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하라 다카시

덤프버전 :



시노하라 다카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나가노 1구)
제41~44대
고사카 겐지
제45~48대
시노하라 다카시
제49대
와카바야시 겐타
파일:민진당 로고 하얀색.svg 민진당(일본) 선거대책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민진당
지도부
[ 펼치기 · 접기 ]
독립기구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시노하라 다카시선거대책위원장 대행신바 가즈야
상임의결기관 (양원의원총회)
양원의원 총회장야나기다 미노루
중앙당 지도부
대표오쓰카 고헤이대표대행공석
부대표 (참)고바야시 마사오부대표 (중)하라구치 가즈히로
당무집행기구
간사장마시코 데루히코간사장 대리하타 유이치로
후쿠다 아키오
가와이 다카노리
정무조사회
정무조사회장아다치 신야정무조사회장 대행가네코 에미
다나부 마사요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조직
국회대책위원장히라노 히로후미국회대책위원장 대리후쿠다 아키오
참의원 의원회장오가와 도시오참의원 간사장하타 유이치로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나타니야 마사요시
고문단
상임고문오카다 가쓰야
파일:민진당 로고 하얀색.svg
역대 당대표


입헌민주당 간사장 대행
시노하라 다카시
篠原孝 | Shinohara takashi
파일:시노하라 다카시.jpg
출생1948년 7월 17일 (75세)
나가노현 나카노시
학력나가노시립 나가오카 소학교 (졸업)
나가노시립 나가노히라 중학교 (졸업)
나가노현립 나가노고등학교 (졸업)
교토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교토대학 대학원 (농학 / 박사)
정당
지역구호쿠리쿠신에츠 권역 비례대표 → 나가노 1구 → 호쿠리쿠신에츠 권역 비례대표
의원 선수7 (중)
의원 대수43[A], 44[A], 45, 46, 47, 48, 49[A]
현직제49대 중의원 의원
입헌민주당 간사장 대행
약력농림수산성 관료
농림수산부대신
호쿠리쿠신에츠 광역 비례대표 중의원 의원
나가노현 제1구 중의원 의원
민진당 선거대책위원장
중의원 징벌위원장
입헌민주당 나가노현련 대표
1. 개요
2. 생애 및 정치 활동
3. 정치적 주장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정치인.


2. 생애 및 정치 활동[편집]


1948년 7월 17일 나가노현 나카노시에서 태어났다. 나가노현립 나가노 고등학교를 거쳐 1973년 3월 교토대학 법학부를 졸업, 4월 농림성[1]에 입성해 농림경제국 통계정보부 관리과·기획정보과 관료로 활동했다. 본성 근무 외에 OECD 일본 정부대표부 참사관, 농수성 농림수산정책연구소 소장을 거쳐 퇴임했다. 농림수산성 관료 시절에는 푸드 마일리지 개념을 제창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2003년 매니페스토 총선에서 민주당 공천으로 나가노현 1구에 출마하지만 현역 의원인 자민당 고사카 겐지 의원한태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지만, 석패율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초선을 기록한다. 이후 2005년 우정 민영화 총선에도 출마하지만 또 패배해 석패율 비례대표로 구제되었다.

그러다 2009년 정권 교대 총선에서 마침내 고사카 겐지를 꺾고 첫 지역구 당선[2]을 기록한다. 이후 민주당 정권에서 농림수산부대신, 민주당 부간사장을 역임한다.

2012년 가미카제 총선에서는 민주당의 지지가 낮은 상황에서도 자신의 지역구인 나가노현 제1구에서 자민당의 고마츠 유카타를 꺾고 4선[3]을 기록하고, 2014년 12월 제2차 소비세 총선에서도 나가노현 제1구에서 다시 고마츠 유카타를 꺾고 5선에 성공하는데, 놀라운 건 이 제2차 소비세 총선에서 일본 호쿠리쿠신에츠 지역의 민주당 지역구 당선은 시노하라 뿐이었다.

이후 2016년 9월 15일 민진당 대표 선거에서 마에하라 세이지를 지지했다. 그 해 10월 22일 국난 돌파 총선에서 희망의 당의 공천을 받았지만 사퇴하고 입헌민주당에서도 공천을 못 받은채 무소속으로 출마해 6선에 성공한다. 그 후, 26일 오카다 가쓰야가 대표를 맡는 무소속의 모임(無所属の会) 결성 멤버가 되었다.

