더걸스 시즌 1, 2에서는 무려 야생마스러운 소희도 볼 수 있었다.[21] 아이러니와 함께 데뷔곡 후보로 내정돼있었지만 가 아이러니를 추천해서 정규 1집에 수록됐다는 비하인드가 있다.[22] 당시엔 걸크러시라는 말이 우리나라에 유행하지 않아서 섹시라고 표현되었다. 당시에는 처음부터 섹시노선으로 데뷔한 팀이면 모를까 갓데뷔한 여자아이돌그룹이 핫팬츠를 입고 섹시한 춤을 추는 것 자체가 파격적이었다.[23] 소녀시대도 데뷔 곡 '다만세'의 힙합버전도 준비하는 등 데뷔 콘셉트를 놓고 고민을 하다 좀 더 대중들이 받아들이기 편한 발랄한 소녀 콘셉트로 데뷔한 것이다.[24] 2015년 앨범 이후 앞으로 너희 곡은 쓰지 않겠다고 멤버들에게 선언한 뒤 멤버들은 '박진영PD님이 우릴 버린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고 밝혔다. 그만큼 멤버들에게도 프로듀서인 박진영이 끼치는 영향이 컸다는 반증.[25] 선예, 소희 탈퇴 전 5인조 시절 때는 사실상 메인보컬이 양대였기 때문에 메인보컬이 아닌 리드보컬로 추측되고 탈퇴 후 선미 재합류 후 4인조 시절에는 메인보컬이 단독이기 때문에 메인보컬이다.[26] 재합류 후엔 후렴구 파트를 자주 맡는 등 리드보컬 못지 않은 파트를 받았다. 하지만 포지션은 리드보컬이 아닌 서브보컬이라고 직접 밝혔다.[27] 수록곡에는 랩을 주도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4인조 시절부터 많이 하게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8] 혜림도 92년생이지만 이쪽은 2010년에 합류했다. 일단 전체 멤버 7명 중 4명이 과반수가 92년생이다.[29] 장염. 현아는 이것 때문에 활동 중에도 자주 스케줄을 빠지곤 했고, 포미닛 데뷔 초기에도 같은 문제로 고생 좀 했었다.[30] 현아 탈퇴 후에도 원더걸스 팬덤 내에선 원더걸스 텔쏘노 멤버들(선예, 예은, 선미, 소희, 유빈)에 현아까지 6명을 응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으나 현아가 포미닛으로 데뷔한 후에는 놓아주면서 각자의 길을 가게 되었다.[31] 언론에는 이렇게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데뷔 전부터 앓고 있는 무지외반증 치료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선미 문서 참조.[32] 2009년 개명한 뒤에도 이선미로 바꾸지 않고 그대로 선미짱으로 불리다가 정규 3집부터 이선미로 변경하였다.[33] 이 순서는 나이와 생일, 투입 시기가 섞여있다. 예은이 생일은 제일 빠르지만 선예가 리더이기 때문에 예은의 앞에 선예가 있고 그 다음 가장 늦게 합류했지만 선예와 동갑인 예은, 이어서 생일 순서대로 선미, 현아, 소희가 배열되었다. 이후 현아가 탈퇴하면서 현아의 이름이 빠지고 뒤에 합류한 유빈과 혜림은 소희 뒤에 그대로 이어붙었다.[34] 선미가 본인이 진짜 친하다고 할 수 있는 친구가 소희, 혜림으로 뽑았던 것을 보면 그만큼 매우 친한 듯하다. [35] 유빈의 '유', 선미의 '미'를 따서 지은 원더걸스 V LIVE의 뷰티 컨텐츠이다.[36] 선공개곡. 다만, 음원이 아닌 앨범 발매 전 LP판으로 먼저 공개되었다. 음원은 다른 노래들과 같은 날짜에 공개.[37] 2016년 7월 Editor's Choice의 추천 멘트.[38] 사실 아예 없었던 팬층인 건 아니다. 이들 중 절반이상은 1980년생~1987년생으로 아이돌 1세대를 경험했던 세기말 밀레니엄을 겪었던 풍선 좀 흔들었던 세대들이기 때문. 2001년 이후 무려 6년이상 멸종되었던 한국 걸그룹 시장을 크게 부활시켰다는 점 역시 높이 살만하다.[39] 단순히 끌어올린 것으로 모자라 아이돌 시장의 중심을 보이그룹에서 걸그룹으로 바꿨다. S.E.S.나 핑클은 엄청난 인기를 끌었지만 당시 아이돌 시장의 중심은 H.O.T., 젝스키스, god, 신화같은 보이그룹들이었다.
정규3집 <REBOOT> 트랙리스트[40]


  • 요즘 보기 드물게 소속 모든 멤버들이 작사, 작곡 능력을 보유한 아이돌 그룹이며, 걸그룹으로선 최초라고 할 수 있다. [41]

  • 음원 성적은 당대 최고 수준으로 음반 점수나 방송 점수가 다른 걸그룹보다 떨어져도 항상 1위 후보에 오르던 이유는 오로지 음원 성적 하나 때문이었다. Tell Me 이후로 음반을 냈다 하면 타이틀곡이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안 한 적이 없고, 미국 활동 도중에 낸 정규 2집 때는 소녀시대와 붙어서 지긴 했으나 애초에 음반과 방송 점수에서 밀려서 진 것이지 음원 성적은 꽤 높았다.[42] 2016년에 발매한 싱글 4집 활동 때는 비스트를 꺾고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기록했는데 이 때 원더걸스는 음반 판매 점수, 선호도 점수, 실시간 문자 투표 점수에서 비스트에게 밀리고도 음원 점수 만점으로 비스트를 눌렀다. [43] 이후 인기가요에서도 1위를 기록했는데 이 때 원더걸스의 음원 점수는 최고점인 5500점이었으며 SNS 점수도 3500점으로 가장 높았다. 전성기에서 물러났다는 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성은 여전히 최정상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원더걸스의 대중성에는 춤이 크게 한 몫했다. 보통 노래하면 흥얼거리거나 가사를 읖조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원더걸스의 특징은 노래를 들으면 자동적으로 포인트 춤까지 기억하는 특징이 있다. 의 팔찌춤, 의 브이라인춤, 총알춤, 개다리춤 등으로 쉽게 연상할 수 있었기에 원더걸스를 더 쉽게 대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었고,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

  • 또 한가지 눈에 띄는 특징으로는 단순히 활동 성적에만 치중하기 보다는 도전에 의의를 두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데뷔 때부터 여러 가지로 도전적인 면이 많았는데 [44] 찾아보기 힘들었던 "걸그룹"의 또다른 첫 시작으로, 게다가 아이돌 걸그룹으로썬 꺼려질 만한 촌스러운 복고 콘셉트으로 대성공을 거둬 본격 아이돌 제2의 전성기 및 걸그룹 전성 시대를 이끈 것만으로도 엄청난 도전의 성과라 할수 있겠다. 물론 미국 진출 역시 결과에 대한 논란은 있지만 어쨌든 도전정신의 산물이고, 유빈의 언프리티 랩스타 2 출연은 9년차 걸그룹 주력 멤버의 행보로는 상당히 특이한 케이스였다.

  • 이번 정규 3집 컴백때도 좀 생소할수 있는 밴드+댄스 병행 콘셉트에 새롭게 도전하며 주목할만한 성과를 냈다. 2016년에는 새 앨범 발매를 앞두고 선공개곡 '아름다운 그대에게'를 LP판으로 먼저 발매했는데 LP판은 걸그룹 최초로 발매하곤 했다. 참고로, 음악 장르가 댄스와 밴드인데 이 점에서 AOA와 비슷하면서 조금 다르다. AOA는 밴드로 먼저 시작한 뒤, 댄스와 병행하다 지금은 댄스 그룹으로 고정된 반면, 원더걸스는 댄스 그룹으로 오랫동안 활동하다 현재 댄스 그룹과 밴드를 병행하고 있다

  • 데뷔 준비기에는 래퍼 없이 보컬로만 구성하려 했으나, JYP표 곡의 기승전결에는 랩이 필수적이기 때문인지 가창력이 달리는 현아와 소희 중 래퍼에게 요구되는 섹시한 이미지가 충족되는 현아가 랩을 담당하게 된다.[45] 후에 합류한 유빈은 오소녀 시절부터 래퍼 포지션이었기 때문에 바로 래퍼 포지션을 맡았다.[46]

