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 156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asisbiz.com/Fieseler-Fi-156-Stammkennzeichen-code-(CB+GF)-01.jpg
Fiseler Fi 156 "Storch"

1. 개요
2. 제원
3. 기종의 역사
3.1. 개발
3.2. 실전
4. 프라모델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독일의 단거리이착륙기(STOL)로써 슈토르흐(Storch;황새)라고도 한다. V1 로켓을 만든 피젤러사(社)가 개발하였으며 대전 중 등장한 단거리이착륙기 가운데 가장 성공한 기체라는 평가를 받았다.


2. 제원[편집]


  • 길이 : 9.9m
  • 너비 : 14.3m
  • 높이 : 3.1m
  • 익면적 : 26.0m²
  • 자체중량 : 860kg
  • 전비중량 : 1,290㎏
  • 최대속도 시속 : 175㎞/h
  • 실용상승 한도 : 4,600m
  • 항속거리 : 390㎞
  • 승무원 : 3명
  • 무장 : 후방좌석 7.92mm G 15/MG30 기관총 1정, 50kg 폭탄 3개(옵션)


3. 기종의 역사[편집]



3.1. 개발[편집]


1935년부터 단거리이착륙 경비행기를 개발한 피젤러사는 1937년 중반까지 Fi 156A-0 10대를 완성하였다. 10대 가운데 1대는 1937년 7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비행경기에 참가하여 우수한 단거리이착륙 성능과 저속 비행능력을 선보였다. 이후 세계 각국에서 Fi 156A-0을 모방하여 단거리이착륙기를 제작하였다.


3.2. 실전[편집]


첫번째 양산형 Fi 156A-1은 1937년 후반 독일 공군에 배치된 뒤 스페인 내전에 투입되면서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다. 당시 10대를 무상으로 스페인 국민군에게 공여되었고 Fi 156A-1을 개량한 Fi 156C는 제2차 세계대전 발발과 동시에 독일 육군을 지원하기 위해 폭 넓게 활용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50kg 폭탄 3개를 장착한 공격기 버전이나 후방사수석을 폐지하고 부상자 수송용 시트를 장착한 부상병 후송기 버전 같은 파생형들도 개발되었다. 스페인 내전에서 Fi 156은 탄착점 관측과 연락, 귀빈수송, 부상병수송, 조종사 구출, 정찰, 폭격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독일의 동맹국인 스페인, 이탈리아 왕국,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왕국, 불가리아 왕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핀란드에 공여 되었고 전쟁이전에는 소련에스토니아에 수출되기도 했다.

제 2차 세계 대전에서도 Fi 156은 맹활약했다. 특히 1943년 9월 12일 오토 스코르체니가 자신이 지휘하는 특공대[1] 를 동원해 그랑삿소 산장에 감금된 베니토 무솔리니를 구출할 때 사용한 기체로 유명하다.[2] 독소전당시 라스푸티차동장군에 활주로를 이용하기 힘들어지자 바퀴를 폐지하고 스키를 장착하기도 했다.

또한 Fi 156은 야전장교들이 많이 탑승한 항공기로도 유명한데, 특히 에르빈 롬멜과 그의 참모진 중 하나였던 한스 폰 루크가 이걸 애용해서 북아프리카에서 직접 탑승하고 실시간으로 전장을 파악하면서 지휘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테오도어 아이케 SS 중장은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당시 이 비행기를 타고 전선을 살피다 소련군 대공포에 격추당해 전사했고, 그보다 3년 전에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육군 상급대장이 이걸 타고 전선을 정찰하다가 항공기가 지뢰밭에 추락하는 바람에 폭사했다. 운도 참 더럽게 없다.

또한 나치 독일의 여성 테스트 파일럿으로 유명했던 한나 라이치 역시 베를린 전투 당시 Fi 156을 타고 애인이었던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공군 상급대장과 함께 베를린으로 왔고 히틀러가 탈출을 거부[3]하고 대신 해임한 헤르만 괴링 공군 제국원수 대신 원수 진급 및 공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받은 그라임 장군을 태운 채 라이치가 다시 같은 기종을 몰고 베를린에서 탈출했다. 베를린에 진입할 탈출할 당시 슈토리히 특유의 짧은 이착륙거리가 큰 도움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물론 어디까지나 정찰기/연락기였던 Fi 156은 무장이 빈약하고 속도가 느렸기 때문에 연합군 전투기에 대적할 수 없었지만 대신 구조가 간단하여 생환율이 매우 높았다. 전장에서의 평균 운용수명은 Bf 109의 10배나 되었다고 전해진다. Fi 156 시리즈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약 2,700대가 생산되었다.

전후에는 프랑스에서 라이선스를 확보해 모랑솔니에사에서 MS.500 크리케(Criquet;귀뚜라미)라 명명해 생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때 운용했다. 또한 이후 독립한 캄보디아, 남베트남, 라오스 왕국에서 프랑스가 버리고 간 것들을 노획해 정찰기로 써먹었다.


4. 프라모델[편집]


아카데미에서 80년대에 1/48 스케일 모델로 나온 적이 있다. 표기는 슈토르히가 아닌 영어 발음인 스토치. 당시 상황으로 보아 자체 개발은 아니고 외국 금형을 이용한 듯하다. 모델은 작은 스케일에 비해 그런대로 잘 나왔던 편.
박스 소개
모델 제작 예.


5. 둘러보기[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의 스웨덴군 항공병기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 펼치기 · 접기 ]
전투기
복엽 전투기
스벤스카 아에로 아크트팔켄 II, 브리스톨 불독, J8,J8A, J11
단엽기
세버스키 P-35, Re.2000, J 22A, J 22B
폭격기
경폭격기
Ju 86K, 호커 하트, 사브 17
中폭격기
사브 18
뇌격기
하인켈 He 115
공격기
A-17
정찰기
호커 오스프리, 하인켈 He 5, Fi 156
수송기
Ju 52, C-47
훈련기
Kl 35, He 42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6 05:14:34에 나무위키 Fi 15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SS 소속의 프리덴탈 특수부대와 공군 공수사단에서 정예병력을 차출해서 편성하였다.[2] 원래는 Fa 225를 사용하려고 했으나 기상악화로 오지 못했다.[3] 라이치와 그라임 장군, 그리고 히틀러의 측근들은 모두 그에게 항공기를 이용해 베를린을 탈출하고 후일을 도모하자고 제안했으나, 히틀러 본인의 완강한 거부로 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