2018년 5월 7일 민진당과 희망의 당이 합당한 국민민주당이 결성되었을 때 무소속의 모임을 탈퇴하고 여기에 참여한다. 그러다 2020년 입헌민주당과 국민민주당이 신설합당하기로 하자 통합신당에 참가한다는 뜻을 밝혀 참가하고 그해 9월 10일 열린 신 입헌민주당 대표 선거에선 이즈미 겐타의 추천인에 이름을 올렸다.

2021년 10월 31일 미래 선택 총선에서 입헌민주당 공천으로 출마하지만 자민당 후보인 와카바야시 켄타에게 패배했지만 석패율 비례대표로 부활해 7선을 기록한다.[4]그 후 2021년 입헌민주당 대표 선거에서는 니시무라 지나미의 추천인에 이름을 올리고 동년 12월 5일 입헌민주당 나가노현련 대표를 사임했다.


3. 정치적 주장[편집]


아사히 신문 · 도쿄대 다니구치 연구실 공동 조사
2021년 중의원 선거 후보자 정보 - 시노하라 다카시
이슈질문답변
개헌헌법 개정<colcolor#000> 반대
정부사회복지 등 정부의 서비스가 나빠져도 예산이 들지 않는 작은 정부가 더 낫다.반대
일자리 확충공공 사업을 통한 일자리 확충은 필요하다.반대
소비세한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소비세율을 낮춰야 한다.찬성
재정 지출당장은 재정 재건을 위한 세출의 억제보다는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 투입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중립
격차 해소A: 사회적 격차가 다소 있더라도 경제 경쟁력 향상을 우선해야 한다.
B: 경제 경쟁력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격차 시정을 우선해야 한다.
중립
제정 적자A: 국채는 안정적으로 소화되고 있어 재정 적자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B: 재정적자는 위기 수준이기 때문에, 국채 발행을 억제해야 한다.
B
부자 증세소득이나 자산이 많은 사람에 대한 과세를 강화해야 한다.찬성
법인세 증세기업들이 내는 법인세율을 인상해야 한다.찬성
산업A. 국내 산업을 보호해야 한다.
B: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를 추진해야 한다.
A
후쿠시마 오염수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처리수의 해양 방출은 어쩔 수 없다.반대
치안·인권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 및 개인의 권리가 제한되는 것은 당연하다.중립
동성혼동성간의 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반대
동성애 법안LGBT 등 성 소수자를 둘러싼 '이해 증진'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찬성
외국인 노동외국인 노동자의 수용을 추진해야 한다.반대
탈원전A: 지금 바로 원자력 발전을 폐지해야 한다.
B: 앞으로도 원자력 발전을 에너지 원의 하나로 유지해야 한다.
A
부부별성부부가 원하는 경우, 결혼 후에도 부부가 각각 혼전 성을 유지하는 것을 법률로서 인정해야 한다.조금 찬성
핵개발비핵 3원칙[5] 을 견지해야 한다.찬성
국방일본의 방위력은 더 강화해야 한다.조금 반대
선제 공격타국으로부터의 공격이 예상되는 경우 선제 공격도 주저해서는 안 된다.반대
대북관계북한에 대해 대화보다 압력을 우선해야 한다.반대
후텐마 기지오키나와현 후텐마 기지의 헤노코 매립지 이전은 부득이한 일이다.반대
미일안보조약A: 위기 때 미국과의 협력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미일 안보조약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B: 일본과 관계없는 전쟁에 말려들지 않도록 미일 안보조약 강화에 신중해야 한다.
중립
중국 위협론A: 중국은 일본에 위협이 된다.
B:일본에 있어서 중국은 파트너이다.
조금 반대
참의원 선거A: 한 표 격차 시정을 위해서도 참의원 선거구의 합구는 허용돼야 한다.
B: 참의원 선거구의 합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일정 범위 내의 한 표 격차는 허용되어야 한다.
중립
코로나19 대책치료 체제의 확충, 치료약 및 백신 개발·확보, 검사 체제의 확충
'조금'의 답변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자면(どちらかと言えば)'이며 '중립'은 '어느쪽도 아니다(どちらとも言えない)'이다.
  • 영주외국인 지방선거권 부여에 찬성.
  •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를 금지한 내각 법제국의 헌법 해석의 재검토에 반대.
  • 여성궁가의 창설에 찬성.
  • 일본의 TPP 참가에 반대.
  • 선택적 부부별성제도 도입에 찬성.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3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나가노 1구
호쿠리쿠-신에쓰 비례 권역