  • 멤버들 대부분이 단발을 경험한 것이 특징. 물론 'Nobody' 때 전부 단발 가발을 썼지만 이것을 제외해도 예은과 소희를 제외하고 전부 단발로 활동했던 경험이 있다. 선예는 'So Hot'과 'Like This' 활동 때, 유빈은 'Tell Me'[47] & '이 바보' & 'So Hot' 때, 선미는 솔로 활동 '24시간이 모자라' 때[48], 혜림은 'I Feel You'부터. 심지어 하나의 앨범밖에 활동하지 않은 현아도 당시에는 단발로 활동했다. 예은의 경우 'Wonder Begins'와 'Wonder Party' 앨범 자켓에서 단발을 하고 촬영한 사진이 몇몇 있으나 전부 다 가발이고 활동 자체는 긴 머리로 했었다. 소희는 'Nobody'를 제외하면 단발 가발도 쓴 적이 없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40] 타이틀 곡 제외하고 모든 수록곡 전원 자작곡이 실림.[41] 정규 3집부터 멤버들 모두의 자작곡으로만 수록했고, 이어진 싱글 4집에서 마침내 자작곡을 타이틀곡으로 실었다.[42] 이는 역으로 생각하면 그만큼 방송 점수에는 매우 취약하다는 이야기인데, 원더걸스가 2010년 이후부터 뮤직뱅크에서 1위를 기록한 횟수가 상당히 줄어든 것은 음원 점수에 비해 방송 점수가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다. 방송 점수가 높으려면 KBS의 여러 프로그램에서 원더걸스의 노래가 나오거나 방송 종료 때 뮤직비디오가 나오거나 등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부분에서 원더걸스는 유독 약하다. 팬들은 소속사가 이 부분에서 너무 무신경하다고 JYP를 닥달하고 있다.[43] 이게 어떤 의미인가 하면 음원 점수의 최고점은 5000점인데 원더걸스가 이를 기록하면서 비스트는 음원 점수 외에 다른 모든 점수가 원더걸스보다 우세해도 애초에 1위를 할 수 없던 것이었다. 만약에 비스트가 음원 외에 다른 부분에서 만점을 받았다면 최대 8228점이 나오는데 이날 원더걸스의 점수는 8250점이었다.[44] SG워너비의 대박으로 미디움 템포 발라드 가수 & 그룹이 대성하게 된 가요계에서 아이돌, 그것도 S.E.S.핑클 이후[45] 유빈 합류 전의 텔미에도 아예 랩이 없었고, 당시 현아의 파트가 노래의 시작이었던 것으로 보아 현아를 다시 서브보컬로 쓸 생각이었던 듯 하다.[46] 그래도 발라드 풍의 수록곡이나 일부 수록곡 등에서 보컬을 맡기도 한다.[47] 다만 이 때는 가발을 썼었다.[48] 또한 미국에서 활동하던 2009년 초에도 단발을 한 적이 있다.





원더걸스 기수별 라인
기수
구성원
1기


선예 & 예은 & 선미 & 현아 & 소희
2기

유빈 & 선예 & 예은 & 선미 & 소희
3기


유빈 & 선예 & 예은 & 소희 & 혜림
4기


유빈 & 예은 & 선미 & 혜림
6더걸스
유빈 & 예은 & 선예 & 선미 & 소희 & 혜림 [55]




6. 인기 및 위상[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 ||
파일:D2EBF66C-C7E1-471C-AB8F-662A77BEBE49.webp
[49] 반대로 유잼그룹으론 신화가 뽑혔다.[50] 원걸 데뷔 후에는 현아, 선예, 소희에게 밀려 춤 실력을 보일 일이 없다.[51] 자기들끼리 노는 리얼리티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츳코미 포지션의 예은, 안소희와 이 둘한테 당하는 진성 보케 유빈, 4차원 스타일의 선미가 짝을 이뤄 만담 비슷한 걸 하기도 한다.[52] 이 예능감이 소녀시대와의 결정적인 차이를 불러왔다는 시각도 있다. 원더걸스가 미국에서 크게 고전할 때 소녀시대는 국내에서 Gee의 메가톤급 히트와 예능 전방위 출격을 통해 입지를 다졌다. 당연히 활동반경도 넓어지게 되는 것.[53] I Feel You 컴백과 함께 출연한 주간아이돌을 보면 초반부터 도니코니를 보며 웃음을 터트리고 랜덤 플레이 댄스에서도 한시를 가만있지 못하며 부산한 모습을 보였다. 팬들은 활중기간 동안 사라져버린 것 같았던 사차원끼가 다시 발현되었다며 반갑다는 반응인 반면, 솔로 활동 때 워낙 무표정에 어두운 콘셉트으로 나왔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선미가 저런 캐릭터였냐며 신기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산만하다며 이상하게 보는 반응도 없지 않다.티비캐스트 하지만 댓글은 귀엽다는 반응이 압도적.[54] 비슷한 사례로 2014~15년의 카라가 있는데, 4인조 그룹으로 재정비된 것, 이라는 것, 초창기 멤버가 안 남은 것 마저 똑같다. 이후 2022년에 재결합하면서는 전 멤버 중 사람이 복귀하며, 전성기였던 2기 멤버 조합에 3기의 합류 멤버였던 허영지가 추가된 모양새가 되었다.[55] 현아는 6개월 가량의 짧았던 활동을 끝으로 원더걸스 탈퇴하며, 포미닛이라는 새로운 걸그룹으로 재데뷔했다. 그 곳에서 활동했던 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여기에 넣기에는 포미닛과 팬들에게 실례로, 원더걸스보다는 그 그룹에 속하는 게 맞다고 판단돼 여기서 제외된다.[56] 유빈을 비롯한 언니 3명은 재계약을 했고, 혜림의 계약은 2017년까지다.[57] 왜냐하면 그 이후에 2000년대 초반에 걸그룹시장이 최악의 암흑기를 겪으며 멸종상태였고 있어도 천상지희, 슈가 정도였다. 2000년대 초반엔 걸그룹의 침체기로 여성 걸그룹 대신 여성 솔로의 반짝 전성기였는데 대표적으로 보아죠앤등 여성 솔로들이 등장하여 걸그룹의 인기를 대체하였다. 그 이후 걸그룹 시장이 철저한 대중의 무관심과 침체기를 겪어오다 2007년에 와서야 원더걸스가 뜨기 시작하던 시절 카라와 소녀시대도 데뷔했기 때문.[58] 2010년도에 들어서는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빅뱅, 원더걸스, 소녀시대, 카라, 2NE1 등 2000년대에 데뷔하고 활동했으며 본격적인 한류아이돌 시대를 개척한 그룹을 2세대 아이돌로 구분한다.[59] 이후엔 이들과 걸그룹 양대산맥이었던 소녀시대 또한 엄청난 신드롬급 인기를 누린뒤 국민 걸그룹으로 등극했다. 무수한 2세대 걸그룹들 중에서 이 둘이 아직도 한 시대를 대표했던 걸그룹으로 기억되는 것은 사회적으로 끼친 영향력이 어마했기 때문이다.[60] 당시 멜론 역대 최다 24시간 이용자수를 갱신했으며, 가온 음원 3분기 전체 1위를 하는 등의 쾌거를 이룩했다.[61] 또한 걸그룹 최초 청와대 초청, 공직 선거 최초 홍보대사 위촉(2008년 국회의원 총선거)등 공적 분야에서 특히 최초의 한계를 갱신하며 시대정신을 담고있는 뛰어난 걸그룹이라는 평을 받았다.[62] 원카소 라인

그 인기는 지상파 방송사 메인 뉴스에서 제법 보도됐을 정도다. 'Tell Me'를 마구 따라하는 동영상을 올리는 사람들 덕분에 UCC의 보급과 자리 매김에 일조하기도 했었다.[63] 삼성경제 연구소는 2007년 10대 히트 상품에 원더걸스를 지정하였으며, 원더걸스는 한국 갤럽선정 2007~2008 2년 연속 '올 한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한 가수 선호도 1위', 2007~2008 2년 연속 '올 한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한 가요 선호도 1위'를 차지하기도 했었다.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개성 강한 복고풍 콘셉트, 깜찍한 춤으로 'Tell Me' 무대가 호평을 받자 JYP 엔터테인먼트에서는 박진영이 미국에서 보낸 '텔미 원더걸스 팔찌춤 원격강의' 영상을 다음 티비팟에서 공개하였다. 이 동영상이 큰 인기를 끌면서 'Tell Me' 패러디 열풍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파일:8850FA6E-71C5-444C-9339-5C6DB39480A0.jpg




7. 여담[편집]



7.1. 긴 공백기[편집]


현재 한국 2세대 여자 아이돌 중 이례적으로 다소 긴 공백기를 자랑하는 걸그룹이다. Nobody 이후 2 different tears로 다시 활동하기까지 1년 반 정도 걸렸으며, 이 활동이 2주밖에 활동을 안한 것을 생각하면 Nobody서부터 정규 2집 Be My Baby까지가 3년 가까이 걸렸다. 그나마 짧았던게 So Hot~Nobody와, Be My Baby~Like this.

그리고 2010년 초반에 낸다고 한 미국 정규 앨범은 내기는커녕, 계속 미뤄지다가 5년 동안이나 묵혀두고 있다. 어떻게 보면 지금까지 제대로 된 푸쉬를 받지 못했다. 먼저 진출하여 나름대로 성과를 조금씩 거두고 있던 보아 역시 정규앨범을 낸 상태였다. 2012년 iHeartRadio에서 Ouch, Stay Together, Wake up이 공개된 게 그나마 다행.

