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중앙고등학교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
'''[[대한민국|
]]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濟州中央高等學校
Jeju Jungang High School
파일:제주중앙고등학교 교표.jpg
파일:제주중앙고등학교 진청색 교표.jpg


교훈신망, 성실, 창조
개교1953년 12월 10일
유형일반계[1], 특성화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 형태사립
학교 법인천마학원
교장안경호
상징교목: 후박나무
교화: 철쭉
교조: 독수리
상징색: 파랑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323
웹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과
2.1. 문화콘텐츠과
2.2. 금융비즈니스과
2.3. 보통과
3. 교가
4. 학교 시설
4.1. 지하1층
4.2. 1층
4.3. 2층
4.4. 3층
5. 교통
5.1. 주요 정류소 가는 버스
6. 백호기 응원가
6.1. 멋진 중앙고
6.2. 남도 뱃노래
6.3. 젊은 그대
6.4. 그대에게
6.5. 승리를 위하여
6.6. 질풍가도
6.7. Red's go together
6.8. 전 응원가
6.8.1. 붉은 노을
6.8.2. 룩셈부르크
6.8.3. 오리 날다
7. 기타
8.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제주시 월평동에 소재한 사립 단설 고등학교로 일반계와 특성화과가 함께 있다. 2006년까지는 제주상업고등학교였지만 2007년도에 학교 명칭을 제주상업고등학교에서 제주중앙고등학교로 개칭했다.

현재 총 세 가지의 과가 있으며, 문화콘텐츠과(1반, 2반, 3반, 4반), 금융비즈니스과(5반, 6반, 7반, 8반), 보통과(9반, 10반)로 나뉜다. 참고로 보통과는 일반계며 제주중앙고등학교는 ITQGTQ 시험장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2. 학과[편집]


제주중앙고등학교 학과는 총 3가지로 나뉜다. 특성화과는 문화콘텐츠과와 금융비즈니스과이며, 보통과는 일반계 학과이다.

2.1. 문화콘텐츠과[편집]


  • 세대, 인간, 자연과의 공존을 위한 '문화적 감수성'을 키워준다.
  • 무한한 문화자원이 창의적인 발상과 만다 콘텐츠로 빛나게 한다.


2.2. 금융비즈니스과[편집]


  • 제주국제자유도시 비전을 공유하는 글로벌 리더로서의 미래금융 비즈니스 전문인을 양성한다.


2.3. 보통과[편집]


  • 철저한 학습관리와 체계적인 지도를 통해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100%의 4년제 대학 진학을 목표로 운영한다.


3. 교가[편집]


파일:schSong_201609230142531260.jpg

4. 학교 시설[편집]


제주중앙고등학교의 경우 규모가 웅장하고 학교 내부가 약간 복잡하기 때문에 교내안내도를 확인하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도서관은 별관에 있으며, 체육관은 운동장을 넘어가면 있다.[2] 그리고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1학년 보통과 건물인 새 건물과 기존 건물의 색이 다르다. 기존 건물도 페인트칠 한지 몇 년 안된 걸로 안다. 2019년 2학기 새로 페인트를 칠했으며 몬드리안의 작품을 모티브로 칠했다고 한다.

그리고 학년별 교실의 경우
1학년, 보통과[3]: 1층
2학년: 2층
3학년: 3층[4]

4.1. 지하1층[편집]


미술실, 과학실, 금융3실

4.2. 1층[편집]


행정실, 보건실, 학생회실, 1학년 교무실, 보통과 교무실, 금융2실

4.3. 2층[편집]


교장실, 2층 교무실(본교무실), 2학년 교무실, 교목실, 금융1실

4.4. 3층[편집]


3학년 교무실, 음악실[5], 콘텐츠제작실, 영상제작실, 대강당[6]


5. 교통[편집]


제주중앙고등학교347, 348, 349, 357, 358, 365, 367, 368, 369, 411, 412, 446, 3002, 3004
가시나물421, 422, 425, 426, 471, 472

제주중앙고등학교가 제주시보다 약간 위에 있어 교통편은 그렇게 편하지는 않다. 다만 봉개에서 제주중앙고등학교 통학은 편리하다. 등. 하교시간에는 신성여자중고등학교 통학인원까지 이용해서 제대로된 혼잡도을 맛볼 수 있다. 참고로 347번, 411번, 412번은 상시운행이며, 365번은 등교시간에 운행하지 않는다. 제주중앙고등학교가는 버스는 많지 않으며, 오래 기다려야 될 때는 300m 이내에 있는 가시나물 정류장에서 타는 것이 좋다. 참고로 버스를 타는 순서는 선착순이다. 하지만 줄을 무시하고 2,3학년들이 새치기를 하고 버스에 탑승한다. 매번 규칙이 바뀌긴 하지만 전통이니 어쩔 수 없다.