111,821 (42.58%)낙선(2위)
당선(석폐율제)
초선
2005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21,185 (40.82%)재선
2009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나가노 1구161,543 (51.27%)당선(1위)3선
2012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9,400 (36.60%)4선
2014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96,333 (45.82%)5선
2017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무소속|
무소속
]]
131,883 (54.06%)6선
202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나가노 1구
호쿠리쿠-신에쓰 비례 권역

121,962 (48.71%)낙선(2위)
당선(석폐율제)
7선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2003 - 2016정계 입문

2016 - 2018당명 변경[6]

2018 - 2020신설 합당

2020 -합당[7]


6.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입헌민주당
제49대 중의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에미가마타 사유리가미야 히로시가이에다 반리간 나오토
겐마 겐타로겐바 고이치로고미야마 야스코고야마 노부히로고즈 다케시
고토 유이치곤도 가즈야곤도 쇼이치기이 다카시기쿠타 마키코
나가츠마 아키라나카가와 마사하루나카무라 기시로나카지마 가쓰히토나카타니 가즈마
노다 요시히코노마 다케시니시무라 지나미다지마 가나메데라타 마나부
데즈카 요시오도쿠나가 히사시류 히로후미마부치 스미오마쓰바라 진
마쓰키 겐코마키 요시오모리야마 히로유키모리타 도시카즈미도리카와 다카시
미치시타 다이키바바 유키반노 유타카시라이시 요이치사카모토 유노스케
사쿠라이 슈사토 고지스에마쓰 요시노리스에쓰구 세이이치스즈키 요스케
시게토쿠 가즈히코시나 다케시시노하라 고시노하라 다카시시모조 미쓰
쓰쓰미 가나메아라이 유타카아베 도모코아오야기 요이치로아오야마 야마토
아즈미 준야마기시 잇세이야마노이 가즈노리야마다 가쓰히코야마오카 다쓰마루
야마자키 마코토야타가와 하지메에다 겐지에다노 유키오오가와 준야
오카와라 마사코오구마 신지오구시 히로시오니시 겐스케오사카 세이지
오시마 아쓰시오쓰키 구레하오자와 이치로오치아이 다카유키오카다 가쓰야
오카모토 아키코오쿠노 소이치로와세다 유키와타나베 소와타나베 슈
요네야마 류이치요시다 쓰네히코요시다 하루미요시카와 하지메우메타니 마모루
유노키 미치요시유하라 슌지이나토미 슈지이사카 노부히코이시카와 가오리
이즈미 겐타이토 슌스케하라구치 가즈히로혼조 사토시후지오카 다카오
후쿠다 아키오후토리 히데시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입헌민주당
제48대 중의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에미가메이 아키코가미야 히로시가와우치 히로시가이에다 반리
간 나오토겐마 겐타로겐바 고이치로고미야마 야스코고토 유이치
곤도 쇼이치곤도 카즈야구로이와 다카히로기이 다카시기쿠타 마키코
나가오 히데키나가츠마 아키라나카가와 마사하루나카무라 기시로나카지마 가즈히토
나카타니 카즈마노다 요시히코니시무라 지나미다지마 가나메다카기 렌타로
다케우치 노리오데라타 마나부데즈카 요시오류 히로후미마부치 스미오
마쓰다 이사오마쓰다이라 고이치마쓰바라 진마쓰오 아키히로마쓰키 겐코
마키 요시오모리야마 히로유키모리타 도시카즈무라카미 후미요시미도리카와 다카시
미야카와 신미치시타 다이키사사키 다카히로사이키 다케시사쿠라이 슈
사토 고지세키 겐이치로스에마쓰 요시노리시게토쿠 가즈히코시나 다케시
시노하라 고시노하라 다카시시라이시 요우이치시모죠 미쓰아라이 사토시