2014년 여름을 기점으로 계속되는 컴백설이 들리고 있다. 팬덤측에서는 성적보다 컴백 자체에 의의를 두자는 반응이 다수이긴 하지만. 2014년 여름에는 가을 혹은 연말에 멤버 선미, 혜림, 예은, 유빈로 4인조 유닛활동을 할거라는 추측이 있었으나 결국 이뤄지지 못했다. 그 뒤 2015년 이후에 컴백의 근거로 볼 만한 단서들이 속속히 발견되고 있다. 일단, 활동을 중지하고 있던 멤버 선미가 밀크 콘서트에서 박진영과의 대화 중 우리가 준비한게 있다는 발언을 한 것과, 타 소속사로 이적한 멤버 소희와의 잦은 만남과 목격담이 이에 대한 근거가 된다.

또한, 멤버들끼리 작업실에서 찍은 사진이 인스타그램에서 발견되는 등, 현재 2015년 8월 컴백에 많은 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리더 선예의 큰아빠의 카카오스토리에서 선미가 요번에 합류한다는 발언까지 나온 상태. 베스티즈에서 2PM 컴백설과 함께 원더걸스 4인조 컴백설이 나오는 등 여러 조짐이 보이고 있는 상태. 물론 추측성 글로 보이긴 하지만 해당 사이트에서 2PM 정규 5집 타이틀 곡을 적중시킨 사례도 있었으므로 팬들은 기대하는 중.

그러나 팬들은 희망고문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사실상 데뷔해서 반 정도를 공백기로 날려먹는 상태에서 팬덤은 지친 상태. 물론 팬덤 내에서 멤버들 인스타그램 사진만으로 기뻐하긴 하지만. 팬들은 멤버들 외모도 제2의 리즈인데 왜 컴백 안 하냐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원더걸스의 요번 컴백으로 명예가 실추될까봐 두렵다는 소수의 의견이 있기도 한 상태다.

하지만 2015년 8월 3일, 무려 3년 2개월만에 4인조로 컴백했다. 선예와 소희는 탈퇴했고 원멤버였던 선미가 재합류했다.



7.2. 소속사 비화[편집]


원더걸스의 소속사인 JYP는 3대 기획사로 불리우며, 엄청난 대중성을 가지고 있는 회사다. 회사 내 PD인 박진영의 푸쉬도 상당히 받았으며, 데뷔 전에 MTV 원더걸스와 선예, 그리고 JYP 최초의 걸그룹이라는 타이틀로 상당수 인지도 있는 상태에서 데뷔하였다. 허나, 소속사 비화를 들어보면...

1. 원더걸스의 소핫 활동과 노바디 활동 때 아무 팬사인회도 없었다. 텔미로 인지도를 엄청 높인 상황에서 팬사인회가 있었으면 두 음반의 판매량이 10만장은 족히 넘었을 것이다. 팬사인회을 통해 얻는 판매량이 매우 큰데, JYP는 단지 행사를 위하여 팬사인회를 열지 않았다.

2. 무리한 미국 진출 강행. 데뷔 초의 원더걸스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잘 보면, 세계 최고가 꿈이라는 말이 자주 보인다. 이는 해외 진출이 어느정도 예견이 된 점. 하지만, 무릎팍도사 원더걸스편을 보면 미국진출이 원치 않는 상태였다고 한다. 노바디 이후 팬덤 굳히기 없이 한 후, 팬덤이 엄청나게 와해되었다. 사실 미국 진출보다 더 욕먹을 점은 한국활동 신경 안 쓰고 미국에서 묵혀두었다.

3. 엄청나게 충격적인 코디와 메이크업. 아마 원더걸스의 팬덤이 다소 인지도에 비해 적었던 이유도 이 때문인듯. 다른 소속사들은 예쁘게 입힐려고 얼마나 신경 쓰는데, 원더걸스의 활동 때보다 멤버들이 각자 하는 메이크업이랑 사복이 훨씬 나을 정도이다. 때문에 분명히 비주얼 구멍이 전혀 없는 원더걸스가 타 걸그룹에 비해 비주얼 찬양받는 글을 보기가 힘들다. 가장 압권은 2 Different Tears 활동 시절 중 2010 드림 콘서트에서의 코디.

4. 한국 내에서의 리패키지, 베스트 앨범과 콘서트 DVD 출시 안 함. 게다가 포토카드와 같은 상술이 없는 것은 기본. SM을 비롯한 여러 팬덤들은 소속사들의 지나친 상술을 까는데 JYP 팬덤들은 오히려 JYP가 너무 상술을 안 부려서 오히려 상술을 원한다. JYP 내에서 리팩키지 앨범이 전혀 없는 걸 보면 그렇다쳐도, 일본에만 베스트 앨범을 내고 두번이나 단콘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콘서트 DVD가 없다. 2010년 초반기에 팬덤에서 왜 첫번째 단콘 DVD 없냐고 항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두번째 단콘에 안 넣은걸 보면 노답. 2016년 JYP네이션에서는 원더걸스만 굿즈가 없어서 원더풀들이 또 다시 분노했다. 심지어 트와이스는 물론이고 방송 활동을 안 하는 DAY6도 굿즈가 있는데 말이다.

5. 한국 따윈 신경 쓰지 않는 태도. 원더걸스의 주 수입원은 한국이며, 게다가 원더걸스는 한국에서 상당히 인지도가 많은 가수이다. 하지만 2 Different Tears와 Like This, 그리고 Ain't Nobody 활동은 2주밖에 안 되며, 그나마 Be My Baby가 한 달. I Feel You는 3년 기다리게 하고 3주 활동.

6. 유투브 관리 개판. 원더걸스 노바디 미국 버전 뮤비 영상 조회수는 4300만이며, 엠카운트다운 원걸 영상이 6600만으로 공식 뮤비보다 더 높다. 아마 JYP가 제대로 신경만 제대로 썼다면 조회수는 1억이 넘었을 것이다. 2DT 영상은 언어를 나눠서 조회수가 분산.

7. 미국 활동 때의 원더걸스의 부당한 대우. 2010년에 원더걸스 외국인 교사 부당 용도 이 때문에 크게 사고가 났다. 게데가 미국 투어 도중에 선예의 부친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상 치르고 나서 미국 투어에 돌렸다. 선미는 이 때문에 무지외반증이 더 심해져 결국 활동 중지를 하게 되었다.

8. 잘못된 언플로 인해 오히려 원걸에게 더 피해를 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세가지 케이스가 있는데 하나는 위에서 언급한 선미의 활동 중지를 그녀의 고질적인 병인 무지외반증 치료가 아닌 단순 학업을 이어가기 위해서라고 언급해 선미를 팀을 저버린 전 멤버 취급하게 만든 것..[67] 또 하나는 비슷한 시기에 합류한 홍콩 교포 출신의 혜림을 중국인이라고 언플한 것. 이 어이없는 언플 때문에 극 남초 싸이트에서는 혜림을 중국인 취급하며 무시하는 반응을 수시로 볼 수 있다. 마지막 세번째는 미국 진출 언플이다. 한국인 최초로 빌보드 메인차트에 진입했다고 언플하였으나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최초의 한국인 진입은 빌보드 200에 보아가 127위로 진입한 것이 최초이며, 원더걸스가 진입한 차트는 빌보드 HOT 100이다. 차이점은 빌보드 200은 앨범 차트, HOT 100은 싱글 차트로 두 차트 다 메인 차트는 맞다. 빌보드 HOT100 안에 들어간건 원더걸스가 최초가 맞지만, 보아는 2009년 3월 진입, 원더걸스는 3개월 뒤인 2009년 6월이기 때문에 최초는 보아가 맞으며, 순위는 보아보다 높지만, 이 놈의 잘못된 언플 때문에 아직도 원더걸스가 최초의 한국인 빌보드 진입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빌보드 미국 진출을 매우 성공한 것과 같이 언플하고 그에 대조하여 당시 한국 가수 중 제일 괜찮은 성적이었지만 아쉬운 성적을 들고 와서 까임과 비웃음을 동시에 받았다.

9. JYP내 현재 활동 중 아이돌 그룹 중 가장 안 좋은 대우를 받고 있다. 2AM과 데이식스는 아이돌 그룹보다는 다른 쪽을 지향하고 2AM은 현재 활동중지 상태여서 제외한다. 수록곡 제외 앨범 퀄리티는 제일 별로인 편이고, 공식 굿즈도 그나마 칫솔 같은거 밖에 없다. 그래서 원더걸스 갤러리에서는 맨날 포토카드 원한다고 징징거리기도. JYP가 상술 부리는 줄 알고 좋아했다가 오히려 더 욕나오게 만든 똥정판까지. 공카에서 안 산게 자랑스럽다는 반응까지 나왔을 정도.