5.1. 주요 정류소 가는 버스[편집]


  • 제주시청 가는 버스: 348번, 349번, 358번, 365번, 411번, 446번
  • 제주대학교 가는 버스: 없다. 다만 300m 이내에 있는 가시나물 정류장에서 421번, 422번
  • 중앙로사거리 가는 버스: 365번, 411번, 446번
  • 제주도청 신제주로터리 가는 버스: 357번, 358번, 365번, 446번
  • 노형오거리 가는 버스: 365번(원노형), 367번(원노형), 369번, 446번
  • 화북남문 가는 버스: 348번, 349번, 412번(승차시 반대편 정류장에서 승차)


6. 백호기 응원가[편집]


제주도에서 1년에 1번 열리는 백호기 축구대회 응원 카드섹션에 필수로 참가해야한다. 과거엔 빡셌지만 지금은 괜찮아진 편.

6.1. 멋진 중앙고[편집]


멋있는 사나이 많고 많지만

바로 내가 사나이 멋진 중앙고

싸움에는 천!하!무!적!

자랑스럽게 자랑스럽게

바로 내가 사나이 멋진 중앙고



6.2. 남도 뱃노래[편집]


부딪치는 파도 소리에

단잠을 깨보니 어기여차어기여차

들려오는 노젓는 소리가 처량도 하구나 어기여차어기여차

에야누야누야

에야누야누 어기여차어기여차

뱃노래 가잔다



6.3. 젊은 그대[편집]


거치른 벌판으로 달려가자

으쌰라 으쌰 으쌰라 으쌰으쌰라 으쌰 으쌰라 으쌰

젊음의 태양을 마시자

으쌰라 으쌰 으쌰라 으쌰으쌰라 으쌰 으쌰라 으쌰

보석보다 찬란한 무지개가

살고있는 저 언덕넘어

내일의 희망이 우리를 부른다

젊은 그대 잠깨어 오라 아아

젊은 그대 잠깨어 오라 아아

아 아 사랑스런 젊은 그대

아 아 태양같은 젊은 그대

젊은 그대 젊은 그대



6.4. 그대에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대에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5. 승리를 위하여[편집]



6.6. 질풍가도[편집]



6.7. Red's go together[편집]


이제 거의 부르지 않는다

6.8. 전 응원가[편집]



6.8.1. 붉은 노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붉은 노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8.2. 룩셈부르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연세대학교/응원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8.3. 오리 날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리 날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제주중앙고등학교(당시 제주상업고등학교)가 원래는 제주향교(제주중학교 인근, 원래 제주중학교와 같은 재단이었다)에 있었으며, 1984년도에 현재 위치로 이설했다.
  • 관악부가 존재한다.[7]
  • 매년 11월 말에 중앙축제(제주중앙고등학교 축제)를 한다.
  • 제주시는 일반계 고등학교 평준화지역 이지만 제주중앙고등학교는 특성화고교이기 때문에 비평준화이다.
  • 2021년 제주도교육청, 10개 사학기관 대상 운영실적 평가에서 중앙고 천마학원이 1위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 https://url.kr/5pedor

8. 출신 인물[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강신정
  • 강유찬: 보이그룹 에이스, UNB 멤버
  • 고경실: 전 제주시장
  • 고민수
  • 고일문
  • 김동우(축구선수)
  • 김승하
  • 김영택: 전 제주도 정무부지사, KBS제주방송총국 총무국장
  • 김영훈: 전 제주시장[8], 제주도의회 의장
  • 좌남수
  • 홍정남
  • 홍정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2:31:03에 나무위키 제주중앙고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과 한정[2] 참고로 교실 건물과 체육관의 거리가 멀다. 만약, 체육시간에 비가 오는데 우산이 없다면 비를 맞고 그 먼 체육관까지 가야 한다.(비를 막아주는 것을 설치하여 지금은 비 안맞고 갈 수 있다.) 또한 버스정류장과 학교 건물까지의 거리도 상당히 멀어서 도보로 약 5~7분 정도 소요된다.[3] 모든 학년 9반, 10반[4] 3층에는 각 교실마다 베란다가 있다. 복도에 나가지 않아도 베란다를 통해 다른 반 교실로 가는 것이 가능하다.[5] 체육관 지하1층에서 이동. 현재 체육관 지하2층에 관악부 교실이 있음.자하 1층에는 축구부가 사용중임[6] 대강당 뒷편에 예전 소강당이 있었다. 지금은 음악실로 변경[7] 관악부의 존재로 인하여 전교생들은 1년에 1번 중앙음악제에 가야한다. 안 가면 무단결석 처리되니 주의.[8] 최후의 선출직 제주시장이자 초대 제주 행정시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