아베 도모코아오야기 요이치로아오야마 야마토아즈미 준아카마츠 히로타카
아쿠쓰 유키히코야가미 마사요시야라 도모히로야마노이 가즈노리야마모토 와카코
야마오카 다쓰마루야마우치 고이치야마자키 마코토야마카와 유리코야마하나 이쿠오
야타가와 하지메에다 켄지에다노 유키오오가와 준야오구마 신지
오구시 히로시오사카 세이지오시마 아쓰시오니시 겐스케오자와 이치로
오쓰지 가나코오치아이 다카유키오카다 가쓰야오카모토 미쓰노리오카모토 아키코
오카와라 마사코오카지마 가즈마사오쿠노 소이치로와세다 유키와타나베 슈
요시다 쓰네히코야타가와 하지메요코미쓰 가쓰히코우후카타 유키오유노키 미치요시
이나토미 슈지이마이 마사토이시카와 가오리이즈미 겐타이케다 마키
이토 슌스케하라구치 가즈히로하세가와 가이치호리코시 게닌후쿠다 아키오
히라노 히로후미히로타 하지메히요시 유타쓰무라 게이스케쓰지모토 기요미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민주당(일본 1998년)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50%><-2><rowbgcolor=#DA2128> 호헌파 ||<width=25%> 중립 ||<-3><width=25%> 개헌파 ||
||<width=25%> 생추어리
아카마츠 히로타카
요코미치 다카히로
사사키 다카히로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하치로 요시오
곤도 쇼이치
군지 아키라
오사카 세이지 ||<width=25%>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에다 사쓰키
아라이 사토시
니시무라 지나미
에다노 유키오
하쿠 신쿤
구로이와 다카히로
나가츠마 아키라
스에마쓰 요시노리
야마노이 가즈노리 ||<width=25%>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무라타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아즈미 준
마부치 스미오 ||<width=25%>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아즈미 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오 시오리
후루카와 모토히사
다마키 유이치로
오쓰카 고헤이
아다치 신야
다지마 가나메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
|| 소교회
오하타 아키히로
카노 미치히코
오시마 아쓰시
나카야마 요시카츠
시노하라 다카시
다나부 마사요
마시코 데루히코 || 민사협회
다카키 요시아키
가와바타 다쓰오
요네자와 다카시
나카노 간세이
이토 에이세이
신바 가즈야
기쿠타 마키코
후루모토 신이치로
야나기다 미노루 || 지세이카이
호소노 고시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류 히로후미
신바 가즈야
유노키 미치요시
사쿠라이 미쓰루
기카와다 토오루
구시부치 마리 || 정권전략연구회
하타 쓰토무
하타 유이치로
하라구치 가즈히로
마쓰바라 진
가네코 에미
마쓰자와 시게후미
나카가와 마사하루 ||
|| 리버럴회
곤도 쇼이치
히라오카 히데오
니시무라 지나미
하쿠 신쿤
시노하라 다카시
데라다 마나부 || 청산회
다루토코 신지
마쓰모토 다케아키
마쓰노 요리히사
고미야마 야스코
류 히로후미
모리야마 히로유키 || 「일본의 그랜드 디자인」 연구회
겐바 고이치로
오구시 히로시
고토 유이치
후쿠시마 노부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가네코 에미
기시모토 슈헤이 || 국가 축의 모임
나가시마 아키히사
와시오 에이이치로
기라 슈지
오노 모토히로
키타가미 케이로
하마노 요시후미
노마 다케시 ||
||<-2> 정권공약을 실천하는 모임
하토야마 유키오
오카다 가쓰야
마쓰바라 진
후쿠다 아키오
오시마 아쓰시
신바 가즈야
가와바타 다쓰오
다카키 요시아키 ||<-2> 일신회
오자와 이치로
기쿠타 마키코
고미야마 야스코
모리 유코
마쓰키 겐코
아오키 아이
사토 고지 ||