10. 2017년 재계약 협상에 관한 확실한 기사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JYP 사옥에 붙어있는 원더걸스 현수막을 떼고 DAY6 현수막을 그 자리에 붙인 것이 팬들에게 알려지면서 팬들을 매우 화나게 했다.[68]이 때문에 원더걸스가 더 이상 JYP와 계약이 없을 것이라 파악한 사람들이 많았으나 문제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정작 알려야 할 좋은 일들은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굳이 서두르지 않아도 되는 일에는 무척 빠르게 처리한 탓에 팬들의 JYP에 대한 분노가 커진 것. 사실상 이 건으로 대부분의 원더걸스 팬들이 JYP에 크게 등 돌리는 계기가 되었다.

원더걸스 팬덤인 원더풀 이외에도 2PM의 팬덤인 핫티스트, 미쓰에이의 팬덤인 Say A, GOT7의 팬덤인 I Got 7 까지 죄다 JYP의 기획력이 중소기획사만도 못 한다고 평가한다.[69] 참고로 위에 적은 것들은 일부분이다. 그나마 GOT7TWICE가 데뷔하게 되면서 JYP의 팬 서비스가 어느 정도 나아지긴 했는데 정작 원걸에게는 여전히 나아진 게 없어서 팬들의 불만이 매우 큰 편.


7.3. 라이벌 구도[편집]



7.3.1. VS 빅뱅[편집]


소녀시대가 대박 터지기 전, 2007년 중후반~2008년, 원더걸스의 최대 라이벌을 꼽자면 당시에는 빅뱅이 원더걸스의 대표 라이벌이라 볼 수 있었다. 데뷔는 빅뱅이 원더걸스보다 더 앞서는 편이지만, 우연히도 빅뱅이 "거짓말"로 초대박터지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가며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하던 시점에 원더걸스 역시 "Tell Me"로 초대박을 터뜨리며 두 그룹의 최전성기가 시작된 기간이 비슷하다 보니 두 그룹이 서로 겹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전체적인 콘셉트을 보면 이 두 그룹이 겹치는 부분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그룹이 서로 라이벌로서 자리잡은 계기가 있다면 나름대로 몇 가지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두 그룹 모두 5인조 그룹이었으며, 원더걸스 - 소녀시대 - 카라와 마찬가지로 빅뱅 역시 원더걸스와 연령대가 비슷하다.[70] 또한 두 그룹 모두 최연장자가 아닌 긴 연습생 기간과 실력을 가진 멤버가 리더이며 연장자들 둘 다 낮은 음색을 가진 래퍼라는 공통점이 있다.[71]

두 그룹의 성적을 보면 엎치락뒤치락하는 편이었다. 텔미로 막 활동했을 때는 빅뱅이 거짓말로 완전히 자리를 잡은 시점이라 딱히 라이벌 관계도 아니었으나 얼마 안 가 텔미가 입담을 타며 거짓말을 넘어선 인기를 얻고 나면서부터는 원더걸스의 인기가 빅뱅을 거의 넘어서게 되었던 것. 그 후, 원더걸스의 텔미 활동 끝물 무렵에 빅뱅은 다음 활동인 "마지막 인사"로 컴백했고 원더걸스가 길었던 텔미 활동을 끝내고 후속곡 "이 바보"로 활동하면서 다시 빅뱅이 앞서게 된다. 2008년에는 딱히 활동 기간이 크게 겹치는 기간이 없었으나 두 그룹 모두 2008년에 정상급 인기를 유지하면서[72] 최고의 한 해를 보냈고 MKMF에서는 후반기에 화려하게 컴백해 이 두 그룹의 인기에서 전혀 눌리지 않고 엄청난 인기를 유지한 동방신기까지 겹치면서 세 그룹이 올해의 수상을 고루고루 수상하기도 했다.[73] 이 후, 소녀시대의 성장과 원더걸스의 미국 활동으로 팬덤이 와해되면서 두 그룹의 라이벌 관계는 사실상 끝이 났다. 다만, 2015년에 다시 활동이 겹치기도 하면서 오랜만에 빅뱅과 원더걸스가 경쟁하는 구도가 나오기도 했다.

2007년의 인기 상승으로 두 그룹의 인기가 크게 치솟으면서 두 그룹을 동시에 좋아하는 팬들도 늘어나 일명 뱅걸을 지지하는 팬들도 꽤 있었으며 지상파 방송들도 이 두 그룹의 인기를 이용해 두 그룹의 합동 공연을 보여주기도 했다. 2007년 뮤직뱅크에서는 두 번이나 합동 공연을 하기도 했으며 SBS 가요대전에서는 뮤직 드라마까지 찍었고 MBC 가요대제전은 크로스 무대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렇게 계속해서 엮이다 보니 각 팬덤에서는 상대 그룹과 엮이는 것을 매우 안 좋게 보기도 할 정도였으니 이 당시에 이 두 그룹이 얼마나 많이 엮였는지 알 수 있다. 특히 지드래곤안소희는 열애설까지 나올 정도였다. 다만 정작 각 그룹의 멤버들이 막 외향적인 그룹이 아니라 친해질까 하면 또 어색해지는 그런 관계를 보여줬다.

이후 2012년 원더걸스의 "Wonder Party" 앨범과 빅뱅의 "STILL ALIVE" 앨범의 발매가 겹쳐 음원 사이트에서 격전을 벌였다. 또한 2013년 선미의 24시간이 모자라와 승리의 할말 있어요 활동이 겹쳤으며, 2015년 정규 3집 "REBOOT" 활동과 빅뱅의 "E" 앨범 의 활동 역시 겹친 바 있다. 새로 생겨난 아이돌이 우수수 터지던 해에 같은 1위후보로 두 그룹이 비쳐졌을 때 2007-8년을 연상케 하는 모습에 신기하기도 하고 그 시절을 그리워 하고 아련해했다.


7.3.2. VS 소녀시대[편집]


90년대 말 SES 와 핑클이 있었다면 2000년대 후반에는 원더걸스와 소녀시대가 있었다. 2007년 같은 해에 데뷔해 정반대의 스타일을 선보였던 두 걸그룹은 늘 라이벌 구도에 놓였다. 서로를 유일하게 라이벌 상대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예은 "라이벌 소녀시대, 지금 만나면 너무 반갑다." 하지만 선예의 결혼식에 소녀시대가 가기도 했고, 선미, 유빈의 컴백을 태연이 홍보해주는 등 두 그룹 간의 실제 사이는 좋다.

사실 데뷔 초기에는 두 그룹의 라이벌 구도 자체가 생성될 수 없었다. 원더걸스가 <Tell Me>로 전국민적인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가요계 판도를 뒤엎고 국민 걸그룹으로 우뚝 올라섰기 때문. 소녀시대가 <다시 만난 세계>와 <소녀시대>로 인지도와 팬덤을 얻고 자리를 잡아갔으나 이 시기 원더걸스의 라이벌은 '거짓말'을 대히트시킨 빅뱅이었다. 2007 뮤직뱅크 연말결산에서 원더걸스가 압도적인 1위, 빅뱅이 2위를 차지했다.

이후 원더걸스는 <So Hot><Nobody>라는 국민가요를 연달아 탄생시키고 한국 여성 그룹 최초로 단독 대상을 수상했다. 한편, 소녀시대는 2008년 9월 Duffy의 <Mercy>를 리메이크한 <Dancing Queen>으로 컴백하려 했지만, 저작권 문제로 무산되어 공백기가 길어졌다.두 그룹의 명암이 상반되던 시기였다.

원더걸스의 활동이 끝난 직후, 2009년 1월, 소녀시대가 <Gee>를 발매했다. 2000년대 통합 음원차트 1위, 음악방송 9주연속
통산 11주 1위등의 기염을 토하면서 범아시아적 신드롬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일본 데뷔곡으로 동일곡을 사용하면서 오리콘 1위 또한 달성하였다. 이후 <소원을 말해봐 (Genie)>, <Oh!>까지 히트하며 국민 걸그룹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2015년 세계 최고의 걸그룹 투표에서 피프스 하모니를 누르고 1위를 달성하면서 아시아를 넘어서는 인기를 증명하였다. 한편 원더걸스는 <Nobody> 무대 영상이 인터넷을 통해 해외에 알려졌고, 아시아 전역에서 신드롬을 일으키며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Hot 100에 진입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그러나 국내 활동 공백으로 줄어들던 팬덤의 세가 선미의 탈퇴를 맞으면서 큰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2 Different Tears> 발표 후 단 2주의 짧은 국내 활동에도 불구하고 연간차트 7위를 차지하며 여전함을 증명했다.

2011년, 소녀시대가 10월 정규 3집 <The Boys>를 발표, 원더걸스가 11월 정규 2집 <Wonder World>를 발표하면서 두 그룹이 2007년 이후 처음으로 동시기에 활동하게 되었고 당연히 그 해 가요계 최대의 화젯거리로 자리매김했다. 음원 차트에서는 원더걸스가 늦게 컴백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녀시대를 이겼다.[74] 하지만 소녀시대가 막강한 팬덤의 힘으로 걸그룹 최초이자 유일한 음반판매 1위 기록을 세우먼슈 음반 판매 화력을 올리고, 방송 점수와 시청자선호도 점수를 확보하면서 원더걸스는 뮤직뱅크 1위 후보에 오른 3주 내내 2위를 차지했다. 두 그룹이 1위 후보로 맞붙은 3주 모두 방송 점수를 제외한 총점이 원더걸스가 우위였기 때문에 방송 점수 항목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일었다. 이 당시에는 소녀시대가 이미 국민 걸그룹으로 자리매김한 후였기 때문에 The boys와 같은 실험적인 음원을 발매하더라도 방송점수에서 원더걸스를 앞지를 수 있었다.

두 그룹은 4년이 흐른 2015년에 다시 만나게 된다. 3년의 공백 끝에 선미가 재합류하고 선예, 소희가 탈퇴하며 4인조 밴드로 팀을 크게 개편한 원더걸스가 8월 정규 3집 <REBOOT>를 발표했다. 소녀시대 역시 8월 정규 5집 <Lion Heart>를 발표한 것. 원더걸스는 파격적 개편 및 3년 만의 컴백임에도 음원차트를 올킬하고, 역대 걸그룹 음원 이용자수 최고치를 갱신했다. 멤버 전원이 타이틀곡을 제외한 전곡을 프로듀싱하였다는 점에서 활동 자체에도 큰 의미가 있었다. 소녀시대는 음악방송 21관왕을 차지하고 Lion Heart가 역주행하며 멜론 2015년 연간 차트에서 55위를 기록했다. 원더걸스의 'I Feel You'는 81위를 기록하였다. 이 시기 두 그룹은 V LIVE 방송에 전 멤버가 함께 출연하는 등 친분을 과시했다.

이후 원더걸스는 2016년 7월 자작 타이틀곡 <Why So Lonely>를 발표해 2016년 가온차트 3분기 음원 종합 1위, 2016년 뮤직뱅크 음원 및 시청자선호도 점수 1위를 차지하며 데뷔 초 전성기를 연상케 하는 음원 파워, 높은 음악성과 끈끈한 팀워크로 더 왕성하게 활동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지만, 2017년 2월 10주년에 해체를 선언했다.

소녀시대는 2017년 8월 완전체 정규 6집 <Holiday Night>을 발표하여 음반 초동을 자체 갱신하는 성과를 냈으나 음원 부진으로 음악방송 무관에 그쳤다. 2주 후 <가시나(선미)>를 발표한 선미가 열풍을 일으키고 음악방송 5관왕 및 가온차트 8월 음원상을 수상하며 압도적 우위를 점했다.

이후 2018년 9월 선미가 원더걸스 타이틀곡 후보였던 <사이렌>으로 컴백, 이틀 후 소녀시대가 유닛 그룹 소녀시대-Oh!GG를 결성하여 <몰랐니>로 컴백하며 활동이 겹쳤다. 그 결과 선미가 모든 음원차트, 음악방송 1위를 휩쓸며 승리했다.물론 소녀시대-oh!GG!의 경우 음원발매와 뮤직비디오 발표를 제외하고는 활동 자체가 아예 없었기 때문에 1대1 비교에는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022년 태연의 INVU 솔로와 선예의 솔로 음반 활동이 겹쳤다. 하지만 선예는 음반판매는 물론 음원차트에 차트인하지 못하였으나 태연의 INVU는 음반 초동 커리어하이와 음원차트 PAK, 음악방송 트리플 크라운, 음원차트 월간 1위, 브랜드 평판 1위를 달성하면서 패배하였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달 활동한 게 아니었기 때문에 음원 경쟁을 직접적으로 하지는 않았지만 음원차트인 또한 INVU가 더 길 뿐만 아니라 음반 경쟁에서도 패배하였다. 물론 이 경우에도 선예의 솔로가 음악방송 뿐만 아니라 홍보활동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1대1 단순 비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원더걸스는 국민적인 히트곡을 연달아 발표하며 2세대 아이돌 시대를 열었고, 높은 대중성으로 음원 부분에서 앞섰다면, 소녀시대는 강력한 팬덤과 대중적 인지도를 무기로 2세대 아이돌 시대를 장식하고 특히 음반 부문에서 앞서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KBS '연예가 중계'에서 조사한 '대한민국 세기의 라이벌 TOP 100' 중 4위에 올랐다.

7.4. 미국 진출 관련[편집]


한창 전성기를 누리던 2009년 초, 갑작스레 미국 진출을 선언한다. 엄청난 인기를 누리던 국내 시장을 뒤로 하고 미지의 영역인 미국 시장에 도전하겠다는 선택에 우려도 많았지만 격려 또한 많았고, 이후 한동안 국내 활동이 잠정 중단된다.

워낙 인기가 많았던 걸그룹이었기에 미국 진출 초기엔 국내 활동이 없음에도 언론의 관심이 상당했다. 초기에는 미국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다소 설레발스러운 기사도 상당히 많았고, 동시에 가 똑같이 미국에 진출해, 비록 거품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는 해도월드스타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었기에 이와 비교되며 JYP 전성기의 양대 산맥으로 추앙받기도 했다. 게다가 2009년 중반 일시적이기는 해도 빌보드 차트 TOP 100에서 76위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는데, 이 때는 대다수의 언론과 대중들이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성과가 지지부진하면서 언론의 관심도 차츰 식어가기 시작했고, 성과가 없으니 대중들의 시선 또한 차츰 혹시나 했더나 역시나였다는 식으로 바뀌어가기 시작했다. 게다가 한국에서의 활동이 사실상 끊기니 두텁던 팬덤도 차츰 흩어지기 시작했고, 그와중에 기존 걸그룹의 약진과 레드오션을 이루며 계속해서 데뷔하는 신인 아이돌들의 행보로 인해 국내에서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졌다. 매년 간간이 앨범을 내며 단기간 활동을 하기는 했으나 그 정도로는 전성기 시절의 팬덤을 유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동시기 JYP 사단 전반에 대한 평가가 혹독하게 바뀌면서[75] 원더걸스의 지지부진한 미국 진출 또한 평가가 갈수록 나빠졌다.

결국 2012년에 이르면 박진영 스스로도 인정할 정도로 미국 진출은 사실상 실패였다는 것이 중론이 되어버렸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더걸스의 국내 무대 복귀는 표류한 듯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앨범을 내기는 했으나 직접적인 활동은 거의 없다시피하여 앨범을 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허다했고, 우후죽순 새 아이돌 그룹들이 쏟아져나오는 가요계에서 그 정도의 활동으론 팬덤을 유지하기 어려웠으며, 그나마 제대로 된 활동을 보여주었던 2011년에는 모처럼 만난 라이벌 소녀시대와의 순위 경쟁에서 지는 등 위상이 예전같지 않음이 확연해졌다.[76] 실패임이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노선 변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에 팬덤들도 대다수가 등을 돌렸으며, 원더걸스에 대해서 안티들이 공격했을 정도로 원더걸스나 박진영 둘 다 아예 미국 진출 자체를 놓고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원더걸스의 미국 진출은 현재는 멤버를 스스로도 기억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77] 실패했다. 섣부른 해외진출 계획으로, 특히 미국 진출은 독이 될 수 있다는 선례를 제대로 남겼다. 이 케이스의 중대함 때문인지 방탄소년단, 싸이, BLACKPINK 등이 빌보드 Hot 100에서 각각 1위[78], 2위[79], 13위[80]등을 하며 성과를 올린 현재까지도 미국 진출을 당당히 시도하는 가수는 국내에서 거의 찾아보기 어려워졌고, 미국병에 걸렸다던 박진영 본인조차 다시금 회사가 활기를 찾은 2020년까지도 미국 진출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81][82]


7.4.1. 미국 활동 관련 비판[편집]


빌보드 Hot 100을 깬 것은 의미가 있지만, 박진영언플이 지나쳐 오히려 역효과만 불러일으키고 있다. 앨범 자체도 옷가게에서 장난감 팔듯이 싸게 판 것이라 인기대로 팔렸다고 보기 힘들고 CD가격을 1달러로 떨이하듯이 했는데, 이런 방식은 사실 미국에서는 굉장히 비난받는 방식이다.[83]

다른 가수들도 매장에서 팔긴 한다. 하지만 원더걸스처럼 무작위로 가격을 깎아서 팔면 누구라도 비난받는다. 가수 레이디 가가는 자신의 앨범 Born this way를 아마존닷컴에서 1달러 미만의 가격으로 팔아 덤핑논란에 휩싸여 여론을 빈축을 산 바 있다.[84] 2012년에는 마돈나 역시 자신의 앨범 MDNA를 자신의 콘서트 티켓에 끼워넣기로 판매해서 논란을 빚은바 있다.