파일:민진당 로고 하얀색.svg 민진당(일본)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호헌파중립개헌파
생추어리
아카마츠 히로타카
요코미치 다카히로
사사키 다카히로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하치로 요시오
군지 아키라
오사카 세이지
곤도 쇼이치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에다 사쓰키
에다노 유키오
아라이 사토시
오가와 도시오
니시무라 지나미
사사키 다카히로
하쿠 신쿤
구로이와 다카히로
나가츠마 아키라
야마노이 가즈노리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무라타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아즈미 준
마부치 스미오
시게토쿠 가즈히코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아즈미 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오 시오리
후루카와 모토히사
다마키 유이치로
오쓰카 고헤이
아다치 신야
다지마 가나메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소교회
오하타 아키히로
카노 미치히코
오시마 아쓰시
나카야마 요시카츠
시노하라 다카시
다나부 마사요
마시코 데루히코
민권정경 아카데미
에다 겐지
마쓰노 요리히사
오치아이 다카유키
마쓰키 겐코
마키 요시오
이사카 노부히코
지세이카이
호소노 고시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기카와다 토오루
류 히로후미
신바 가즈야
구시부치 마리
유노키 미치요시
사쿠라이 미쓰루
보수파
에다 겐지
하라구치 가즈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와타나베 슈
겐바 고이치로
류 히로후미
마쓰바라 진
마부치 스미오
민사협회
다카키 요시아키
가와바타 다쓰오
신바 가즈야
기쿠타 마키코
후루모토 신이치로
야나기다 미노루
신정신슈
기타자와 도시미
스기오 히데야
하타 유이치로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이데 요세이
데라시마 요시유키
「일본의 그랜드 디자인」 연구회
겐바 고이치로
오구시 히로시
고토 유이치
가네코 에미
기시모토 슈헤이
국가 축의 모임
나가시마 아키히사
와시오 에이이치로
기라 슈지
오노 모토히로
기타카미 케이로
하마노 요시후미
무계파
오카다 가쓰야
나카가와 마사하루
하라구치 가즈히로
마쓰바라 진
시모조 미쓰




파일:logo_w.svg 입헌민주당(2020년)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호헌파중립개헌파
생추어리
곤도 쇼이치
에다노 유키오
사사키 다카히로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요코미치 다카히로
하치로 요시오
군지 아키라
오사카 세이지
미치시타 다이키
아카마츠 히로타카
오가와 준야
다시로 가오루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사사키 다카히로
아라이 사토시
오가와 도시오
니시무라 지나미
에다노 유키오
하쿠 신쿤
구로이와 다카히로
나가츠마 아키라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사이토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아즈미 준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신정권연구회
이즈미 겐타
오구마 신지
마부치 스미오
가네코 에미
후쿠다 아키오
시모조 미쓰
오니시 겐스케
모리야마 히로유키
하타 지로
사회민주주의 포럼
요시다 다다토모
요시카와 하지메
오자와 그룹
오자와 이치로
고미야마 야스코
모리 유코
아오키 아이
기쿠타 마키코
사토 고지
지세이카이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다나부 마사요
마키 요시오
고토 유이치
세키 겐이치로
보수파
에다 겐지
하라구치 가즈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와타나베 슈
겐바 고이치로
류 히로후미
마쓰바라 진
마부치 스미오
소승회
오카다 가쓰야
나카무라 기시로
야마노이 가즈노리
에다 겐지
기쿠타 마키코
이마이 마사토
오가와 준야
가네코 에미
다지마 카나메
직간회
시게토쿠 가즈히코
야오야기 요이치로
오구마 신지
나카지마 가쓰히토
시노하라 고
겐마 겐타로
브릿지 모임
에다 겐지
오치아이 다카유키
오구마 신지
시오무라 아야카
일심회
마부치 스미오
마쓰키 겐코
다나가와 하지메
다카야마 사토시
나가야스 사토시
일본 정당별 계파 (기타 일본 혁신정당 · 입헌 · 국민 · 자민)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중의원 의원 ]
{{{-1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9:21:32에 나무위키 시노하라 다카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석패율 비례대표[1]농림수산성[2] 중의원 의원 당선 횟수만 따지면 3선[3] 지역구 재선[4] 여담으로 석패율제로 부활한거는 2009년 이후 12년만이다.[5] '핵무기를 만들지도, 가지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6] 당적과 별개로 중의원 선거는 무소속으로 출마. 2017년 이후 국회 내에서는 무소속으로 활동[7] 입헌민주당과 신설 합당