또한 조나스 브라더스의 오프닝 게스트로 같이 투어를 돌 때도 14억 버스, 최고급 대우와 같은 수식어로 보도자료를 돌린 바 있는데 실제로 미국 대우가 좋은 가수들은 전용비행기를 타고 투어를 돌리지 저렇게 버스태워서 투어시키지 않는다.[85] 그 단적인 예로 한창 강남스타일로 인기몰이를 했던 싸이무한도전에 출연했을 때 공연 후 멤버들을 잠깐 만나기 위해 전용 헬기를 타고 오는 장면이 나온다.

한 술 더 떠서 조나스 브라더스의 공연을 보러온 오바마 부부를 원더걸스의 유명세 때문에 왔다는 식으로 둔갑하는 언플을 시전하기도 하였다. 물론 이 부분은 무릎팍도사에서 박진영이 따로 해명을 했으나 이 때문에 당시 코갤을 비롯한 다양한 커뮤니티. 심지어 팬사이트에서조차 과도한 언플이라고 까였었다.

그동안 이뤘다던 나름의 성과도 2012년 소녀시대가 인터스코프 레코드와 계약을 체결하며 미국에 무혈 입성하고, 싸이는 미국에 앨범 한 장 안 팔고도 강남스타일로 대광풍을 일으키면서 빌보드 차트 2위라는 금자탑을 쌓아 올리며 그야말로 부관참시를 시전했다. 그리고 원더걸스는 자기 음악 홍보하러 미국 라디오에 나왔다가 말춤을 따라하는 본의아닌 굴욕을 맛보고 말았다. 게다가 그 뮤직비디오에는 현아도 있다.

더군다나 원더걸스의 팬덤은 완전히 와해되어 버렸고, 아시아를 주름잡던 것도 완벽하게 과거의 일이 되어 버렸다. 반면 2009년 초 Gee의 발표 이래 국내에서 꾸준히 활동한 소녀시대가 왕좌를 차지한 이후 걸그룹 춘추전국시대 속에서 왕좌를 지켰다는 걸 생각하면, 원더걸스 입장에서는 천추의 한이 될 것이다. 더군다나 소녀시대는 왕좌를 지키며 천조국까지 노리고 있으니 오호, 통재라.[86] 만약 원더걸스가 왕좌에서 물러나지 않았다면, 소녀시대와 왕좌를 놓고 다퉜을지라도 자연스레 생겨나게 된 K팝의 열풍으로 천조국으로 진출을 꾀할 수 있었을 것이다. 결국 성급한 미국 진출로 한 방에 국내기반은 물론 그룹운명까지 무너뜨렸다.

사실 애초에 이런 문단 자체가 박진영의 뻘짓만 없었더라면 만들어지지 않았을 문단.

박진영은 2012년 초에 2011년 까지의 미국 활동에 대해서 그로 인해 JYP가 심각한 금전적 손해를 보고 원더걸스도 국내에서 인기를 잃었다며 실패를 인정했다. 비록 많은 경험을 쌓은 것이 이득이라고 발언하고 그 동안 노력한 성과가 나올 것이라며 2012년을 두고보자고 발언하기는 했으나, 회사마저 심각한 금전적 손해를 보았다고 인정한 것은 명백한 상업적 실패를 시인한 것이다.# 원더걸스는 미국으로 '유학'을 간 것이 아니라 '진출'을 한 것이며, 명백히 상업적인 활동이었는데 결산에서 손해를 보았다면 실패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

게다가 미디어 이론에 따라 예측해보아도 애초에 실패가 예정된 진출이었다. 확산이론이라는 미디어 이론에 따르면 특정 상품의 시장 진입 결과를 점치기 위해서는 '초기수용자(early adopter)'가 굉장히 중요하다. 상품의 시장진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원더걸스'라는 이름을 듣고 바로 구매할 초기수용자의 수(혁신계수)와 초기수용자와 교류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모방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람의 수(모방계수)가 커야 한다. 원더걸스는 자신들의 미국시장 초기 수용자층이라 할 수 있는 K-POP 매니아층에서 충분한 인지도를 얻고 있었다.

그러나 애시당초 미국 시장은 '혁신계수'에 해당하는 K-POP 매니아 수가 아시아 시장에 비해 절대적으로 작고 '''혁신계수가 낮으므로 당연히 모방계수도 낮아진다. 싸이의 미국 진출 성공은 결과적으로 그가 K-POP 매니아가 아니라 유튜브 내의 유머 동영상을 찾아다니는 모든 유저들을 혁신계수로 잡은 셈이 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단순하고 우스꽝스러운 말춤의 안무는 모방계수를 극단적으로 높여주는 역할을 했다.)

즉, 미국 내 K-POP 매니아 내지는 전문가들이 몇 번 자기 블로그에 포스팅했다고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 자체가 애초에 성공 가능성이 제로였다는 뜻.



7.4.2. 미국 현지의 실제 인지도[편집]


'미국 현지 그룹으로서의' 원더걸스의 인지도는 그냥 낮다 정도가 아니라 아예 없다라고 말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것이 냉정한 현실이다. 그러나 지금의 K-Pop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져 당시에 미국 진출을 위해 노력했던 원더걸스를 많이 기억하고 회자하는 해외 팬들도 존재한다.

지금은 굳이 미국을 가지 않더라도 SNS로 교류할 수 있어 현지에서 충분히 인기만 쌓으면 언제든 해외진출은 거뜬하다. 그러나 불과 10년전 만해도 원더걸스는 직접 자신들을 홍보해야만 했고 길거리에 나서서 “우리 원더걸스에요” 라고 해야할 정도로 환경적으로 너무 열악했다. [87]

당시, 미국에서 K-Pop의 위치는 전혀 주류가 아닌 "이방의 음악"이다. K-Pop이 미국내의 중국이나, 베트남 등의 아시아 계열 인구에게 인기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한국말로 노래하고 한국에서 활동하는 K-Pop을 말하는 거지, 미국 땅에서 영어로 말하고 영어로 노래를 부르며 미국식 화장을 하는 "미국 아이돌"로써 미국인을 겨냥한 콘셉트의 원더걸스는 오히려 이질감만 주며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는 심각한 역효과가 난 케이스다.

결론적으로 인지도만 봤을때 미국에서 K-Pop에 별 관심없는 사람들 중에서 원더걸스를 아는 사람은 많이 없다고 말하는게 적절하다.


7.4.3. 미국진출이 준 원더걸스의 득[편집]


미국진출은 사실 팬덤내에서나 대중들 사이에서나 잘못된 결정이라는 생각이 다수다. 2 Different Tears의 성적도 괜찮은 편이었으나[88], 전성기 때와 비교했을때 그때의 파워가 너무 세서 큰 하락으로밖에 보일 수 없었다. 2009년에 이어 2010~2013년까지 원더걸스는 정규 2집 활동을 제외하고 한국에서의 제대로 된 활동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들로 미국 진출은 단지 득이 아닌 실만 있었다라는 평가가 많지만, 원더걸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점 또한 적지 않다.

멤버들의 참여가 전 앨범에 비해 유독 많았던 2011년에 공개된 정규 2집 Wonder World는 전문가들이 뽑은 걸그룹 명반 앨범으로 꼽혔으며, 특히나 음악공부를 먼저 했던 예은의 작사작곡 능력은 매우 커졌다. Saying I Love You를 시작으로 작사작곡을 시작한 예은은 정규 2집에 G.N.O와 리메이크된 Me,in을 넣었으며, 미니 2집 Wonder Party에 R.E.A.L, Girlfriend, 두 곡을 넣었다.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을 오랫동안 경험해와서 원더걸스 앨범의 전반적인 퀄리티가 높아졌으며, 2014년 중반에 나온 HA:TFELT의 Me?의 앨범이 전문가에게 엄청난 호평을 받으면서 나름대로 원석을 발견한 셈. 활동 반경이 넓어졌다는 것은 정말 큰 득이다.

사실상 원더걸스가 Tell Me~2DT까지 레트로라는 틀에 맞춰졌던 반면, Be My Baby와 해당 앨범 수록곡은 미국 팝적인 요소가 가미되었으며, Like This는 원더걸스가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힙합이라는 장르에 시도해봤던 만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원더걸스의 색깔을 잃지 않으되 끊임없이 도전을 해오던 원더걸스는 마침내 2015년부터는 밴드의 컨셉으로 컴백을 했다.





이전에도 멤버들이 앨범에 참여했지만 음악 공부를 먼저 시작한 예은의 음악색깔이 독보적이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달랐다.

모든 멤버들이 작사 작곡에 참여하여 그들이 작업한 곡들로만 수록하였다. 이에 ''아이돌의 음악의 편견''을 깨고 또 다시 한번의 명반임을 입증하였다.
결국 그들이 이제는 아이돌이 아닌 아티스트로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즘에는 많은 아이돌가수들이 작사 작곡에 많은 참여를 기우는 추세이다. 그러나 모든 멤버들이 이러한 능력이 있고, 능력을 입증한 그런 걸그룹들 중에 아직까지도 전무하다. 해체한 지금까지도 모든 멤버들이 셀프 프로듀싱을 하며 자신의 곡으로 활동 중이다. 배우를 전향한 소희를 제외하고는 탈퇴했던 선예 역시도 본인이 참여한 곡으로 앨범을 냈을 정도.

이로 인해 미국 활동이 결코 실패만을 운운할 것이 아니라고 본다. 그들 각자에게 인생의 또 다른 공부를 했을 것이고 그를 바탕으로 각자가 아무런 논란없이 아티스트로서 지금까지 건재한 것을 보면 박수 받아도 마땅하기 때문이다.

8. 팬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WonderFul(원더걸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원더걸스의 팬을 원더풀이라고 칭한다. 영어로는 WonderFul. 이름의 유래는 Wonderful이자 그룹명인 원더걸스를 약간 변형한 형태다.








그래서 음악 프로그램 공개방송 때 현장의 모 방송 관계자가 "걸그룹인데 왜 여자팬밖에 없냐"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공개방송 때 남성 팬을 보면 간혹 놀라는 경우도 있다 카더라. 또한 팬덤 자체에서도 남자가 발견될 경우 신기해한다.









9.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더걸스/논란 및 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기록 및 수상경력[편집]





10.1. 시상식 [편집]



파일:external/wondergirls.jype.com/mainlogo.png
시상식 수상 기록

시상식명
부문
수상곡
2007년
2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Rookie Of The Month
Irony
10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Song Of The Month
Tell Me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제9회 M.net KM Music Festival (MKMF)
여자그룹부문 신인상

제8회 대한민국 국회 대중문화&미디어 대상
대중가요 부문

제8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포토제닉상

제22회 골든디스크
디지털음원부문 본상

인기상

2007 KBS 뮤직뱅크 연말결산
올해의 노래
Tell Me
2008년
제17회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제20회 한국PD대상
PD가 뽑은 출연자상 가수 부문

제5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댄스 & 일렉트로닉 노래상
Tell Me
6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Song Of The Month
So Hot
M.net 20's Choice
Hot 클럽뮤직
9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Song Of The Month
Nobody
10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Song Of The Month
골든디스크
명예신인상 [101]

멜론뮤직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So Hot
제10회 M.net KM Music Festival (MKMF)
여자 그룹상

뮤직비디오 작품상
Nobody
올해의 노래상[102]
제9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포토제닉상

제25회 코리아 베스트 드레서
가수 부문

제23회 골든디스크
디지털음원부문 본상

2008 코리아 패션 & 디자인어워드
스타일 아이콘상

2008 외신홍보상
가수 부문

제1회 니켈로디언 코리아 키즈 초이스 어워드
좋아하는 여자가수상

2008년
2009 아시아 모델 페스티벌 어워즈
아시아 스타상

제1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Nobody
디지털 음원상
대상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그룹 부문

2009 대한민국 콘텐츠 어워드
해외진출아티스트부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2011년
2011 중국 차이나 모바일 시상식
최고 판매 해외 그룹상

제1회 한국패션 100년 어워즈
엔터테인먼트 최고의 그룹상

2012년
제1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
11월 음원부문 올해의 가수상
Be My Baby
2013년
제2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
6월 음원부문 올해의 가수상
Like this
2014년
일본 제15회 에이젝스 아시아 어워드
베스트 여자그룹상

2015년
美 Fuse TV BEST 2015
올해의 앨범 20선 그중 유일한 한국 가수

일본 iTunes BEST 2015
베스트 K-Pop 앨범

멜론 다중音격》
2015 올해의 가요 앨범

빌보드 The 10 Best K-Pop Albums of 2015
1위

2016년
중국 큐 뮤직 아시아 성전 (Ku Music Asian Music Awards)
아시아 베스트 퍼포먼스상

2017년
제6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
7월 음원부문 올해의 가수상
Why So Lonely
제14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팝 노래 부문

10.2. 음악방송 1위[편집]



파일:external/wondergirls.jype.com/mainlogo.png
음악방송 1위 수상


날짜


곡명


방송


비고

2007년 10월 27일
Tell Me
(15관왕)
KMTV 쇼 뮤직탱크
첫 1위
2007년 10월 28일
SBS 인기가요
인기가요 첫 1위
2007년 11월 2일
KBS 뮤직뱅크 디지털 음원 차트
뮤직뱅크 첫 1위
2007년 11월 3일
KMTV 쇼 뮤직탱크
2주 연속
2007년 11월 8일
Mnet 엠카운트다운
엠카운트다운 첫 1위, 통산 1주
2007년 11월 9일
KBS 뮤직뱅크 노래방 차트
2주 연속
2007년 11월 10일
KMTV 쇼 뮤직탱크
3주 연속
2007년 11월 11일
SBS 인기가요
2주 연속
2007년 11월 17일
KMTV 쇼 뮤직탱크
4주 연속
2007년 11월 18일
SBS 인기가요
트리플 크라운, 3주 연속, 통산 3주
2007년 11월 24일
KMTV 쇼 뮤직탱크
5주 연속
2007년 11월 30일
KBS 뮤직뱅크 디지털 음원 차트

2007년 12월 7일
KBS 뮤직뱅크 시청자 선호도 차트
2주 연속
2007년 12월 28일
KBS 뮤직뱅크 연말 결산

2008년 1월 4일
KBS 뮤직뱅크 노래방 차트
2주 연속, 통산 6주
2008년 6월 6일
So Hot
(12관왕)
KBS 뮤직뱅크

2008년 6월 13일
KBS 뮤직뱅크
2주 연속
2008년 6월 15일
SBS 인기가요

2008년 6월 20일
KBS 뮤직뱅크
3주 연속
2008년 6월 22일
SBS 인기가요
2주 연속
2008년 6월 27일
KBS 뮤직뱅크 6월 통합 차트
4주 연속
2008년 6월 29일
SBS 인기가요
트리플 크라운, 3주 연속, 통산 3주
2008년 7월 4일
KBS 뮤직뱅크
5주 연속
2008년 7월 10일
Mnet 엠카운트다운

2008년 7월 11일
KBS 뮤직뱅크
6주 연속
2008년 7월 17일
Mnet 엠카운트다운
2주 연속
2008년 7월 24일
Mnet 엠카운트다운
트리플 크라운, 3주 연속, 통산 3주
2008년 10월 3일
Nobody
(4관왕)
KBS 뮤직뱅크

2008년 10월 10일
KBS 뮤직뱅크
2주 연속
2008년 10월 17일
KBS 뮤직뱅크
3주 연속
2008년 10월 24일
KBS 뮤직뱅크
4주 연속, 통산 4주
2010년 5월 27일
2 Different Tears
(1관왕)
Mnet 엠카운트다운
통산 1주
2011년 11월 17일
Be My Baby
(6관왕)
Mnet 엠카운트다운

2011년 11월 24일
Mnet 엠카운트다운
2주 연속, 통산 2주
2011년 11월 27일
SBS 인기가요

2011년 12월 4일
SBS 인기가요
2주 연속
2011년 12월 10일
채널A K POPCON
통산 1주
2011년 12월 11일
SBS 인기가요
트리플 크라운, 3주 연속, 통산 3주
2012년 6월 12일
Like this
(6관왕)
MBC MUSIC SHOW CHAMPION
쇼 챔피언 첫 1위
2012년 6월 15일
KBS 뮤직뱅크
통산 1주
2012년 6월 16일
MBC 쇼! 음악중심

2012년 6월 17일
SBS 인기가요

2012년 6월 19일
MBC MUSIC SHOW CHAMPION
2주 연속, 통산 2주
2012년 6월 24일
SBS 인기가요
2주 연속, 통산 2주
2016년 7월 13일
Why So Lonely
(4관왕)
SBS THE SHOW
더 쇼 첫 1위, 통산 1주
2016년 7월 14일
Mnet 엠카운트다운
통산 1주
2016년 7월 17일
SBS 인기가요
통산 1주, 원더걸스 마지막 현장 1위
2016년 8월 5일
KBS 뮤직뱅크
통산 1주, 원더걸스 마지막 1위

총 48회 1위


10.3. 음원 성적[편집]



파일:external/wondergirls.jype.com/mainlogo.png
음원 성적 기록

곡 제목
발매일
멜론 주간 순위
멜론 월간 순위
멜론 연간 순위
가온 연간 순위
Irony
07.02.13
10위
14위
25위

Tell Me
07.09.12
1위
1위
26위

So Hot
08.06.03
1위
1위
1위

Nobody
08.09.22
1위
1위
4위

2 Different Tears
10.05.16
1위
1위
7위
6위
Be My Baby
11.11.07
1위
3위
20위
33위
Like This
12.06.03
1위
1위
22위
18위
I Feel You
15.08.03
1위
6위
81위
79위
Why So Lonely
16.07.05
1위
1위
22위
22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6 04:36:11에 나무위키 원더걸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63] 그 당시 'Tell Me' 열풍은 그동안의 가요계에서 처음 발견됐다시피한 현상이었다.[64] 90년대에 서태지 빌보드 진입 소식을 떠올리는 분들이 있는데, 서태지 노래의 영어 버젼 곡명과 같은 이름이었던 해프닝이었고, 당시 소문이 정정될 수단이 부족했기 때문에 아직도 오해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음[65] 2009년 미국 활동 도중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대학에 진학했었다.[66] 당시, 보통 걸그룹은 7년이면 수명 끝이라는 의견이 만연했으며 실제로 초반의 인기가 떨어진 걸그룹들은 다른 수를 써보지 못하고 그대로 활동 해산의 길을 걸었다.[67] 참고로 이 건이 있기 1년 전, 선미는 소희와 함께 고등학교를 자퇴했다.[68] 이전까지 원더걸스 현수막은 박진영 현수막 옆에 붙어있었는데 2017년부터 현수막이 바뀌었다.[69] 사실 이건 SM도 해당된다.[70] 88년생으로 유빈, 지드래곤, 태양이 있고 89년생으로 예은, 선예, 대성이 있다.[71] 완벽히 같은 점은 아니지만, 이 두 그룹 모두 최전성기를 같이 하지 못 한 멤버가 하나씩 있다. 장현승은 빅뱅 연습생으로 들어와 나머지 다섯 멤버와 경쟁했으나 마지막 자리를 승리에게 밀려 빅뱅으로 데뷔하지 못 했고 현아는 원더걸스로 데뷔했으나 1집 활동만에 원더걸스를 탈퇴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두 사람은 한 소속사에서 만나 한 유닛 그룹으로 같이 활동하게 된다.[72] 원더걸스는 "So Hot"과 "Nobody"로 인기를 유지했고 빅뱅은 "하루하루", "붉은 노을"로 인기를 유지했다.[73] 동방신기는 "주문-MIROTIC"으로 올해의 앨범상, 빅뱅은 올해의 가수상, 원더걸스는 "Nobody"로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했다.[74] 2011년 멜론 연간 차트에서 <Be My Baby>는 20위를 소녀시대의 <The Boys>는 21위를 기록했다.[75] 이 시기 박진영에 대한 평가는 갈수록 나빠졌는데, 그중 대표적인 이미지가 "언플의 제왕"이라는 것이었다. 자연스레 원더걸스의 미국 진출에 대한 성과도 대다수가 언플의 결과였다는 식으로 나빠지기 시작했다.[76] 그러나 2DT로 컴백했을 당시 2주 활동이었음에도 연간 7위를 기록하고, 정규 3집 Be my baby 때에는 11월에 컴백하고 10월에 앨범을 낸 걸그룹보다 높은 순위인 연간 20위를 기록하였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망했다고 보기 어렵다.[77] 원더걸스 멤버들은 이 당시 얘기가 나오면 눈물을 보이기도 하고, 선미의 경우 방송에서 과거의 자신에게 말을 한다면 "미국에 가지 말라"고 말하겠다고 언급할 정도다.[78] 'Dynamite', 'Savage Love (Laxed Siren Beat) (BTS Remix)', 'Life Goes On', 'Butter', 'Permission to Dance', 'My Universe'[79] '강남스타일'[80] 'Ice Cream (with Selena Gomez)'[81] 대신 TWICE가 계획에 없던 일본 진출로 대박을 터뜨리자 일본 시장에 상당히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 독보적 톱걸그룹 지위를 유지 중 이다.[82] 그러다 2021년 트와이스가 첫 번째 영어 싱글로 JYP 역사상 두 번째, KPOP 역사상 다섯 번째로 빌보드 Hot 100에 이름을 올린 가수가 되었다.[83] 엄청나게 싼 가격으로 음반을 팔아 판매량을 바짝 올려 일시적으로 순위를 올리는 행위를 미국에서는 싱글덤핑이라고 한다. 그렇게 해야 했던 이유인, 빌보드 hot100 차트 순위 산정법.[84] 아마존닷컴 측은 아마존 자사의 홍보활동을 위해 가가 측의 음반을 구입해 싸게 판 것이라고 해명하였다. 자세한 것은 레이디 가가 문서 참조.[85] 무릎팍도사 원더걸스 편에서 선예가 이 버스의 실상에 대해 설명을 했는데 본인들이 탔던 버스는 투어버스들 중에서도 가장 구형이었고 정원이 12인승이었는데 멤버들과 박진영 포함 총 16명이 탑승했기 때문에 침대 놓을 자리도 부족한 공간에서 숙식과 메이크업을 해결해야 했다고 한다. 투어기간 동안 가장 큰 소원이 "흔들리지 않는 침대에서 자보는 것"이었다고.[86] 이후 소녀시대는 아시아 시장에 집중하기 위해 미국 활동 계획을 취소한다. 그러고도 2013 유튜브 뮤직 어워드 올해의 뮤직비디오 부문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면서 원더걸스 팬들의 속을 더욱 쓰리게 만들었다.[87] 심지어 미국 경제위기 상황[88] 2 Different Tears는 2주 활동으로 연간 7위라는 엄청난 성적을 기록했다. 성적만 가지고 보면 대박이지만 약하다는 인식이 있는건 전성기 때의 음원이 대박을 넘어선 초초대박이여서....[89] 이 쪽의 경우에는 악질 핫티스트들의 활약이 워낙 엄청나다보니 불똥이 원더풀에게도 튀어서 그런 것이지만. 세이에이와 아갓세븐과는 그런 충돌이 전혀 없었다.[90] 사실 월드는 초기인 2007~9년에는 오히려 원갤보다 더 비주류에 가까웠다. 다음 카페이지만 애초에 갤러리와 성향이 비슷하고 정작 같은 카페인 원더풀, 별하, 신비와는 완전 다른 성향인지라 후자 카페들에게 오히려 안 좋은 소리를 듣곤 했었다. 월드가 주도적인 위치로 올라선 것은 2010년 즈음부터다.[91]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쪽수가 줄어들어 전성기에 하던 것처럼 외부 그룹을 대상으로 공격성을 보이지 못하게 되었다. 대신 같은 기획사 그룹 상대로 풀고 있다. 2PM의 옥택연이 강심장에서 핸즈업 피쳐링은 본래 크리스탈이 하기로 했었는데 미성년이라 소희로 바뀌었다는 발언을 해서 공식 간담회에서 해당 가수에게 경고 조치를 요구했다고 한다. 워낙 팬수가 줄어든 탓에 JYP에서 상대적으로 요구를 잘 들어주는지 정말로 경고 조치를 받았다고. 최근에는 조권이 실력 문제로 고민하는 소희의 상담 내용을 털어놓았다가 대대적인 공격을 받는 중.[92] JYP 최초의 아이돌 그룹 타이틀은 god가 갖고 있어 갖지 못 하지만, god가 처음부터 JYP가 키운 게 아니라 이미 멤버가 모여 있던 것을 박진영김태우를 집어넣고 프로듀싱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JYP 최초의 아이돌 그룹으로 볼 수도 있다.[93] 2008년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장르 노래 부문에 "Tell Me"가 선정되었다. 유일하게 상업적 성적이나 인기보다 음악성 평가 위주로 시상하는 시상식인 만큼 아이돌이라는 타이틀로서 큰 의미가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당시 같은 수상자였던 보이그룹 BIGBANG은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부문으로 인기상에 가까운 것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아이돌 중 최초의 수상자라고 볼 수 있다.[94] HOT 100 차트에 76위로 진출했으며 이후 싸이, CL, 방탄소년단, 블랙핑크가 진입했다.[95] Like This에 플래시몹을 하는 장면을 대한민국 가수 최초로 시도했으며 이후 여러 가수들이 시도했다.[96] 참여정부 시기 걸그룹 중에서 유일하게 초청받았으며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초청장을 전달했다.[97] 2006년 데뷔 전에 엠넷에서 원더걸스tv라는 프로그램 방영[98] 7인치와 색깔이 있는 컬러 LP를 발행하는 것은 아이돌 중 최초다.[99] 각각 8개월, 29주 차트인[100] 걸그룹 최초 수상은 핑클의 <영원한 사랑>(1998년)으로 공동 수상이다.[101] 2008년 10월 4일 골든디스크 조직위원회가 별도로 명예신인상을 수여함으로 시상식 횟수와는 상관없음[102] 대상 격[103] 1위 TWICE, 2위 소녀시대, 3위 S.E.S., 4위 Red Velvet, 5위 핑클, 6위 여자친구, 7위 Apink

분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